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분청사기, 2천 년 가야 토기 맥 잇는다

입력 2017.09.20 (06:46) 수정 2017.09.20 (07: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금관가야` 땅으로 알려진 경남 김해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분청사기 가마터'가 발견되면서 김해가 분청사기의 본고장으로 밝혀졌습니다.

김해 지역에는 지금도 140여 개의 공방에서 `분청사기`를 제작하면서 옛 가야토기의 맥을 잇고 있습니다.

이정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고풍스럽고 독특한 문양의 도자기.

투박하면서도 섬세한 아름다움이 드러납니다.

서민들이 사용하던 그릇 '분청사기'입니다.

27년째 분청사기를 만드는 도예가가 `물레`에서 그릇의 모양을 잡습니다.

표면을 다듬은 뒤 화장토를 바르는 작업, '분청'이라는 이름은 이 과정에서 붙었습니다.

<인터뷰> 김태수(도예가) : "왜 '분청'이라고 하냐면 여자분들 화장하듯이 흙 위에 하얀 분을 발라준다고 해서 분청입니다."

도자기는 1,300도의 가마 안에서 24시간 동안 구워지고 난 뒤 '분청사기'로 탄생합니다.

2천년 전 가야토기의 맥이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전기에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지난해 김해 대감리에 있는 `분청사기 가마터`에서 3천여 점이 출토되면서 이같은 전통을 증명했습니다.

김해에서는 지금도 140여 개 공방들이 그 맥을 잇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효진(김해도예협회 이사장) : "분청만큼은 우리처럼 이렇게 많은 도예가가 모여서 활성화된 곳은 전국에서 우리 밖에 없다고..."

2천 년 전 가야토기 문화가 경남 도자기 문화의 중심지인 김해에서 다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해 분청사기, 2천 년 가야 토기 맥 잇는다
    • 입력 2017-09-20 06:51:57
    • 수정2017-09-20 07:16:01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금관가야` 땅으로 알려진 경남 김해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분청사기 가마터'가 발견되면서 김해가 분청사기의 본고장으로 밝혀졌습니다.

김해 지역에는 지금도 140여 개의 공방에서 `분청사기`를 제작하면서 옛 가야토기의 맥을 잇고 있습니다.

이정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고풍스럽고 독특한 문양의 도자기.

투박하면서도 섬세한 아름다움이 드러납니다.

서민들이 사용하던 그릇 '분청사기'입니다.

27년째 분청사기를 만드는 도예가가 `물레`에서 그릇의 모양을 잡습니다.

표면을 다듬은 뒤 화장토를 바르는 작업, '분청'이라는 이름은 이 과정에서 붙었습니다.

<인터뷰> 김태수(도예가) : "왜 '분청'이라고 하냐면 여자분들 화장하듯이 흙 위에 하얀 분을 발라준다고 해서 분청입니다."

도자기는 1,300도의 가마 안에서 24시간 동안 구워지고 난 뒤 '분청사기'로 탄생합니다.

2천년 전 가야토기의 맥이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 전기에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지난해 김해 대감리에 있는 `분청사기 가마터`에서 3천여 점이 출토되면서 이같은 전통을 증명했습니다.

김해에서는 지금도 140여 개 공방들이 그 맥을 잇고 있습니다.

<인터뷰> 강효진(김해도예협회 이사장) : "분청만큼은 우리처럼 이렇게 많은 도예가가 모여서 활성화된 곳은 전국에서 우리 밖에 없다고..."

2천 년 전 가야토기 문화가 경남 도자기 문화의 중심지인 김해에서 다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정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