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안전 인사이드] 기록적인 폭염…체감온도 낮추는 방법은?
입력 2017.08.06 (06:57)
수정 2017.08.06 (07: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태풍이 물러난 뒤엔 다시 폭염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입니다.
올 여름 폭염은 기록적인데요,
지난달 7월의 기온이 관측 사상 4번째로 높았습니다.
또 올해는 늦더위도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일상 생활에서 폭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땡볕으로 달아오른 아스팔트에서 뜨거운 열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가만히 서있기만 해도 어느새 땀이 주르륵, 흘러내립니다.
<인터뷰> 김예림(시민) : "온도가 올라갈수록 불쾌지수가 올라가니까..."
<인터뷰> 송진하(시민) : "조금만 걸어도 땀이 너무 삐질삐질 나와서 너무 힘든 것 같아요."
올 여름 폭염의 기세는 지난해 여름 못지않습니다.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폭염일수를 비교해 보면, 올 7월은 전국 평균 6.4일로 지난해 5.5일보다 많았습니다.
7월의 전국 평균 기온은 26.4도로 역대 네 번째로 높았습니다.
<인터뷰> 우진규(기상청 예보분석관) :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로부터 유입된 뜨거운 수증기와 함께 중국 북부 내륙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면서 기온 상승효과가 매우 컸고, 특히나 우리나라 주변 해수 온도가 평년에 비해 2℃ 가량 높게 형성되면서 이와 같이 더운 날씨가 매우 장시간 이어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1년 중 가장 더운 8월, 폭염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요?
<인터뷰> 최현정(시민) : "양산을 쓴다든지, 차가운 커피를 마신다든지..."
<인터뷰> 송기준(시민) : "밝은 색 옷을 많이 입는 편입니다."
그럼, 밝은 색 옷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각각 밝은색과 어두운색 옷을 입은 뒤 10분 동안 서 있었는데요.
이후 열화상 카메라로 표면 온도를 측정해보니, 밝은 색 옷을 입었을 경우에, 온도가 높은 붉은 색이 훨씬 많이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오범조(서울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어두운 색깔의 옷은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어두운 색의 옷을 입었을 경우에 체표면의 온도가 조금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여름철에는 다소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옷을 입는 것이 더 좋습니다."
양산도 색깔에 따라 달라질까요?
밝은색과 어두운색 양산을 햇볕 아래 놔둔 뒤 온도를 측정했습니다.
밝은색 양산 아래 온도는 35.5도. 반면, 검은색 양산은 이보다 2도 가량 낮았는데요.
옷과 달리, 어두운색 양산이 햇볕을 많이 차단해 양산 아래 온도가 더 낮아진 겁니다.
장소에 따라선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그늘이 없는 아스팔트 도로, 기온이 36.7도까지 오릅니다.
도로 옆 잔디밭에선 33.5도로 3도 가량 낮아졌고, 도로에서 떨어진 숲 그늘에선 무려 5도 이상 낮았습니다.
<인터뷰> 박찬열(박사/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숲 그늘은 나무가 뿌리에 있는 물을 수증기로 만들면서 주변에 열기를 빼앗는데요. 이러한 증산작용에 의해서 도로보다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습니다."
높이에 따라서도 차이가 납니다.
3~4세 아이의 눈높이인 70cm에서의 기온은 35.4도.
어른 눈높이에서의 기온보다 1도 이상 더 높았습니다.
따라서 외출할 땐, 어린 아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폭염이 계속될 때 한낮엔 가급적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요,
그래도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해야 한다면 운동 시간을 평소보다 크게 줄이고, 30분에 10분씩 휴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운동 시작 전과 도중에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합니다.
만성질환이 있다면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인터뷰> 오범조(서울 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운동을 하면서 (땀으로) 체액을 자꾸 잃게 되면, 혈압이 저하되고요. 이로 인해서 심장이나 뇌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나 혈압이 높거나 낮아서 조절이 안 되는 경우에도 이런 체액순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달 8월은 중순 이후의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늦더위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건강 관리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태풍이 물러난 뒤엔 다시 폭염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입니다.
올 여름 폭염은 기록적인데요,
지난달 7월의 기온이 관측 사상 4번째로 높았습니다.
또 올해는 늦더위도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일상 생활에서 폭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땡볕으로 달아오른 아스팔트에서 뜨거운 열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가만히 서있기만 해도 어느새 땀이 주르륵, 흘러내립니다.
<인터뷰> 김예림(시민) : "온도가 올라갈수록 불쾌지수가 올라가니까..."
<인터뷰> 송진하(시민) : "조금만 걸어도 땀이 너무 삐질삐질 나와서 너무 힘든 것 같아요."
올 여름 폭염의 기세는 지난해 여름 못지않습니다.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폭염일수를 비교해 보면, 올 7월은 전국 평균 6.4일로 지난해 5.5일보다 많았습니다.
7월의 전국 평균 기온은 26.4도로 역대 네 번째로 높았습니다.
<인터뷰> 우진규(기상청 예보분석관) :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로부터 유입된 뜨거운 수증기와 함께 중국 북부 내륙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면서 기온 상승효과가 매우 컸고, 특히나 우리나라 주변 해수 온도가 평년에 비해 2℃ 가량 높게 형성되면서 이와 같이 더운 날씨가 매우 장시간 이어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1년 중 가장 더운 8월, 폭염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요?
<인터뷰> 최현정(시민) : "양산을 쓴다든지, 차가운 커피를 마신다든지..."
<인터뷰> 송기준(시민) : "밝은 색 옷을 많이 입는 편입니다."
그럼, 밝은 색 옷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각각 밝은색과 어두운색 옷을 입은 뒤 10분 동안 서 있었는데요.
이후 열화상 카메라로 표면 온도를 측정해보니, 밝은 색 옷을 입었을 경우에, 온도가 높은 붉은 색이 훨씬 많이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오범조(서울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어두운 색깔의 옷은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어두운 색의 옷을 입었을 경우에 체표면의 온도가 조금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여름철에는 다소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옷을 입는 것이 더 좋습니다."
양산도 색깔에 따라 달라질까요?
밝은색과 어두운색 양산을 햇볕 아래 놔둔 뒤 온도를 측정했습니다.
밝은색 양산 아래 온도는 35.5도. 반면, 검은색 양산은 이보다 2도 가량 낮았는데요.
옷과 달리, 어두운색 양산이 햇볕을 많이 차단해 양산 아래 온도가 더 낮아진 겁니다.
장소에 따라선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그늘이 없는 아스팔트 도로, 기온이 36.7도까지 오릅니다.
도로 옆 잔디밭에선 33.5도로 3도 가량 낮아졌고, 도로에서 떨어진 숲 그늘에선 무려 5도 이상 낮았습니다.
<인터뷰> 박찬열(박사/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숲 그늘은 나무가 뿌리에 있는 물을 수증기로 만들면서 주변에 열기를 빼앗는데요. 이러한 증산작용에 의해서 도로보다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습니다."
높이에 따라서도 차이가 납니다.
3~4세 아이의 눈높이인 70cm에서의 기온은 35.4도.
어른 눈높이에서의 기온보다 1도 이상 더 높았습니다.
따라서 외출할 땐, 어린 아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폭염이 계속될 때 한낮엔 가급적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요,
그래도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해야 한다면 운동 시간을 평소보다 크게 줄이고, 30분에 10분씩 휴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운동 시작 전과 도중에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합니다.
만성질환이 있다면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인터뷰> 오범조(서울 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운동을 하면서 (땀으로) 체액을 자꾸 잃게 되면, 혈압이 저하되고요. 이로 인해서 심장이나 뇌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나 혈압이 높거나 낮아서 조절이 안 되는 경우에도 이런 체액순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달 8월은 중순 이후의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늦더위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건강 관리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재난·안전 인사이드] 기록적인 폭염…체감온도 낮추는 방법은?
-
- 입력 2017-08-06 07:17:27
- 수정2017-08-06 07:32:47
![](/data/news/2017/08/06/3528506_30.jpg)
<앵커 멘트>
태풍이 물러난 뒤엔 다시 폭염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입니다.
올 여름 폭염은 기록적인데요,
지난달 7월의 기온이 관측 사상 4번째로 높았습니다.
또 올해는 늦더위도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일상 생활에서 폭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땡볕으로 달아오른 아스팔트에서 뜨거운 열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가만히 서있기만 해도 어느새 땀이 주르륵, 흘러내립니다.
<인터뷰> 김예림(시민) : "온도가 올라갈수록 불쾌지수가 올라가니까..."
<인터뷰> 송진하(시민) : "조금만 걸어도 땀이 너무 삐질삐질 나와서 너무 힘든 것 같아요."
올 여름 폭염의 기세는 지난해 여름 못지않습니다.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폭염일수를 비교해 보면, 올 7월은 전국 평균 6.4일로 지난해 5.5일보다 많았습니다.
7월의 전국 평균 기온은 26.4도로 역대 네 번째로 높았습니다.
<인터뷰> 우진규(기상청 예보분석관) :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로부터 유입된 뜨거운 수증기와 함께 중국 북부 내륙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면서 기온 상승효과가 매우 컸고, 특히나 우리나라 주변 해수 온도가 평년에 비해 2℃ 가량 높게 형성되면서 이와 같이 더운 날씨가 매우 장시간 이어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1년 중 가장 더운 8월, 폭염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요?
<인터뷰> 최현정(시민) : "양산을 쓴다든지, 차가운 커피를 마신다든지..."
<인터뷰> 송기준(시민) : "밝은 색 옷을 많이 입는 편입니다."
그럼, 밝은 색 옷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각각 밝은색과 어두운색 옷을 입은 뒤 10분 동안 서 있었는데요.
이후 열화상 카메라로 표면 온도를 측정해보니, 밝은 색 옷을 입었을 경우에, 온도가 높은 붉은 색이 훨씬 많이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오범조(서울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어두운 색깔의 옷은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어두운 색의 옷을 입었을 경우에 체표면의 온도가 조금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여름철에는 다소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옷을 입는 것이 더 좋습니다."
양산도 색깔에 따라 달라질까요?
밝은색과 어두운색 양산을 햇볕 아래 놔둔 뒤 온도를 측정했습니다.
밝은색 양산 아래 온도는 35.5도. 반면, 검은색 양산은 이보다 2도 가량 낮았는데요.
옷과 달리, 어두운색 양산이 햇볕을 많이 차단해 양산 아래 온도가 더 낮아진 겁니다.
장소에 따라선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그늘이 없는 아스팔트 도로, 기온이 36.7도까지 오릅니다.
도로 옆 잔디밭에선 33.5도로 3도 가량 낮아졌고, 도로에서 떨어진 숲 그늘에선 무려 5도 이상 낮았습니다.
<인터뷰> 박찬열(박사/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숲 그늘은 나무가 뿌리에 있는 물을 수증기로 만들면서 주변에 열기를 빼앗는데요. 이러한 증산작용에 의해서 도로보다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습니다."
높이에 따라서도 차이가 납니다.
3~4세 아이의 눈높이인 70cm에서의 기온은 35.4도.
어른 눈높이에서의 기온보다 1도 이상 더 높았습니다.
따라서 외출할 땐, 어린 아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폭염이 계속될 때 한낮엔 가급적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요,
그래도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해야 한다면 운동 시간을 평소보다 크게 줄이고, 30분에 10분씩 휴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운동 시작 전과 도중에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합니다.
만성질환이 있다면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인터뷰> 오범조(서울 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운동을 하면서 (땀으로) 체액을 자꾸 잃게 되면, 혈압이 저하되고요. 이로 인해서 심장이나 뇌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나 혈압이 높거나 낮아서 조절이 안 되는 경우에도 이런 체액순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달 8월은 중순 이후의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늦더위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건강 관리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태풍이 물러난 뒤엔 다시 폭염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입니다.
올 여름 폭염은 기록적인데요,
지난달 7월의 기온이 관측 사상 4번째로 높았습니다.
또 올해는 늦더위도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일상 생활에서 폭염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땡볕으로 달아오른 아스팔트에서 뜨거운 열기가 뿜어져 나옵니다.
가만히 서있기만 해도 어느새 땀이 주르륵, 흘러내립니다.
<인터뷰> 김예림(시민) : "온도가 올라갈수록 불쾌지수가 올라가니까..."
<인터뷰> 송진하(시민) : "조금만 걸어도 땀이 너무 삐질삐질 나와서 너무 힘든 것 같아요."
올 여름 폭염의 기세는 지난해 여름 못지않습니다.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폭염일수를 비교해 보면, 올 7월은 전국 평균 6.4일로 지난해 5.5일보다 많았습니다.
7월의 전국 평균 기온은 26.4도로 역대 네 번째로 높았습니다.
<인터뷰> 우진규(기상청 예보분석관) :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로부터 유입된 뜨거운 수증기와 함께 중국 북부 내륙으로부터 가열된 공기가 우리나라로 유입되면서 기온 상승효과가 매우 컸고, 특히나 우리나라 주변 해수 온도가 평년에 비해 2℃ 가량 높게 형성되면서 이와 같이 더운 날씨가 매우 장시간 이어졌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1년 중 가장 더운 8월, 폭염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요?
<인터뷰> 최현정(시민) : "양산을 쓴다든지, 차가운 커피를 마신다든지..."
<인터뷰> 송기준(시민) : "밝은 색 옷을 많이 입는 편입니다."
그럼, 밝은 색 옷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각각 밝은색과 어두운색 옷을 입은 뒤 10분 동안 서 있었는데요.
이후 열화상 카메라로 표면 온도를 측정해보니, 밝은 색 옷을 입었을 경우에, 온도가 높은 붉은 색이 훨씬 많이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오범조(서울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어두운 색깔의 옷은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어두운 색의 옷을 입었을 경우에 체표면의 온도가 조금 더 상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여름철에는 다소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옷을 입는 것이 더 좋습니다."
양산도 색깔에 따라 달라질까요?
밝은색과 어두운색 양산을 햇볕 아래 놔둔 뒤 온도를 측정했습니다.
밝은색 양산 아래 온도는 35.5도. 반면, 검은색 양산은 이보다 2도 가량 낮았는데요.
옷과 달리, 어두운색 양산이 햇볕을 많이 차단해 양산 아래 온도가 더 낮아진 겁니다.
장소에 따라선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그늘이 없는 아스팔트 도로, 기온이 36.7도까지 오릅니다.
도로 옆 잔디밭에선 33.5도로 3도 가량 낮아졌고, 도로에서 떨어진 숲 그늘에선 무려 5도 이상 낮았습니다.
<인터뷰> 박찬열(박사/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숲 그늘은 나무가 뿌리에 있는 물을 수증기로 만들면서 주변에 열기를 빼앗는데요. 이러한 증산작용에 의해서 도로보다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습니다."
높이에 따라서도 차이가 납니다.
3~4세 아이의 눈높이인 70cm에서의 기온은 35.4도.
어른 눈높이에서의 기온보다 1도 이상 더 높았습니다.
따라서 외출할 땐, 어린 아이에 대한 배려가 필요합니다.
폭염이 계속될 때 한낮엔 가급적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은데요,
그래도 건강을 위해 운동을 해야 한다면 운동 시간을 평소보다 크게 줄이고, 30분에 10분씩 휴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운동 시작 전과 도중에 물을 충분히 마셔야 합니다.
만성질환이 있다면 특히 주의해야 합니다.
<인터뷰> 오범조(서울 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운동을 하면서 (땀으로) 체액을 자꾸 잃게 되면, 혈압이 저하되고요. 이로 인해서 심장이나 뇌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나 혈압이 높거나 낮아서 조절이 안 되는 경우에도 이런 체액순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달 8월은 중순 이후의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늦더위도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건강 관리에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