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달걀 농가 확산…정부 대응 미숙

입력 2017.08.18 (08:06) 수정 2017.08.18 (09: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달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가가 어제 하루에만 26곳 추가돼 전국 32곳으로 늘었습니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요.

경기도가 모두 14곳으로 가장 많았구요,

경북 5곳, 충남 4곳, 전남 3곳 순이었습니다.

이중에는 닭에 사용이 전면 금지된 피프로닐이 검출된 곳은 6곳이구요,

비펜트린은 23곳에서 나왔고, 에톡사졸 등 새로운 살충제 성분도 3곳에서 검출됐습니다.

부적합 농가의 물량은 전부 회수해 폐기되고요.

적합 판정 농가의 달걀은 정상 유통됩니다.

네, 물론 모든 산란계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을 사용해선 안 되겠지만, 이번에 특히 국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는 게 있는데요,

바로 친환경 농가에서도 살충제 사용이 있어왔다는 겁니다.

이번 조사에서 축사에서 살충제를 사용하는 등, 인증기준을 위반한 친환경 농가는 63곳에 달했는데요.

문제는 이 인증 업무를 60여 개 민간업체에 맡기고 정부기관인 농산물품질관리원은 사후관리만 해 왔다는 겁니다.

이 사후관리조차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1년에 한 번만 진행하는 실정인데요,

인증을 받으면 길게는 5년간 매년 3천만 원씩 직불금 지원을 받는 데다 일반 상품보다 2배 가까이 비싸게 팔 수 있지만 관리는 허술했던 겁니다.

이러다 보니 인증이 남발돼 대형 농장 10곳 중 7곳이 친환경 농가인데, 여기에 들어간 정부 직불금만 지난해 23억 원에 달합니다.

이번 사태로 여론의 비판이 거세자 정부는 친환경 기관의 통폐합까지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살충제 달걀 문제를 다루는 정부 대응 방식도 도마위에 오르고 있는데요,

지금 정부가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게 너무 급하게 이뤄지다 보니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원래는 검사원이 예고 없이 양계장에 들러 무작위로 시료를 수거하는 게 상식인데요,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농가가 미리 준비해 준 달걀을 가지고 왔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 각 농가가 마을회관에 직접 가져온 달걀을 검사원이 한 번에 싣고가서 바꿔치기가 얼마든지 가능했단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정부가 일정에 맞춰 서둘러 전수조사를 끝마치기 위해 원칙을 무시하고 조사의 신뢰성을 훼손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비난까지 쏟아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살충제 달걀이 처음 검출되고 나서 3일 안에 전수조사를 끝내겠다, 이렇게 밝혔었죠.

그게 어제까지였는데요.

전수조사 대상이 전국에 있는 모든 산란계 농가 천 2백여 곳이었고, 어제까지 전체 조사 농가의 70%가 발표됐습니다.

나머지 30%만 남은 셈인데요.

정부는 최대한 어제까지 시료 채취와 성분 분석 등을 마치고 오늘 내에 최종 결과를 발표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그동안 지자체에서도 조금씩 추가 검출 농가 소식이 들려왔기 때문에, 아마 지금까지 나온 32곳에서 살충제 달걀 검출 농가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 규모가 어느 정도 될지는 정부 발표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친절한 뉴스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살충제 달걀 농가 확산…정부 대응 미숙
    • 입력 2017-08-18 08:11:04
    • 수정2017-08-18 09:00:42
    아침뉴스타임
<기자 멘트>

달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가가 어제 하루에만 26곳 추가돼 전국 32곳으로 늘었습니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요.

경기도가 모두 14곳으로 가장 많았구요,

경북 5곳, 충남 4곳, 전남 3곳 순이었습니다.

이중에는 닭에 사용이 전면 금지된 피프로닐이 검출된 곳은 6곳이구요,

비펜트린은 23곳에서 나왔고, 에톡사졸 등 새로운 살충제 성분도 3곳에서 검출됐습니다.

부적합 농가의 물량은 전부 회수해 폐기되고요.

적합 판정 농가의 달걀은 정상 유통됩니다.

네, 물론 모든 산란계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을 사용해선 안 되겠지만, 이번에 특히 국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는 게 있는데요,

바로 친환경 농가에서도 살충제 사용이 있어왔다는 겁니다.

이번 조사에서 축사에서 살충제를 사용하는 등, 인증기준을 위반한 친환경 농가는 63곳에 달했는데요.

문제는 이 인증 업무를 60여 개 민간업체에 맡기고 정부기관인 농산물품질관리원은 사후관리만 해 왔다는 겁니다.

이 사후관리조차 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1년에 한 번만 진행하는 실정인데요,

인증을 받으면 길게는 5년간 매년 3천만 원씩 직불금 지원을 받는 데다 일반 상품보다 2배 가까이 비싸게 팔 수 있지만 관리는 허술했던 겁니다.

이러다 보니 인증이 남발돼 대형 농장 10곳 중 7곳이 친환경 농가인데, 여기에 들어간 정부 직불금만 지난해 23억 원에 달합니다.

이번 사태로 여론의 비판이 거세자 정부는 친환경 기관의 통폐합까지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살충제 달걀 문제를 다루는 정부 대응 방식도 도마위에 오르고 있는데요,

지금 정부가 전수조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게 너무 급하게 이뤄지다 보니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원래는 검사원이 예고 없이 양계장에 들러 무작위로 시료를 수거하는 게 상식인데요,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농가가 미리 준비해 준 달걀을 가지고 왔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 각 농가가 마을회관에 직접 가져온 달걀을 검사원이 한 번에 싣고가서 바꿔치기가 얼마든지 가능했단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정부가 일정에 맞춰 서둘러 전수조사를 끝마치기 위해 원칙을 무시하고 조사의 신뢰성을 훼손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비난까지 쏟아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살충제 달걀이 처음 검출되고 나서 3일 안에 전수조사를 끝내겠다, 이렇게 밝혔었죠.

그게 어제까지였는데요.

전수조사 대상이 전국에 있는 모든 산란계 농가 천 2백여 곳이었고, 어제까지 전체 조사 농가의 70%가 발표됐습니다.

나머지 30%만 남은 셈인데요.

정부는 최대한 어제까지 시료 채취와 성분 분석 등을 마치고 오늘 내에 최종 결과를 발표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그동안 지자체에서도 조금씩 추가 검출 농가 소식이 들려왔기 때문에, 아마 지금까지 나온 32곳에서 살충제 달걀 검출 농가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 규모가 어느 정도 될지는 정부 발표를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친절한 뉴스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