확 달라진 도시락…“건강에 보는 즐거움까지”
입력 2017.07.21 (07:40)
수정 2017.07.21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도시락하면 한 끼 때우는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요즘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건강과 입맛, 보는 즐거움까지 더한 다양한 도시락이 현대인 일상을 파고들고 있는데요.
그 이유를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흰 쌀밥에 돼지 숯불 구이.
여기에 열가지 반찬으로 편의점 도시락이 완성됩니다.
4천5백 원 입니다.
여름 보양식 장어와 바베큐 폭립, 삼겹살까지 도시락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편의점 도시락을 즐기는 이른바 '편도족'이란 유행어도 생겼습니다.
하루 전 신청하면 원하는 시간에 도시락을 바로 먹을 수 있습니다.
품절 상품이 많아지자 도입된 도시락 예약제입니다.
짜장면으로 한끼를 때우던 독신 남성, 이 남성의 식탁이 달라졌습니다.
불고기, 키조개 관자 새송이 버섯이 들어간 도시락, 배달도 해줍니다.
<인터뷰> 이준근(46세/1인 가구) : "가스레인지 켜면서 조리하는 부담이 없으니까 편한 건 있죠.다른 반찬 몇 개만 가져와서 먹으면 되니까."
지난해 팔려나간 도시락은 약 5천만 개, 시장은 2조 5천억 원 대로 급성장했습니다.
1인 가구의 증가에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도시락 대열에 합류한 게 시장을 키운 요인입니다.
<인터뷰> 이우영(80세) : "하루 세끼 다 차려달라 하면 해주는 사람도 힘든데 이런 도시락으로 하면 눈치 안 보고 편하게 먹으니까."
깔끔한 인테리어의 도시락 까페.
독특한 디자인의 캐릭터 도시락으로 소비자 취향까지 공략합니다.
<인터뷰> 유억권(도시락 유통업체 과장) : "일본의 사례처럼 외식과 집밥의 중간 형태인 도시락을 사다가 드시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저녁 시간대까지도 도시락 구매가 (늘고 있습니다)."
추억의 상징, 도시락이 달라진 시대상을 담아내며 진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도시락하면 한 끼 때우는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요즘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건강과 입맛, 보는 즐거움까지 더한 다양한 도시락이 현대인 일상을 파고들고 있는데요.
그 이유를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흰 쌀밥에 돼지 숯불 구이.
여기에 열가지 반찬으로 편의점 도시락이 완성됩니다.
4천5백 원 입니다.
여름 보양식 장어와 바베큐 폭립, 삼겹살까지 도시락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편의점 도시락을 즐기는 이른바 '편도족'이란 유행어도 생겼습니다.
하루 전 신청하면 원하는 시간에 도시락을 바로 먹을 수 있습니다.
품절 상품이 많아지자 도입된 도시락 예약제입니다.
짜장면으로 한끼를 때우던 독신 남성, 이 남성의 식탁이 달라졌습니다.
불고기, 키조개 관자 새송이 버섯이 들어간 도시락, 배달도 해줍니다.
<인터뷰> 이준근(46세/1인 가구) : "가스레인지 켜면서 조리하는 부담이 없으니까 편한 건 있죠.다른 반찬 몇 개만 가져와서 먹으면 되니까."
지난해 팔려나간 도시락은 약 5천만 개, 시장은 2조 5천억 원 대로 급성장했습니다.
1인 가구의 증가에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도시락 대열에 합류한 게 시장을 키운 요인입니다.
<인터뷰> 이우영(80세) : "하루 세끼 다 차려달라 하면 해주는 사람도 힘든데 이런 도시락으로 하면 눈치 안 보고 편하게 먹으니까."
깔끔한 인테리어의 도시락 까페.
독특한 디자인의 캐릭터 도시락으로 소비자 취향까지 공략합니다.
<인터뷰> 유억권(도시락 유통업체 과장) : "일본의 사례처럼 외식과 집밥의 중간 형태인 도시락을 사다가 드시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저녁 시간대까지도 도시락 구매가 (늘고 있습니다)."
추억의 상징, 도시락이 달라진 시대상을 담아내며 진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확 달라진 도시락…“건강에 보는 즐거움까지”
-
- 입력 2017-07-21 07:46:01
- 수정2017-07-21 08:04:33

<앵커 멘트>
도시락하면 한 끼 때우는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요즘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건강과 입맛, 보는 즐거움까지 더한 다양한 도시락이 현대인 일상을 파고들고 있는데요.
그 이유를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흰 쌀밥에 돼지 숯불 구이.
여기에 열가지 반찬으로 편의점 도시락이 완성됩니다.
4천5백 원 입니다.
여름 보양식 장어와 바베큐 폭립, 삼겹살까지 도시락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편의점 도시락을 즐기는 이른바 '편도족'이란 유행어도 생겼습니다.
하루 전 신청하면 원하는 시간에 도시락을 바로 먹을 수 있습니다.
품절 상품이 많아지자 도입된 도시락 예약제입니다.
짜장면으로 한끼를 때우던 독신 남성, 이 남성의 식탁이 달라졌습니다.
불고기, 키조개 관자 새송이 버섯이 들어간 도시락, 배달도 해줍니다.
<인터뷰> 이준근(46세/1인 가구) : "가스레인지 켜면서 조리하는 부담이 없으니까 편한 건 있죠.다른 반찬 몇 개만 가져와서 먹으면 되니까."
지난해 팔려나간 도시락은 약 5천만 개, 시장은 2조 5천억 원 대로 급성장했습니다.
1인 가구의 증가에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도시락 대열에 합류한 게 시장을 키운 요인입니다.
<인터뷰> 이우영(80세) : "하루 세끼 다 차려달라 하면 해주는 사람도 힘든데 이런 도시락으로 하면 눈치 안 보고 편하게 먹으니까."
깔끔한 인테리어의 도시락 까페.
독특한 디자인의 캐릭터 도시락으로 소비자 취향까지 공략합니다.
<인터뷰> 유억권(도시락 유통업체 과장) : "일본의 사례처럼 외식과 집밥의 중간 형태인 도시락을 사다가 드시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저녁 시간대까지도 도시락 구매가 (늘고 있습니다)."
추억의 상징, 도시락이 달라진 시대상을 담아내며 진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도시락하면 한 끼 때우는 개념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요즘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건강과 입맛, 보는 즐거움까지 더한 다양한 도시락이 현대인 일상을 파고들고 있는데요.
그 이유를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흰 쌀밥에 돼지 숯불 구이.
여기에 열가지 반찬으로 편의점 도시락이 완성됩니다.
4천5백 원 입니다.
여름 보양식 장어와 바베큐 폭립, 삼겹살까지 도시락 안으로 들어왔습니다.
편의점 도시락을 즐기는 이른바 '편도족'이란 유행어도 생겼습니다.
하루 전 신청하면 원하는 시간에 도시락을 바로 먹을 수 있습니다.
품절 상품이 많아지자 도입된 도시락 예약제입니다.
짜장면으로 한끼를 때우던 독신 남성, 이 남성의 식탁이 달라졌습니다.
불고기, 키조개 관자 새송이 버섯이 들어간 도시락, 배달도 해줍니다.
<인터뷰> 이준근(46세/1인 가구) : "가스레인지 켜면서 조리하는 부담이 없으니까 편한 건 있죠.다른 반찬 몇 개만 가져와서 먹으면 되니까."
지난해 팔려나간 도시락은 약 5천만 개, 시장은 2조 5천억 원 대로 급성장했습니다.
1인 가구의 증가에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도시락 대열에 합류한 게 시장을 키운 요인입니다.
<인터뷰> 이우영(80세) : "하루 세끼 다 차려달라 하면 해주는 사람도 힘든데 이런 도시락으로 하면 눈치 안 보고 편하게 먹으니까."
깔끔한 인테리어의 도시락 까페.
독특한 디자인의 캐릭터 도시락으로 소비자 취향까지 공략합니다.
<인터뷰> 유억권(도시락 유통업체 과장) : "일본의 사례처럼 외식과 집밥의 중간 형태인 도시락을 사다가 드시는 분들이 많아지면서 저녁 시간대까지도 도시락 구매가 (늘고 있습니다)."
추억의 상징, 도시락이 달라진 시대상을 담아내며 진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
이윤희 기자 heeya@kbs.co.kr
이윤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