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일군 삵 포착…“자연 적응 성공”
입력 2017.08.17 (07:35)
수정 2017.08.17 (07: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몇년 전 동물원에서 멸종위기종인 삵 7마리를 방사했지만 대부분 폐사하고 말았는데요,
살아남은 한 쌍이 최근 새끼를 낳고 일가를 이룬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국내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자연에 적응한 겁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마 양쪽에 뚜렷한 줄무늬와 다부진 턱.
멸종위기종인 고양이과, 삵입니다.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가 싶더니, 수영하고 놀던 다른 새끼들을 차례로 부릅니다.
모두 세 마립니다.
<인터뷰> 최종인(시화호 지킴이) : "7월 초쯤 된 것 같아요. 그때 태어난 새끼 같아요. 물속에서 어린 새끼가 올라온다는 걸 저는 처음 봤거든요."
갈대 습지엔 최상위 포식자의 본성을 되찾은 삵 일가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녹취> "이건 새를 잡아먹은 거죠. 꿩 같은 거나 그런 걸 잡아먹은 거죠."
어미 삵은 동물원에서 태어나고 자라다 3년 전 이곳에 방사됐습니다.
차례로 방사된 7마리 가운데 이미 폐사한 삵이 4마리, 자연 적응에 실패했다는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한 쌍이 번식까지 성공해 가족을 이룬 모습이 처음 카메라에 포착된 겁니다.
<인터뷰> 어경연(서울대공원 종보전연구실장) : "야생에 돌려보냈을 때 적응해서 잘 살아갈 수 있을지 걱정을 많이 했는데 새끼를 낳은 게 확인이 됐기 때문에 굉장히 흥분되고…"
서울대공원은 일단 새끼들을 포획해 친자관계를 확인한 뒤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낼 계획입니다.
<녹취> "언젠가는 어미가 매몰차게 밀쳐내죠. 새끼들을, 그렇게 되면 각자도생, 그것이 자연생태계고요."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몇년 전 동물원에서 멸종위기종인 삵 7마리를 방사했지만 대부분 폐사하고 말았는데요,
살아남은 한 쌍이 최근 새끼를 낳고 일가를 이룬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국내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자연에 적응한 겁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마 양쪽에 뚜렷한 줄무늬와 다부진 턱.
멸종위기종인 고양이과, 삵입니다.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가 싶더니, 수영하고 놀던 다른 새끼들을 차례로 부릅니다.
모두 세 마립니다.
<인터뷰> 최종인(시화호 지킴이) : "7월 초쯤 된 것 같아요. 그때 태어난 새끼 같아요. 물속에서 어린 새끼가 올라온다는 걸 저는 처음 봤거든요."
갈대 습지엔 최상위 포식자의 본성을 되찾은 삵 일가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녹취> "이건 새를 잡아먹은 거죠. 꿩 같은 거나 그런 걸 잡아먹은 거죠."
어미 삵은 동물원에서 태어나고 자라다 3년 전 이곳에 방사됐습니다.
차례로 방사된 7마리 가운데 이미 폐사한 삵이 4마리, 자연 적응에 실패했다는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한 쌍이 번식까지 성공해 가족을 이룬 모습이 처음 카메라에 포착된 겁니다.
<인터뷰> 어경연(서울대공원 종보전연구실장) : "야생에 돌려보냈을 때 적응해서 잘 살아갈 수 있을지 걱정을 많이 했는데 새끼를 낳은 게 확인이 됐기 때문에 굉장히 흥분되고…"
서울대공원은 일단 새끼들을 포획해 친자관계를 확인한 뒤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낼 계획입니다.
<녹취> "언젠가는 어미가 매몰차게 밀쳐내죠. 새끼들을, 그렇게 되면 각자도생, 그것이 자연생태계고요."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족 일군 삵 포착…“자연 적응 성공”
-
- 입력 2017-08-17 07:39:46
- 수정2017-08-17 07:43:40

<앵커 멘트>
몇년 전 동물원에서 멸종위기종인 삵 7마리를 방사했지만 대부분 폐사하고 말았는데요,
살아남은 한 쌍이 최근 새끼를 낳고 일가를 이룬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국내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자연에 적응한 겁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마 양쪽에 뚜렷한 줄무늬와 다부진 턱.
멸종위기종인 고양이과, 삵입니다.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가 싶더니, 수영하고 놀던 다른 새끼들을 차례로 부릅니다.
모두 세 마립니다.
<인터뷰> 최종인(시화호 지킴이) : "7월 초쯤 된 것 같아요. 그때 태어난 새끼 같아요. 물속에서 어린 새끼가 올라온다는 걸 저는 처음 봤거든요."
갈대 습지엔 최상위 포식자의 본성을 되찾은 삵 일가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녹취> "이건 새를 잡아먹은 거죠. 꿩 같은 거나 그런 걸 잡아먹은 거죠."
어미 삵은 동물원에서 태어나고 자라다 3년 전 이곳에 방사됐습니다.
차례로 방사된 7마리 가운데 이미 폐사한 삵이 4마리, 자연 적응에 실패했다는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한 쌍이 번식까지 성공해 가족을 이룬 모습이 처음 카메라에 포착된 겁니다.
<인터뷰> 어경연(서울대공원 종보전연구실장) : "야생에 돌려보냈을 때 적응해서 잘 살아갈 수 있을지 걱정을 많이 했는데 새끼를 낳은 게 확인이 됐기 때문에 굉장히 흥분되고…"
서울대공원은 일단 새끼들을 포획해 친자관계를 확인한 뒤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낼 계획입니다.
<녹취> "언젠가는 어미가 매몰차게 밀쳐내죠. 새끼들을, 그렇게 되면 각자도생, 그것이 자연생태계고요."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몇년 전 동물원에서 멸종위기종인 삵 7마리를 방사했지만 대부분 폐사하고 말았는데요,
살아남은 한 쌍이 최근 새끼를 낳고 일가를 이룬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습니다.
국내 생태계의 최상위 포식자로 자연에 적응한 겁니다.
송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마 양쪽에 뚜렷한 줄무늬와 다부진 턱.
멸종위기종인 고양이과, 삵입니다.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가 싶더니, 수영하고 놀던 다른 새끼들을 차례로 부릅니다.
모두 세 마립니다.
<인터뷰> 최종인(시화호 지킴이) : "7월 초쯤 된 것 같아요. 그때 태어난 새끼 같아요. 물속에서 어린 새끼가 올라온다는 걸 저는 처음 봤거든요."
갈대 습지엔 최상위 포식자의 본성을 되찾은 삵 일가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습니다.
<녹취> "이건 새를 잡아먹은 거죠. 꿩 같은 거나 그런 걸 잡아먹은 거죠."
어미 삵은 동물원에서 태어나고 자라다 3년 전 이곳에 방사됐습니다.
차례로 방사된 7마리 가운데 이미 폐사한 삵이 4마리, 자연 적응에 실패했다는 우려가 커진 상황에서, 한 쌍이 번식까지 성공해 가족을 이룬 모습이 처음 카메라에 포착된 겁니다.
<인터뷰> 어경연(서울대공원 종보전연구실장) : "야생에 돌려보냈을 때 적응해서 잘 살아갈 수 있을지 걱정을 많이 했는데 새끼를 낳은 게 확인이 됐기 때문에 굉장히 흥분되고…"
서울대공원은 일단 새끼들을 포획해 친자관계를 확인한 뒤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낼 계획입니다.
<녹취> "언젠가는 어미가 매몰차게 밀쳐내죠. 새끼들을, 그렇게 되면 각자도생, 그것이 자연생태계고요."
KBS 뉴스 송명희입니다.
-
-
송명희 기자 thimble@kbs.co.kr
송명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