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원전 건설 찬반 입장 ‘팽팽’
입력 2017.10.12 (06:24)
수정 2017.10.12 (06: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주최한 마지막 지역 순회토론회가 어제 신고리 원전 건설지인 울산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도 건설 중단과 재개에 대한 입장 차이는 뚜렸했습니다.
박중관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지역인 울산에서 열린 마지막 지역 순회토론회.
건설 중단과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쪽의 입장차는 여전했습니다.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쪽이 내세우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성입니다.
원자력은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으로 값싼 전기로 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는 겁니다.
또 신고리 5, 6호기는 기존 원전에 비해서 10배 이상 안전하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윤병조(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가스발전소에 비해 3분의 1 가격이면 동일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보다 4분의 1 이상 저렴한 전원입니다."
건설 중단을 주장하는 쪽의 가장 큰 이유는 원전의 안전성입니다.
부산.울산은 원전 밀집지역인데다 지진 활성단층이 분포하고 있고 원전 건설의 안전 절차도 형식적이었다는 겁니다.
게다가 신고리 원전 30km안에 380만 명이 살고 있어 한 번 사고로도 치명적이라는 것.
<인터뷰> 김해창(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 "우리가 안전하다고 하는 원전조차도 유럽형이라든가 여기에 수출할 때는 우리 지금보다 훨씬 더 안전을 보강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이 제대로 검토가 되지 않았고.."
울산을 끝으로 지역 순회토론회를 마친 신고리 공론화위원회는 오는 20일 최종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합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주최한 마지막 지역 순회토론회가 어제 신고리 원전 건설지인 울산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도 건설 중단과 재개에 대한 입장 차이는 뚜렸했습니다.
박중관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지역인 울산에서 열린 마지막 지역 순회토론회.
건설 중단과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쪽의 입장차는 여전했습니다.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쪽이 내세우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성입니다.
원자력은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으로 값싼 전기로 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는 겁니다.
또 신고리 5, 6호기는 기존 원전에 비해서 10배 이상 안전하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윤병조(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가스발전소에 비해 3분의 1 가격이면 동일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보다 4분의 1 이상 저렴한 전원입니다."
건설 중단을 주장하는 쪽의 가장 큰 이유는 원전의 안전성입니다.
부산.울산은 원전 밀집지역인데다 지진 활성단층이 분포하고 있고 원전 건설의 안전 절차도 형식적이었다는 겁니다.
게다가 신고리 원전 30km안에 380만 명이 살고 있어 한 번 사고로도 치명적이라는 것.
<인터뷰> 김해창(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 "우리가 안전하다고 하는 원전조차도 유럽형이라든가 여기에 수출할 때는 우리 지금보다 훨씬 더 안전을 보강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이 제대로 검토가 되지 않았고.."
울산을 끝으로 지역 순회토론회를 마친 신고리 공론화위원회는 오는 20일 최종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합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신고리 원전 건설 찬반 입장 ‘팽팽’
-
- 입력 2017-10-12 06:26:49
- 수정2017-10-12 06:31:57

<앵커 멘트>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주최한 마지막 지역 순회토론회가 어제 신고리 원전 건설지인 울산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도 건설 중단과 재개에 대한 입장 차이는 뚜렸했습니다.
박중관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지역인 울산에서 열린 마지막 지역 순회토론회.
건설 중단과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쪽의 입장차는 여전했습니다.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쪽이 내세우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성입니다.
원자력은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으로 값싼 전기로 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는 겁니다.
또 신고리 5, 6호기는 기존 원전에 비해서 10배 이상 안전하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윤병조(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가스발전소에 비해 3분의 1 가격이면 동일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보다 4분의 1 이상 저렴한 전원입니다."
건설 중단을 주장하는 쪽의 가장 큰 이유는 원전의 안전성입니다.
부산.울산은 원전 밀집지역인데다 지진 활성단층이 분포하고 있고 원전 건설의 안전 절차도 형식적이었다는 겁니다.
게다가 신고리 원전 30km안에 380만 명이 살고 있어 한 번 사고로도 치명적이라는 것.
<인터뷰> 김해창(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 "우리가 안전하다고 하는 원전조차도 유럽형이라든가 여기에 수출할 때는 우리 지금보다 훨씬 더 안전을 보강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이 제대로 검토가 되지 않았고.."
울산을 끝으로 지역 순회토론회를 마친 신고리 공론화위원회는 오는 20일 최종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합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가 주최한 마지막 지역 순회토론회가 어제 신고리 원전 건설지인 울산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토론회에서도 건설 중단과 재개에 대한 입장 차이는 뚜렸했습니다.
박중관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지역인 울산에서 열린 마지막 지역 순회토론회.
건설 중단과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쪽의 입장차는 여전했습니다.
건설 재개를 주장하는 쪽이 내세우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성입니다.
원자력은 가장 저렴한 에너지원으로 값싼 전기로 산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는 겁니다.
또 신고리 5, 6호기는 기존 원전에 비해서 10배 이상 안전하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윤병조(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 : "가스발전소에 비해 3분의 1 가격이면 동일한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재생에너지보다 4분의 1 이상 저렴한 전원입니다."
건설 중단을 주장하는 쪽의 가장 큰 이유는 원전의 안전성입니다.
부산.울산은 원전 밀집지역인데다 지진 활성단층이 분포하고 있고 원전 건설의 안전 절차도 형식적이었다는 겁니다.
게다가 신고리 원전 30km안에 380만 명이 살고 있어 한 번 사고로도 치명적이라는 것.
<인터뷰> 김해창(경성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 "우리가 안전하다고 하는 원전조차도 유럽형이라든가 여기에 수출할 때는 우리 지금보다 훨씬 더 안전을 보강하고 있습니다. 그런 것이 제대로 검토가 되지 않았고.."
울산을 끝으로 지역 순회토론회를 마친 신고리 공론화위원회는 오는 20일 최종 권고안을 정부에 제출합니다.
KBS 뉴스 박중관입니다.
-
-
박중관 기자 jkp@kbs.co.kr
박중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