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시설 정밀 타격’…타우러스 첫 실사격 성공
입력 2017.09.13 (19:10)
수정 2017.09.13 (19: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 군이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에 대한 첫 실사격에 성공했습니다.
북한의 핵 미사일 시설에 대한 정밀 타격능력이 강화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김성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공군과 방위사업청은 어제 서해 상공에서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의 최초 실사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F-15K가 서해 상공에서 발사한 타우러스 미사일은 400km를 자체 항법으로 비행해 직도 사격장의 표적에 명중했습니다.
6차 핵실험과 ICBM급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응 능력과, 적 핵심시설에 대한 원거리 정밀 타격능력을 과시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특히 타우러스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기지 등 핵심시설을 타격해야 하는 상황에서 미리 설치된 장애물을 피해 낮은 고도로 고속 순항 비행해 목표물을 타격했습니다.
최대 사거리가 500km인 타우러스는 북한의 도발 징후가 포착되면 적 방공망을 벗어난 후방지역에서 주요 전략목표를 정밀 타격할 수 있습니다.
스텔스 기술이 적용돼 북한 레이더망에 탐지되지 않고, 군용 GPS가 장착돼 전파교란 상황에서도 목표를 3미터 이내에서 정확히 타격할 수 있습니다.
철근 콘크리트도 3미터를 관통하는 파괴력을 지녀 '킬체인'의 핵심전력으로 꼽힙니다.
타우러스는 독일에서 제조된 미사일로, 우리 군은 올해 말까지 170발, 이후에도 90발을 추가 도입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우리 군이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에 대한 첫 실사격에 성공했습니다.
북한의 핵 미사일 시설에 대한 정밀 타격능력이 강화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김성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공군과 방위사업청은 어제 서해 상공에서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의 최초 실사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F-15K가 서해 상공에서 발사한 타우러스 미사일은 400km를 자체 항법으로 비행해 직도 사격장의 표적에 명중했습니다.
6차 핵실험과 ICBM급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응 능력과, 적 핵심시설에 대한 원거리 정밀 타격능력을 과시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특히 타우러스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기지 등 핵심시설을 타격해야 하는 상황에서 미리 설치된 장애물을 피해 낮은 고도로 고속 순항 비행해 목표물을 타격했습니다.
최대 사거리가 500km인 타우러스는 북한의 도발 징후가 포착되면 적 방공망을 벗어난 후방지역에서 주요 전략목표를 정밀 타격할 수 있습니다.
스텔스 기술이 적용돼 북한 레이더망에 탐지되지 않고, 군용 GPS가 장착돼 전파교란 상황에서도 목표를 3미터 이내에서 정확히 타격할 수 있습니다.
철근 콘크리트도 3미터를 관통하는 파괴력을 지녀 '킬체인'의 핵심전력으로 꼽힙니다.
타우러스는 독일에서 제조된 미사일로, 우리 군은 올해 말까지 170발, 이후에도 90발을 추가 도입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핵 시설 정밀 타격’…타우러스 첫 실사격 성공
-
- 입력 2017-09-13 19:12:08
- 수정2017-09-13 19:14:27

<앵커 멘트>
우리 군이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에 대한 첫 실사격에 성공했습니다.
북한의 핵 미사일 시설에 대한 정밀 타격능력이 강화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김성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공군과 방위사업청은 어제 서해 상공에서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의 최초 실사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F-15K가 서해 상공에서 발사한 타우러스 미사일은 400km를 자체 항법으로 비행해 직도 사격장의 표적에 명중했습니다.
6차 핵실험과 ICBM급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응 능력과, 적 핵심시설에 대한 원거리 정밀 타격능력을 과시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특히 타우러스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기지 등 핵심시설을 타격해야 하는 상황에서 미리 설치된 장애물을 피해 낮은 고도로 고속 순항 비행해 목표물을 타격했습니다.
최대 사거리가 500km인 타우러스는 북한의 도발 징후가 포착되면 적 방공망을 벗어난 후방지역에서 주요 전략목표를 정밀 타격할 수 있습니다.
스텔스 기술이 적용돼 북한 레이더망에 탐지되지 않고, 군용 GPS가 장착돼 전파교란 상황에서도 목표를 3미터 이내에서 정확히 타격할 수 있습니다.
철근 콘크리트도 3미터를 관통하는 파괴력을 지녀 '킬체인'의 핵심전력으로 꼽힙니다.
타우러스는 독일에서 제조된 미사일로, 우리 군은 올해 말까지 170발, 이후에도 90발을 추가 도입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우리 군이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에 대한 첫 실사격에 성공했습니다.
북한의 핵 미사일 시설에 대한 정밀 타격능력이 강화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김성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공군과 방위사업청은 어제 서해 상공에서 장거리 공대지 유도미사일 '타우러스'의 최초 실사격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습니다.
F-15K가 서해 상공에서 발사한 타우러스 미사일은 400km를 자체 항법으로 비행해 직도 사격장의 표적에 명중했습니다.
6차 핵실험과 ICBM급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한 강력한 대응 능력과, 적 핵심시설에 대한 원거리 정밀 타격능력을 과시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특히 타우러스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기지 등 핵심시설을 타격해야 하는 상황에서 미리 설치된 장애물을 피해 낮은 고도로 고속 순항 비행해 목표물을 타격했습니다.
최대 사거리가 500km인 타우러스는 북한의 도발 징후가 포착되면 적 방공망을 벗어난 후방지역에서 주요 전략목표를 정밀 타격할 수 있습니다.
스텔스 기술이 적용돼 북한 레이더망에 탐지되지 않고, 군용 GPS가 장착돼 전파교란 상황에서도 목표를 3미터 이내에서 정확히 타격할 수 있습니다.
철근 콘크리트도 3미터를 관통하는 파괴력을 지녀 '킬체인'의 핵심전력으로 꼽힙니다.
타우러스는 독일에서 제조된 미사일로, 우리 군은 올해 말까지 170발, 이후에도 90발을 추가 도입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
-
김성진 기자 sjkim9kbs@gmail.com
김성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