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생이모자반의 습격, 양식장도 쑥대밭
입력 2017.07.28 (19:17)
수정 2017.07.28 (19: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작은 공간만 있어도 급격하게 붙어 자라나 바다의 잡초로 불리는 괭생이모자반이 요즘 골칩니다.
전남지역 다시마와 전복 양식장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김효신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남 해남의 한 다시마 양식장!
줄을 끌어올려보니 괭생이모자반이 반 이상 뒤덮었습니다.
모자반이 타고 오르면서 다 자라지도 못한 다시마는 벌레가 먹은 것처럼 구멍나고 끊어지기까지 했습니다.
<인터뷰> 용양배(해남 송지송호 어촌계장) : "울화통이 터지죠 울화통이...원래 이게 3 미터 길게는 3미터 이상도 자라는 다시마 가 올해는 1미터도 채 안 되게 돼버렸습니 다."
바닷속 상황은 어떨까.
괭생이모자반이 해수면을 빽빽하게 뒤덮어 햇빛도 통과하지 못할 정돕니다.
숨을 쉬기도 먹이활동 하기도 힘든 전복들은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느려졌습니다.
<인터뷰> 김경수(전복양식 어민) : "전복 가두리 사이에 모자반이 너무 급격하게자라가지고 물 소통이라든지 이것 때문에 전복의 성장을 저해하구요."
전남에 유입된 괭생이모자반은 2천 7백여 톤! 양식장 피해 면적만 3백70헥타르에 달합니다.
이 곳 완도 서화도의 전복양식장은 모두 200헥타르 정도 되는데요.
어민들은3년 전부터 괭생이 모자반이 퍼지면서 올해는 전역에서 피해를 입었다고 말합니다.
남아있는 괭생이 모자반이 가을 김농사에까지 영향을 미칠까 어민들은 속을 끓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작은 공간만 있어도 급격하게 붙어 자라나 바다의 잡초로 불리는 괭생이모자반이 요즘 골칩니다.
전남지역 다시마와 전복 양식장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김효신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남 해남의 한 다시마 양식장!
줄을 끌어올려보니 괭생이모자반이 반 이상 뒤덮었습니다.
모자반이 타고 오르면서 다 자라지도 못한 다시마는 벌레가 먹은 것처럼 구멍나고 끊어지기까지 했습니다.
<인터뷰> 용양배(해남 송지송호 어촌계장) : "울화통이 터지죠 울화통이...원래 이게 3 미터 길게는 3미터 이상도 자라는 다시마 가 올해는 1미터도 채 안 되게 돼버렸습니 다."
바닷속 상황은 어떨까.
괭생이모자반이 해수면을 빽빽하게 뒤덮어 햇빛도 통과하지 못할 정돕니다.
숨을 쉬기도 먹이활동 하기도 힘든 전복들은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느려졌습니다.
<인터뷰> 김경수(전복양식 어민) : "전복 가두리 사이에 모자반이 너무 급격하게자라가지고 물 소통이라든지 이것 때문에 전복의 성장을 저해하구요."
전남에 유입된 괭생이모자반은 2천 7백여 톤! 양식장 피해 면적만 3백70헥타르에 달합니다.
이 곳 완도 서화도의 전복양식장은 모두 200헥타르 정도 되는데요.
어민들은3년 전부터 괭생이 모자반이 퍼지면서 올해는 전역에서 피해를 입었다고 말합니다.
남아있는 괭생이 모자반이 가을 김농사에까지 영향을 미칠까 어민들은 속을 끓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괭생이모자반의 습격, 양식장도 쑥대밭
-
- 입력 2017-07-28 19:20:05
- 수정2017-07-28 19:25:44

<앵커 멘트>
작은 공간만 있어도 급격하게 붙어 자라나 바다의 잡초로 불리는 괭생이모자반이 요즘 골칩니다.
전남지역 다시마와 전복 양식장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김효신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남 해남의 한 다시마 양식장!
줄을 끌어올려보니 괭생이모자반이 반 이상 뒤덮었습니다.
모자반이 타고 오르면서 다 자라지도 못한 다시마는 벌레가 먹은 것처럼 구멍나고 끊어지기까지 했습니다.
<인터뷰> 용양배(해남 송지송호 어촌계장) : "울화통이 터지죠 울화통이...원래 이게 3 미터 길게는 3미터 이상도 자라는 다시마 가 올해는 1미터도 채 안 되게 돼버렸습니 다."
바닷속 상황은 어떨까.
괭생이모자반이 해수면을 빽빽하게 뒤덮어 햇빛도 통과하지 못할 정돕니다.
숨을 쉬기도 먹이활동 하기도 힘든 전복들은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느려졌습니다.
<인터뷰> 김경수(전복양식 어민) : "전복 가두리 사이에 모자반이 너무 급격하게자라가지고 물 소통이라든지 이것 때문에 전복의 성장을 저해하구요."
전남에 유입된 괭생이모자반은 2천 7백여 톤! 양식장 피해 면적만 3백70헥타르에 달합니다.
이 곳 완도 서화도의 전복양식장은 모두 200헥타르 정도 되는데요.
어민들은3년 전부터 괭생이 모자반이 퍼지면서 올해는 전역에서 피해를 입었다고 말합니다.
남아있는 괭생이 모자반이 가을 김농사에까지 영향을 미칠까 어민들은 속을 끓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작은 공간만 있어도 급격하게 붙어 자라나 바다의 잡초로 불리는 괭생이모자반이 요즘 골칩니다.
전남지역 다시마와 전복 양식장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김효신 기자가 현장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남 해남의 한 다시마 양식장!
줄을 끌어올려보니 괭생이모자반이 반 이상 뒤덮었습니다.
모자반이 타고 오르면서 다 자라지도 못한 다시마는 벌레가 먹은 것처럼 구멍나고 끊어지기까지 했습니다.
<인터뷰> 용양배(해남 송지송호 어촌계장) : "울화통이 터지죠 울화통이...원래 이게 3 미터 길게는 3미터 이상도 자라는 다시마 가 올해는 1미터도 채 안 되게 돼버렸습니 다."
바닷속 상황은 어떨까.
괭생이모자반이 해수면을 빽빽하게 뒤덮어 햇빛도 통과하지 못할 정돕니다.
숨을 쉬기도 먹이활동 하기도 힘든 전복들은 움직임이 눈에 띄게 느려졌습니다.
<인터뷰> 김경수(전복양식 어민) : "전복 가두리 사이에 모자반이 너무 급격하게자라가지고 물 소통이라든지 이것 때문에 전복의 성장을 저해하구요."
전남에 유입된 괭생이모자반은 2천 7백여 톤! 양식장 피해 면적만 3백70헥타르에 달합니다.
이 곳 완도 서화도의 전복양식장은 모두 200헥타르 정도 되는데요.
어민들은3년 전부터 괭생이 모자반이 퍼지면서 올해는 전역에서 피해를 입었다고 말합니다.
남아있는 괭생이 모자반이 가을 김농사에까지 영향을 미칠까 어민들은 속을 끓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효신입니다.
-
-
김효신 기자 shiny33@kbs.co.kr
김효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