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사할린-홋카이도 연결 거대 교량 건설 日에 제안
입력 2017.09.06 (16:30)
수정 2017.09.06 (16: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가 극동 사할린 섬과 일본 북단 홋카이도를 잇는 자동차 도로-철도 복합형 거대 교량을 건설할 것을 일본 측에 제안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제1부총리 이고리 슈발로프는 6일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막한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해 이 같은 제안을 내놓았다.
슈발로프 부총리는 포럼 세션에서 교량 건설을 제안하면서 "러시아는 태평양 연안의 연해주 대륙 쪽으로 같은 식의 복합 교량 건설에 착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러시아가 철도 인프라를 연장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일본을 대륙과 연결되는 강국으로 만들어 줄 것"이라고 슈발로프는 강조했다.
일본 섬 홋카이도를 러시아 사할린 섬과 연결하고 동시에 사할린과 러시아 대륙을 연결함으로써 러시아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일본까지 이어지고 일본이 이 철도를 이용해 유럽까지 승객과 화물을 실어나르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란 설명이었다.
이 구상에 대한 일본 측의 반응은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이 같은 구상은 그동안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논의돼온 한반도종단철도(TKR)-TSR 연결 구상과 경쟁 관계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제1부총리 이고리 슈발로프는 6일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막한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해 이 같은 제안을 내놓았다.
슈발로프 부총리는 포럼 세션에서 교량 건설을 제안하면서 "러시아는 태평양 연안의 연해주 대륙 쪽으로 같은 식의 복합 교량 건설에 착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러시아가 철도 인프라를 연장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일본을 대륙과 연결되는 강국으로 만들어 줄 것"이라고 슈발로프는 강조했다.
일본 섬 홋카이도를 러시아 사할린 섬과 연결하고 동시에 사할린과 러시아 대륙을 연결함으로써 러시아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일본까지 이어지고 일본이 이 철도를 이용해 유럽까지 승객과 화물을 실어나르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란 설명이었다.
이 구상에 대한 일본 측의 반응은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이 같은 구상은 그동안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논의돼온 한반도종단철도(TKR)-TSR 연결 구상과 경쟁 관계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시아, 사할린-홋카이도 연결 거대 교량 건설 日에 제안
-
- 입력 2017-09-06 16:30:15
- 수정2017-09-06 16:35:24

러시아가 극동 사할린 섬과 일본 북단 홋카이도를 잇는 자동차 도로-철도 복합형 거대 교량을 건설할 것을 일본 측에 제안했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제1부총리 이고리 슈발로프는 6일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막한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해 이 같은 제안을 내놓았다.
슈발로프 부총리는 포럼 세션에서 교량 건설을 제안하면서 "러시아는 태평양 연안의 연해주 대륙 쪽으로 같은 식의 복합 교량 건설에 착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러시아가 철도 인프라를 연장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일본을 대륙과 연결되는 강국으로 만들어 줄 것"이라고 슈발로프는 강조했다.
일본 섬 홋카이도를 러시아 사할린 섬과 연결하고 동시에 사할린과 러시아 대륙을 연결함으로써 러시아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일본까지 이어지고 일본이 이 철도를 이용해 유럽까지 승객과 화물을 실어나르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란 설명이었다.
이 구상에 대한 일본 측의 반응은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이 같은 구상은 그동안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논의돼온 한반도종단철도(TKR)-TSR 연결 구상과 경쟁 관계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타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제1부총리 이고리 슈발로프는 6일 극동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막한 제3차 '동방경제포럼'에 참석해 이 같은 제안을 내놓았다.
슈발로프 부총리는 포럼 세션에서 교량 건설을 제안하면서 "러시아는 태평양 연안의 연해주 대륙 쪽으로 같은 식의 복합 교량 건설에 착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러시아가 철도 인프라를 연장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하고 일본을 대륙과 연결되는 강국으로 만들어 줄 것"이라고 슈발로프는 강조했다.
일본 섬 홋카이도를 러시아 사할린 섬과 연결하고 동시에 사할린과 러시아 대륙을 연결함으로써 러시아 시베리아횡단철도(TSR)가 일본까지 이어지고 일본이 이 철도를 이용해 유럽까지 승객과 화물을 실어나르는 가능성이 열릴 것이란 설명이었다.
이 구상에 대한 일본 측의 반응은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이 같은 구상은 그동안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논의돼온 한반도종단철도(TKR)-TSR 연결 구상과 경쟁 관계에 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
-
하준수 기자 ha6666js@kbs.co.kr
하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