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80만 명 추방 위기…한인사회 ‘촉각’
입력 2017.09.06 (21:25)
수정 2017.09.06 (21: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트럼프 정부가 오늘(6일) 오바마 정부 시절 시행됐던 불법 체류 청년의 추방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공식 폐지한다고 밝혔습니다.
6개월의 유예기간을 뒀지만, 80만 명의 청년들이 추방될 처지에 놓이면서, 미 전역에서 반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프 세션스 법무장관이 불법체류 청년의 추방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의 폐지를 발표하면서 밝힌 이유는 헌법에 위배된다는 겁니다.
<녹취> 제프 세션스(법무 장관) : "이처럼 개방지향적으로 이민법을 시행하는 것은 위헌적인 행정명령에 해당됩니다."
세션스 장관은 "이 행정명령이 미국인의 일자리를 침해한다"고 말했고, 백악관도 브리핑에서 일자리 보호를 위한 결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사라 허커비 샌더스(백악관 대변인) : "대통령은 미국인의 임금과 일자리 보호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이민정책 개혁을 공약해 당선됐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의회가 후속입법조치를 할 수 있도록 6개월의 유예기간을 뒀습니다.
이후 80만 명으로 추산되는 불법체류 청년들이 강제 추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 전역에선 반대 시위가 벌어졌고, 맨하탄 트럼프 타워 앞에서는 시위 청년 30여 명이 체포됐습니다.
<녹취> 멜로디 클링겐푸스 : "오늘은 미국의 수치스러운 날입니다. 우리는 얼굴을 공개하며 계속 싸우기 위해 이렇게 모두 모였습니다."
실리콘 밸리의 주요 기업들도 집단 반발했고 여야 정치권 뿐만 아니라 오마바 전 대통령도 SNS를 통해 잔인하고 자기 패배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행정명령 폐지가 본격 실행되면 최소 7천명에서 많게는 만명의 한인 청년들이 추방대상이 될 수 있어 재미 한인사회도 이번 결정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오늘(6일) 오바마 정부 시절 시행됐던 불법 체류 청년의 추방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공식 폐지한다고 밝혔습니다.
6개월의 유예기간을 뒀지만, 80만 명의 청년들이 추방될 처지에 놓이면서, 미 전역에서 반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프 세션스 법무장관이 불법체류 청년의 추방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의 폐지를 발표하면서 밝힌 이유는 헌법에 위배된다는 겁니다.
<녹취> 제프 세션스(법무 장관) : "이처럼 개방지향적으로 이민법을 시행하는 것은 위헌적인 행정명령에 해당됩니다."
세션스 장관은 "이 행정명령이 미국인의 일자리를 침해한다"고 말했고, 백악관도 브리핑에서 일자리 보호를 위한 결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사라 허커비 샌더스(백악관 대변인) : "대통령은 미국인의 임금과 일자리 보호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이민정책 개혁을 공약해 당선됐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의회가 후속입법조치를 할 수 있도록 6개월의 유예기간을 뒀습니다.
이후 80만 명으로 추산되는 불법체류 청년들이 강제 추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 전역에선 반대 시위가 벌어졌고, 맨하탄 트럼프 타워 앞에서는 시위 청년 30여 명이 체포됐습니다.
<녹취> 멜로디 클링겐푸스 : "오늘은 미국의 수치스러운 날입니다. 우리는 얼굴을 공개하며 계속 싸우기 위해 이렇게 모두 모였습니다."
실리콘 밸리의 주요 기업들도 집단 반발했고 여야 정치권 뿐만 아니라 오마바 전 대통령도 SNS를 통해 잔인하고 자기 패배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행정명령 폐지가 본격 실행되면 최소 7천명에서 많게는 만명의 한인 청년들이 추방대상이 될 수 있어 재미 한인사회도 이번 결정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80만 명 추방 위기…한인사회 ‘촉각’
-
- 입력 2017-09-06 21:27:07
- 수정2017-09-06 21:32:13

<앵커 멘트>
트럼프 정부가 오늘(6일) 오바마 정부 시절 시행됐던 불법 체류 청년의 추방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공식 폐지한다고 밝혔습니다.
6개월의 유예기간을 뒀지만, 80만 명의 청년들이 추방될 처지에 놓이면서, 미 전역에서 반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프 세션스 법무장관이 불법체류 청년의 추방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의 폐지를 발표하면서 밝힌 이유는 헌법에 위배된다는 겁니다.
<녹취> 제프 세션스(법무 장관) : "이처럼 개방지향적으로 이민법을 시행하는 것은 위헌적인 행정명령에 해당됩니다."
세션스 장관은 "이 행정명령이 미국인의 일자리를 침해한다"고 말했고, 백악관도 브리핑에서 일자리 보호를 위한 결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사라 허커비 샌더스(백악관 대변인) : "대통령은 미국인의 임금과 일자리 보호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이민정책 개혁을 공약해 당선됐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의회가 후속입법조치를 할 수 있도록 6개월의 유예기간을 뒀습니다.
이후 80만 명으로 추산되는 불법체류 청년들이 강제 추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 전역에선 반대 시위가 벌어졌고, 맨하탄 트럼프 타워 앞에서는 시위 청년 30여 명이 체포됐습니다.
<녹취> 멜로디 클링겐푸스 : "오늘은 미국의 수치스러운 날입니다. 우리는 얼굴을 공개하며 계속 싸우기 위해 이렇게 모두 모였습니다."
실리콘 밸리의 주요 기업들도 집단 반발했고 여야 정치권 뿐만 아니라 오마바 전 대통령도 SNS를 통해 잔인하고 자기 패배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행정명령 폐지가 본격 실행되면 최소 7천명에서 많게는 만명의 한인 청년들이 추방대상이 될 수 있어 재미 한인사회도 이번 결정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오늘(6일) 오바마 정부 시절 시행됐던 불법 체류 청년의 추방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공식 폐지한다고 밝혔습니다.
6개월의 유예기간을 뒀지만, 80만 명의 청년들이 추방될 처지에 놓이면서, 미 전역에서 반발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뉴욕 김철우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제프 세션스 법무장관이 불법체류 청년의 추방을 유예하는 행정명령의 폐지를 발표하면서 밝힌 이유는 헌법에 위배된다는 겁니다.
<녹취> 제프 세션스(법무 장관) : "이처럼 개방지향적으로 이민법을 시행하는 것은 위헌적인 행정명령에 해당됩니다."
세션스 장관은 "이 행정명령이 미국인의 일자리를 침해한다"고 말했고, 백악관도 브리핑에서 일자리 보호를 위한 결정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녹취> 사라 허커비 샌더스(백악관 대변인) : "대통령은 미국인의 임금과 일자리 보호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이민정책 개혁을 공약해 당선됐습니다."
트럼프 정부는 의회가 후속입법조치를 할 수 있도록 6개월의 유예기간을 뒀습니다.
이후 80만 명으로 추산되는 불법체류 청년들이 강제 추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 전역에선 반대 시위가 벌어졌고, 맨하탄 트럼프 타워 앞에서는 시위 청년 30여 명이 체포됐습니다.
<녹취> 멜로디 클링겐푸스 : "오늘은 미국의 수치스러운 날입니다. 우리는 얼굴을 공개하며 계속 싸우기 위해 이렇게 모두 모였습니다."
실리콘 밸리의 주요 기업들도 집단 반발했고 여야 정치권 뿐만 아니라 오마바 전 대통령도 SNS를 통해 잔인하고 자기 패배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행정명령 폐지가 본격 실행되면 최소 7천명에서 많게는 만명의 한인 청년들이 추방대상이 될 수 있어 재미 한인사회도 이번 결정의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KBS 뉴스 김철우입니다.
-
-
김철우 기자 cwkim@kbs.co.kr
김철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