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중국해 군사화 중단요구에 中 “역외국가 관여말라” 발끈
입력 2017.08.08 (14:17)
수정 2017.08.08 (14: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 중인 미국과 일본, 호주 외교장관들이 중국을 겨냥해 남중국해에 인공섬을 조성하고 군사화를 중단하라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데 대해 중국이 "역외국가는 관여하지 말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7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제7차 동아시아정상회의 외무장관회의에 참석해 미국과 일본, 호주의 공동성명에 대해 이같이 반박했다.
왕 부장은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은 각국의 이견을 조정하고, 지역 평화를 수호하는 '남중국해 행동수칙'(COC)을 합의해 낼 능력과 지혜가 있다"면서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의 노력으로 남중국해 정세는 이미 안정적인 추세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국가들을 겨냥해 "일부 역외국가들은 과거에 얽매여 남중국해 지역의 긍정적인 변화를 직시하려 하지 않는다"며 "전날 발표된 공동성명이 이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지적했다.
그는 회의 이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도 이번 성명과 관련해 "일부 국가들은 남중국해 정세가 안정되는 것은 원치 않는 것 같은 데 이 지역의 안정이 이들 국가의 이익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인지 묻고 싶다"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이어 아세안 10개 회원국 외교장관 공동성명에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인공섬을 조성과 군사화에 우려를 표명한 데 대해서는 "한두 국가의 의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이번 성명에 비군사화를 강조한 것 역시 역내, 역외 모든 국가가 자제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남중국해에서 어떤 국가가 가장 군사력을 과시하고 있는 지는 모두가 알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7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제7차 동아시아정상회의 외무장관회의에 참석해 미국과 일본, 호주의 공동성명에 대해 이같이 반박했다.
왕 부장은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은 각국의 이견을 조정하고, 지역 평화를 수호하는 '남중국해 행동수칙'(COC)을 합의해 낼 능력과 지혜가 있다"면서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의 노력으로 남중국해 정세는 이미 안정적인 추세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국가들을 겨냥해 "일부 역외국가들은 과거에 얽매여 남중국해 지역의 긍정적인 변화를 직시하려 하지 않는다"며 "전날 발표된 공동성명이 이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지적했다.
그는 회의 이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도 이번 성명과 관련해 "일부 국가들은 남중국해 정세가 안정되는 것은 원치 않는 것 같은 데 이 지역의 안정이 이들 국가의 이익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인지 묻고 싶다"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이어 아세안 10개 회원국 외교장관 공동성명에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인공섬을 조성과 군사화에 우려를 표명한 데 대해서는 "한두 국가의 의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이번 성명에 비군사화를 강조한 것 역시 역내, 역외 모든 국가가 자제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남중국해에서 어떤 국가가 가장 군사력을 과시하고 있는 지는 모두가 알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중국해 군사화 중단요구에 中 “역외국가 관여말라” 발끈
-
- 입력 2017-08-08 14:17:17
- 수정2017-08-08 14:20:03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 참석 중인 미국과 일본, 호주 외교장관들이 중국을 겨냥해 남중국해에 인공섬을 조성하고 군사화를 중단하라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데 대해 중국이 "역외국가는 관여하지 말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7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제7차 동아시아정상회의 외무장관회의에 참석해 미국과 일본, 호주의 공동성명에 대해 이같이 반박했다.
왕 부장은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은 각국의 이견을 조정하고, 지역 평화를 수호하는 '남중국해 행동수칙'(COC)을 합의해 낼 능력과 지혜가 있다"면서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의 노력으로 남중국해 정세는 이미 안정적인 추세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국가들을 겨냥해 "일부 역외국가들은 과거에 얽매여 남중국해 지역의 긍정적인 변화를 직시하려 하지 않는다"며 "전날 발표된 공동성명이 이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지적했다.
그는 회의 이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도 이번 성명과 관련해 "일부 국가들은 남중국해 정세가 안정되는 것은 원치 않는 것 같은 데 이 지역의 안정이 이들 국가의 이익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인지 묻고 싶다"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이어 아세안 10개 회원국 외교장관 공동성명에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인공섬을 조성과 군사화에 우려를 표명한 데 대해서는 "한두 국가의 의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이번 성명에 비군사화를 강조한 것 역시 역내, 역외 모든 국가가 자제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남중국해에서 어떤 국가가 가장 군사력을 과시하고 있는 지는 모두가 알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7일(현지시간)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제7차 동아시아정상회의 외무장관회의에 참석해 미국과 일본, 호주의 공동성명에 대해 이같이 반박했다.
왕 부장은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은 각국의 이견을 조정하고, 지역 평화를 수호하는 '남중국해 행동수칙'(COC)을 합의해 낼 능력과 지혜가 있다"면서 "중국과 아세안 국가들의 노력으로 남중국해 정세는 이미 안정적인 추세에 접어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국가들을 겨냥해 "일부 역외국가들은 과거에 얽매여 남중국해 지역의 긍정적인 변화를 직시하려 하지 않는다"며 "전날 발표된 공동성명이 이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지적했다.
그는 회의 이후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도 이번 성명과 관련해 "일부 국가들은 남중국해 정세가 안정되는 것은 원치 않는 것 같은 데 이 지역의 안정이 이들 국가의 이익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인지 묻고 싶다"고 강조했다.
왕 부장은 이어 아세안 10개 회원국 외교장관 공동성명에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인공섬을 조성과 군사화에 우려를 표명한 데 대해서는 "한두 국가의 의견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이번 성명에 비군사화를 강조한 것 역시 역내, 역외 모든 국가가 자제해야 한다는 의미"라며 "남중국해에서 어떤 국가가 가장 군사력을 과시하고 있는 지는 모두가 알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
-
김진화 기자 evolution@kbs.co.kr
김진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