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 주인이 거부” 산사태 무방비…피해 현실화
입력 2017.07.28 (06:52)
수정 2017.07.28 (09: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기습 폭우에 산사태 피해가 극심한데요.
상당수 피해지는 산사태 위험 지역으로 지적됐는데도 사방댐 건설 등 예방 조치를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땅주인이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김선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위와 토사가 휩쓸고 지나간 골짜기.
실개울은 낭떠러지처럼 변했습니다.
산사태는 인근 마을을 덮쳤습니다.
<인터뷰> 유기준(수재민) : "부르릉 울리면서 순식간에 위에서 토사하고 물하고 나무하고 쏟아져 내려와서..."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이미 2015년에 산림청이 '마을에 광범위한 피해를 발생시킬 것'이라며 '사방 사업을 권고'했습니다.
하지만 사업 예정지 소유주들이 동의하지 않아 사업을 못 했습니다.
산사태로 한 명이 숨지고 주택 수십 채가 파손된 다른 마을.
<인터뷰> 남문예(수재민) : "(주변이) 다 돌이라 아무것도 못 하겠습니다."
산사태 위험도가 매우 높아 산림청이 지난해 사방 사업을 시도했지만, 진입로 소유주가 거부해 무산됐습니다.
<인터뷰> 김태은(충북산림환경연구소 산림관리과장) : "내 땅은 괜찮으니까 나는 (허락) 못 해주겠다 이런 식으로 나오니까. 그때 사업했으면 이런 피해가 없었을텐데."
산사태가 일어난 또 다른 마을.
계곡 주변에 산사태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예방 대책이 시급했지만, 뒷산에서 골프장 건설을 추진하던 대기업이 걸림돌이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산지 소유 대기업 관계자(변조) "(골프장 지으면) 어차피 우리가 알아서 하니까. 배수로며 뭐며 전부 하니까."
개인 소유권에 밀려 예견되는 산사태조차 미리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최근 기습 폭우에 산사태 피해가 극심한데요.
상당수 피해지는 산사태 위험 지역으로 지적됐는데도 사방댐 건설 등 예방 조치를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땅주인이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김선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위와 토사가 휩쓸고 지나간 골짜기.
실개울은 낭떠러지처럼 변했습니다.
산사태는 인근 마을을 덮쳤습니다.
<인터뷰> 유기준(수재민) : "부르릉 울리면서 순식간에 위에서 토사하고 물하고 나무하고 쏟아져 내려와서..."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이미 2015년에 산림청이 '마을에 광범위한 피해를 발생시킬 것'이라며 '사방 사업을 권고'했습니다.
하지만 사업 예정지 소유주들이 동의하지 않아 사업을 못 했습니다.
산사태로 한 명이 숨지고 주택 수십 채가 파손된 다른 마을.
<인터뷰> 남문예(수재민) : "(주변이) 다 돌이라 아무것도 못 하겠습니다."
산사태 위험도가 매우 높아 산림청이 지난해 사방 사업을 시도했지만, 진입로 소유주가 거부해 무산됐습니다.
<인터뷰> 김태은(충북산림환경연구소 산림관리과장) : "내 땅은 괜찮으니까 나는 (허락) 못 해주겠다 이런 식으로 나오니까. 그때 사업했으면 이런 피해가 없었을텐데."
산사태가 일어난 또 다른 마을.
계곡 주변에 산사태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예방 대책이 시급했지만, 뒷산에서 골프장 건설을 추진하던 대기업이 걸림돌이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산지 소유 대기업 관계자(변조) "(골프장 지으면) 어차피 우리가 알아서 하니까. 배수로며 뭐며 전부 하니까."
개인 소유권에 밀려 예견되는 산사태조차 미리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땅 주인이 거부” 산사태 무방비…피해 현실화
-
- 입력 2017-07-28 06:56:38
- 수정2017-07-28 09:19:00

<앵커 멘트>
최근 기습 폭우에 산사태 피해가 극심한데요.
상당수 피해지는 산사태 위험 지역으로 지적됐는데도 사방댐 건설 등 예방 조치를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땅주인이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김선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위와 토사가 휩쓸고 지나간 골짜기.
실개울은 낭떠러지처럼 변했습니다.
산사태는 인근 마을을 덮쳤습니다.
<인터뷰> 유기준(수재민) : "부르릉 울리면서 순식간에 위에서 토사하고 물하고 나무하고 쏟아져 내려와서..."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이미 2015년에 산림청이 '마을에 광범위한 피해를 발생시킬 것'이라며 '사방 사업을 권고'했습니다.
하지만 사업 예정지 소유주들이 동의하지 않아 사업을 못 했습니다.
산사태로 한 명이 숨지고 주택 수십 채가 파손된 다른 마을.
<인터뷰> 남문예(수재민) : "(주변이) 다 돌이라 아무것도 못 하겠습니다."
산사태 위험도가 매우 높아 산림청이 지난해 사방 사업을 시도했지만, 진입로 소유주가 거부해 무산됐습니다.
<인터뷰> 김태은(충북산림환경연구소 산림관리과장) : "내 땅은 괜찮으니까 나는 (허락) 못 해주겠다 이런 식으로 나오니까. 그때 사업했으면 이런 피해가 없었을텐데."
산사태가 일어난 또 다른 마을.
계곡 주변에 산사태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예방 대책이 시급했지만, 뒷산에서 골프장 건설을 추진하던 대기업이 걸림돌이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산지 소유 대기업 관계자(변조) "(골프장 지으면) 어차피 우리가 알아서 하니까. 배수로며 뭐며 전부 하니까."
개인 소유권에 밀려 예견되는 산사태조차 미리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최근 기습 폭우에 산사태 피해가 극심한데요.
상당수 피해지는 산사태 위험 지역으로 지적됐는데도 사방댐 건설 등 예방 조치를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땅주인이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김선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바위와 토사가 휩쓸고 지나간 골짜기.
실개울은 낭떠러지처럼 변했습니다.
산사태는 인근 마을을 덮쳤습니다.
<인터뷰> 유기준(수재민) : "부르릉 울리면서 순식간에 위에서 토사하고 물하고 나무하고 쏟아져 내려와서..."
'산사태 취약 지역'으로, 이미 2015년에 산림청이 '마을에 광범위한 피해를 발생시킬 것'이라며 '사방 사업을 권고'했습니다.
하지만 사업 예정지 소유주들이 동의하지 않아 사업을 못 했습니다.
산사태로 한 명이 숨지고 주택 수십 채가 파손된 다른 마을.
<인터뷰> 남문예(수재민) : "(주변이) 다 돌이라 아무것도 못 하겠습니다."
산사태 위험도가 매우 높아 산림청이 지난해 사방 사업을 시도했지만, 진입로 소유주가 거부해 무산됐습니다.
<인터뷰> 김태은(충북산림환경연구소 산림관리과장) : "내 땅은 괜찮으니까 나는 (허락) 못 해주겠다 이런 식으로 나오니까. 그때 사업했으면 이런 피해가 없었을텐데."
산사태가 일어난 또 다른 마을.
계곡 주변에 산사태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예방 대책이 시급했지만, 뒷산에서 골프장 건설을 추진하던 대기업이 걸림돌이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산지 소유 대기업 관계자(변조) "(골프장 지으면) 어차피 우리가 알아서 하니까. 배수로며 뭐며 전부 하니까."
개인 소유권에 밀려 예견되는 산사태조차 미리 막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선영입니다.
-
-
김선영 기자 wake@kbs.co.kr
김선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