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격자가 약 판매한 대형약국 무더기 적발
입력 2017.09.06 (06:38)
수정 2017.09.06 (06: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종로·남대문 일대 대형약국에서 약사 자격증이 없는 판매원들이 약을 팔다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 특별사법경찰은 약사법 위반 혐의로 대형약국 6곳, 의약품도매상 1곳을 적발하고 14명을 형사 입건했다고 6일 밝혔다.
수사 결과, 종로·남대문시장 등 대형약국 밀집지역에서 여전히 무자격 판매원을 고용해 의약품을 파는 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었다.
일부 약국은 처방을 받아야만 판매할 수 있는 발기부전치료제를 단골손님에게 그냥 팔기도 했다.
무자격자가 의약품을 팔면 약사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강필영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장은 "의약품을 구매할 때 존재하지도 않은 '도매약국'이라는 말에 현혹되지 말고 신뢰할 수 있는 약국에서 정확한 정보를 받고, 도움을 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시 특별사법경찰은 약사법 위반 혐의로 대형약국 6곳, 의약품도매상 1곳을 적발하고 14명을 형사 입건했다고 6일 밝혔다.
수사 결과, 종로·남대문시장 등 대형약국 밀집지역에서 여전히 무자격 판매원을 고용해 의약품을 파는 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었다.
일부 약국은 처방을 받아야만 판매할 수 있는 발기부전치료제를 단골손님에게 그냥 팔기도 했다.
무자격자가 의약품을 팔면 약사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강필영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장은 "의약품을 구매할 때 존재하지도 않은 '도매약국'이라는 말에 현혹되지 말고 신뢰할 수 있는 약국에서 정확한 정보를 받고, 도움을 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무자격자가 약 판매한 대형약국 무더기 적발
-
- 입력 2017-09-06 06:38:33
- 수정2017-09-06 06:57:36

서울 종로·남대문 일대 대형약국에서 약사 자격증이 없는 판매원들이 약을 팔다가 무더기로 적발됐다.
서울시 특별사법경찰은 약사법 위반 혐의로 대형약국 6곳, 의약품도매상 1곳을 적발하고 14명을 형사 입건했다고 6일 밝혔다.
수사 결과, 종로·남대문시장 등 대형약국 밀집지역에서 여전히 무자격 판매원을 고용해 의약품을 파는 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었다.
일부 약국은 처방을 받아야만 판매할 수 있는 발기부전치료제를 단골손님에게 그냥 팔기도 했다.
무자격자가 의약품을 팔면 약사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강필영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장은 "의약품을 구매할 때 존재하지도 않은 '도매약국'이라는 말에 현혹되지 말고 신뢰할 수 있는 약국에서 정확한 정보를 받고, 도움을 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시 특별사법경찰은 약사법 위반 혐의로 대형약국 6곳, 의약품도매상 1곳을 적발하고 14명을 형사 입건했다고 6일 밝혔다.
수사 결과, 종로·남대문시장 등 대형약국 밀집지역에서 여전히 무자격 판매원을 고용해 의약품을 파는 행위가 근절되지 않고 있었다.
일부 약국은 처방을 받아야만 판매할 수 있는 발기부전치료제를 단골손님에게 그냥 팔기도 했다.
무자격자가 의약품을 팔면 약사법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강필영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장은 "의약품을 구매할 때 존재하지도 않은 '도매약국'이라는 말에 현혹되지 말고 신뢰할 수 있는 약국에서 정확한 정보를 받고, 도움을 받길 바란다"고 말했다.
-
-
박진영 기자 parkjy@kbs.co.kr
박진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