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주거난 대안 ‘공공기숙사’…제도보완 필요

입력 2017.10.04 (07:08) 수정 2017.10.04 (07: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집값 상승으로 덩달아 임대료까지 오르면서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유학생들의 월세 부담이 만만찮은 데요.

이런 청년 주거난 해결에 공공기숙사가 돌파구가 되고 있기도 하지만, 주민 반발 등 넘어야할 산이 적지 않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남학생은 최근 공공기숙사에 입주하면서 주거비가 크게 줄었습니다.

세탁실은 물론 헬스장까지 갖춘 이 기숙사는 한달에 24만 원만 내면 됩니다.

<인터뷰> 정인식(대학생) : "자취를 3년 정도 했었는데요, 그 때 한달 생활비랑 월세가 100만 원 넘게 들어갔어요. 그게 엄청 부담되는 돈이거든요."

특히, 여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습니다.

<인터뷰> 고현아(대학생) : "경비아저씨까지 계시면서 치안까지 살펴주시는 것을 보고서, 기숙사에 살면서 안전하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어요."

정부의 공적자금을 활용한 공공기숙사가 완공되기까지 가장 어려웠던 일은 지역 주민의 반대를 설득하는 것이었다고 대학측은 말합니다.

<인터뷰> 김대식(광운대 공공기숙사 관장) : "가장 큰 것이 생계민원이었습니다. 생계민원은 '일단 기숙사가 들어서면, 나(임대사업자)는 망할 것이다', 그런 겁부터 내었습니다."

실제로 주민 반대를 의식한 지자체의 행정 처리 지연 등으로 기숙사 건립에 어려움을 겪는 곳이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박석희(가톨릭대 행정학과 교수) : "주거복지확대라는 기본 가치가 반영된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적(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이 기대되고요, 임대사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피해는 다른 경로를 통해서 보완하거나 제도적 지원책을 마련해야할 것입니다."

현재 10%대에 불과한 기숙사 수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과 주민들간 상생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년 주거난 대안 ‘공공기숙사’…제도보완 필요
    • 입력 2017-10-04 07:11:25
    • 수정2017-10-04 07:20:35
    뉴스광장
<앵커 멘트>

요즘 집값 상승으로 덩달아 임대료까지 오르면서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유학생들의 월세 부담이 만만찮은 데요.

이런 청년 주거난 해결에 공공기숙사가 돌파구가 되고 있기도 하지만, 주민 반발 등 넘어야할 산이 적지 않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이 남학생은 최근 공공기숙사에 입주하면서 주거비가 크게 줄었습니다.

세탁실은 물론 헬스장까지 갖춘 이 기숙사는 한달에 24만 원만 내면 됩니다.

<인터뷰> 정인식(대학생) : "자취를 3년 정도 했었는데요, 그 때 한달 생활비랑 월세가 100만 원 넘게 들어갔어요. 그게 엄청 부담되는 돈이거든요."

특히, 여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습니다.

<인터뷰> 고현아(대학생) : "경비아저씨까지 계시면서 치안까지 살펴주시는 것을 보고서, 기숙사에 살면서 안전하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어요."

정부의 공적자금을 활용한 공공기숙사가 완공되기까지 가장 어려웠던 일은 지역 주민의 반대를 설득하는 것이었다고 대학측은 말합니다.

<인터뷰> 김대식(광운대 공공기숙사 관장) : "가장 큰 것이 생계민원이었습니다. 생계민원은 '일단 기숙사가 들어서면, 나(임대사업자)는 망할 것이다', 그런 겁부터 내었습니다."

실제로 주민 반대를 의식한 지자체의 행정 처리 지연 등으로 기숙사 건립에 어려움을 겪는 곳이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박석희(가톨릭대 행정학과 교수) : "주거복지확대라는 기본 가치가 반영된 것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적(지자체의) 적극적인 역할이 기대되고요, 임대사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피해는 다른 경로를 통해서 보완하거나 제도적 지원책을 마련해야할 것입니다."

현재 10%대에 불과한 기숙사 수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과 주민들간 상생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