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여야 공방
입력 2017.10.12 (14:53)
수정 2017.10.12 (14: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일(오늘)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교육부 국정감사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두고 여야 의원들간에 공방이 이어졌다.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당시 교육부 학교정책실장이 의견접수 마지막 날 찬성의견서가 상자로 도착할 것이라며 준비를 지시했다는 진상조사위 발표를 언급하며 "(학교정책실장급이) 청와대나 국정원 지시 없이 이런 일에 나설 수 있느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진상조사위와 별개로 교육부가 여론조작 관련 의혹 조사에 나설 생각이 없는지 김상곤 부총리에게 물었고, 김 부총리는 "진상조사위에서 국정화 시행과정과 함께 배후 여부도 조사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같은 당 박경미 의원은 사전 보도자료를 통해 주오스트리아 대사관이 국정화에 비판적인 기사를 쓴 현지 언론인을 만나 해명하는 등 재외공관이 국정화 홍보에 동원됐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이 공식 발표되기 전부터 교육부가 청와대에 관련 일일보고를 했다는 주장도 폈다.
반면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정화 진상조사위에 대해 "국정교과서 반대 활동가 모임"이라며 "고석규 위원장은 국정교과서 집필거부와 폐기선언에 참여했고 다른 위원도 (국정화를) 적극적으로 반대한 사람들로 진상조사위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구성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행정예고 때) 반대의견이 32만여 건 제출됐는데 이중 13만 5천여 건이 익명이나 이름·주소가 불명확한 것이었다"면서 "전날 진상조사위가 찬성의견만 왜곡되고 조작된 것처럼 발표했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한선교 의원은 교육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작업에 참여한 직원들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다는 주장을 폈다. 한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정책적으로 결정한 사안"이라면서 "책임이 있다면 박 전 대통령에게 있는데 (교육부가) 죄 없는 공무원들만 못살게 군다"고 비난했다.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당시 교육부 학교정책실장이 의견접수 마지막 날 찬성의견서가 상자로 도착할 것이라며 준비를 지시했다는 진상조사위 발표를 언급하며 "(학교정책실장급이) 청와대나 국정원 지시 없이 이런 일에 나설 수 있느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진상조사위와 별개로 교육부가 여론조작 관련 의혹 조사에 나설 생각이 없는지 김상곤 부총리에게 물었고, 김 부총리는 "진상조사위에서 국정화 시행과정과 함께 배후 여부도 조사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같은 당 박경미 의원은 사전 보도자료를 통해 주오스트리아 대사관이 국정화에 비판적인 기사를 쓴 현지 언론인을 만나 해명하는 등 재외공관이 국정화 홍보에 동원됐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이 공식 발표되기 전부터 교육부가 청와대에 관련 일일보고를 했다는 주장도 폈다.
반면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정화 진상조사위에 대해 "국정교과서 반대 활동가 모임"이라며 "고석규 위원장은 국정교과서 집필거부와 폐기선언에 참여했고 다른 위원도 (국정화를) 적극적으로 반대한 사람들로 진상조사위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구성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행정예고 때) 반대의견이 32만여 건 제출됐는데 이중 13만 5천여 건이 익명이나 이름·주소가 불명확한 것이었다"면서 "전날 진상조사위가 찬성의견만 왜곡되고 조작된 것처럼 발표했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한선교 의원은 교육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작업에 참여한 직원들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다는 주장을 폈다. 한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정책적으로 결정한 사안"이라면서 "책임이 있다면 박 전 대통령에게 있는데 (교육부가) 죄 없는 공무원들만 못살게 군다"고 비난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역사교과서 국정화’ 여야 공방
-
- 입력 2017-10-12 14:53:30
- 수정2017-10-12 14:55:45

12일(오늘)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교육부 국정감사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두고 여야 의원들간에 공방이 이어졌다.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당시 교육부 학교정책실장이 의견접수 마지막 날 찬성의견서가 상자로 도착할 것이라며 준비를 지시했다는 진상조사위 발표를 언급하며 "(학교정책실장급이) 청와대나 국정원 지시 없이 이런 일에 나설 수 있느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진상조사위와 별개로 교육부가 여론조작 관련 의혹 조사에 나설 생각이 없는지 김상곤 부총리에게 물었고, 김 부총리는 "진상조사위에서 국정화 시행과정과 함께 배후 여부도 조사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같은 당 박경미 의원은 사전 보도자료를 통해 주오스트리아 대사관이 국정화에 비판적인 기사를 쓴 현지 언론인을 만나 해명하는 등 재외공관이 국정화 홍보에 동원됐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이 공식 발표되기 전부터 교육부가 청와대에 관련 일일보고를 했다는 주장도 폈다.
반면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정화 진상조사위에 대해 "국정교과서 반대 활동가 모임"이라며 "고석규 위원장은 국정교과서 집필거부와 폐기선언에 참여했고 다른 위원도 (국정화를) 적극적으로 반대한 사람들로 진상조사위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구성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행정예고 때) 반대의견이 32만여 건 제출됐는데 이중 13만 5천여 건이 익명이나 이름·주소가 불명확한 것이었다"면서 "전날 진상조사위가 찬성의견만 왜곡되고 조작된 것처럼 발표했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한선교 의원은 교육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작업에 참여한 직원들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다는 주장을 폈다. 한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정책적으로 결정한 사안"이라면서 "책임이 있다면 박 전 대통령에게 있는데 (교육부가) 죄 없는 공무원들만 못살게 군다"고 비난했다.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당시 교육부 학교정책실장이 의견접수 마지막 날 찬성의견서가 상자로 도착할 것이라며 준비를 지시했다는 진상조사위 발표를 언급하며 "(학교정책실장급이) 청와대나 국정원 지시 없이 이런 일에 나설 수 있느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진상조사위와 별개로 교육부가 여론조작 관련 의혹 조사에 나설 생각이 없는지 김상곤 부총리에게 물었고, 김 부총리는 "진상조사위에서 국정화 시행과정과 함께 배후 여부도 조사할 것으로 본다"고 답했다.
같은 당 박경미 의원은 사전 보도자료를 통해 주오스트리아 대사관이 국정화에 비판적인 기사를 쓴 현지 언론인을 만나 해명하는 등 재외공관이 국정화 홍보에 동원됐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이 공식 발표되기 전부터 교육부가 청와대에 관련 일일보고를 했다는 주장도 폈다.
반면 전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정화 진상조사위에 대해 "국정교과서 반대 활동가 모임"이라며 "고석규 위원장은 국정교과서 집필거부와 폐기선언에 참여했고 다른 위원도 (국정화를) 적극적으로 반대한 사람들로 진상조사위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구성된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전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행정예고 때) 반대의견이 32만여 건 제출됐는데 이중 13만 5천여 건이 익명이나 이름·주소가 불명확한 것이었다"면서 "전날 진상조사위가 찬성의견만 왜곡되고 조작된 것처럼 발표했다"고 덧붙였다.
같은 당 한선교 의원은 교육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 작업에 참여한 직원들에게 불이익을 주고 있다는 주장을 폈다. 한 의원은 "역사교과서 국정화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정책적으로 결정한 사안"이라면서 "책임이 있다면 박 전 대통령에게 있는데 (교육부가) 죄 없는 공무원들만 못살게 군다"고 비난했다.
-
-
이근우 기자 lkw@kbs.co.kr
이근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