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금융권 대출 심사 ‘깐깐’해질 듯
입력 2017.10.12 (15:30)
수정 2017.10.12 (15: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조만간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인 가운데 국내 은행들이 4분기에 가계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출 심사를 까다롭게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이 오늘(12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를 보면 4분기 국내 은행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5로 전 분기(-18)에 이어 마이너스가 이어졌다.
대출태도지수는 2015년 4분기부터 9분기째 마이너스다. 전망치가 마이너스(-)면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회사가 대출심사를 완화하겠다고 밝힌 회사보다 많다는 뜻이다.
한은은 "8.2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과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 영향으로 가계대출 심사가 강화되고, 중소기업 대출은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른 도소매·숙박·음식업 기업 신용위험 증가 우려로 깐깐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차주별 은행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를 보면 가계주택은 -30으로 3분기(-40)에 이어 큰 폭의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대출태도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7년 1분기에 -41을 기록한 바 있다.
신용대출 등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20, 중소기업은 -7이다. 대기업만 0으로 전 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대기업은 2013년 3분기 이래 줄곧 마이너스였다.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17로 전 분기보다 1p 올라갔지만 1분기(24)보다 낮다. 신용위험지수가 높을수록 위험이 크다는 뜻이다.
차주별로는 중소기업 신용위험 전망은 17로 사드 갈등 여파 등으로 4p 올라갔다. 가계는 20, 대기업은 7이다. 가계는 소득개선 부진과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 부담 증가 등이, 대기업은 보호무역기조 강화 등이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전 분기보다는 각각 3p 낮아졌다.
대출수요지수 전망치는 4로, 대기업, 중소기업, 가계 일반대출은 전 분기보다 늘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가계주택은 -20으로, 2007년 3분기(-22) 이래 가장 큰 폭 마이너스였다. 주택거래가 둔화되며 대출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 것이다.
비은행금융기관 중 신용카드사만 대출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4분기 카드사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9로 전 분기보다 6p 올라갔다. 8월 수수료 우대 가맹점 범위 확대 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카드론으로 만회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금융기관 대출행태 조사는 지난 8월 25일부터 9월 12일까지 국내 은행 15개, 상호저축은행 16개, 신용카드사 8개, 생명보험회사 10개, 상호금융조합 150개 등 전국 199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했다. 금융기관들의 대출 태도가 곧바로 실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 전망치가 마이너스여도 대출은 계속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오늘(12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를 보면 4분기 국내 은행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5로 전 분기(-18)에 이어 마이너스가 이어졌다.
대출태도지수는 2015년 4분기부터 9분기째 마이너스다. 전망치가 마이너스(-)면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회사가 대출심사를 완화하겠다고 밝힌 회사보다 많다는 뜻이다.
한은은 "8.2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과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 영향으로 가계대출 심사가 강화되고, 중소기업 대출은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른 도소매·숙박·음식업 기업 신용위험 증가 우려로 깐깐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차주별 은행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를 보면 가계주택은 -30으로 3분기(-40)에 이어 큰 폭의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대출태도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7년 1분기에 -41을 기록한 바 있다.
신용대출 등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20, 중소기업은 -7이다. 대기업만 0으로 전 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대기업은 2013년 3분기 이래 줄곧 마이너스였다.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17로 전 분기보다 1p 올라갔지만 1분기(24)보다 낮다. 신용위험지수가 높을수록 위험이 크다는 뜻이다.
차주별로는 중소기업 신용위험 전망은 17로 사드 갈등 여파 등으로 4p 올라갔다. 가계는 20, 대기업은 7이다. 가계는 소득개선 부진과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 부담 증가 등이, 대기업은 보호무역기조 강화 등이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전 분기보다는 각각 3p 낮아졌다.
대출수요지수 전망치는 4로, 대기업, 중소기업, 가계 일반대출은 전 분기보다 늘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가계주택은 -20으로, 2007년 3분기(-22) 이래 가장 큰 폭 마이너스였다. 주택거래가 둔화되며 대출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 것이다.
비은행금융기관 중 신용카드사만 대출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4분기 카드사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9로 전 분기보다 6p 올라갔다. 8월 수수료 우대 가맹점 범위 확대 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카드론으로 만회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금융기관 대출행태 조사는 지난 8월 25일부터 9월 12일까지 국내 은행 15개, 상호저축은행 16개, 신용카드사 8개, 생명보험회사 10개, 상호금융조합 150개 등 전국 199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했다. 금융기관들의 대출 태도가 곧바로 실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 전망치가 마이너스여도 대출은 계속 증가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분기 금융권 대출 심사 ‘깐깐’해질 듯
-
- 입력 2017-10-12 15:30:32
- 수정2017-10-12 15:32:06

정부가 조만간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인 가운데 국내 은행들이 4분기에 가계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출 심사를 까다롭게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행이 오늘(12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를 보면 4분기 국내 은행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5로 전 분기(-18)에 이어 마이너스가 이어졌다.
대출태도지수는 2015년 4분기부터 9분기째 마이너스다. 전망치가 마이너스(-)면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회사가 대출심사를 완화하겠다고 밝힌 회사보다 많다는 뜻이다.
한은은 "8.2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과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 영향으로 가계대출 심사가 강화되고, 중소기업 대출은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른 도소매·숙박·음식업 기업 신용위험 증가 우려로 깐깐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차주별 은행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를 보면 가계주택은 -30으로 3분기(-40)에 이어 큰 폭의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대출태도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7년 1분기에 -41을 기록한 바 있다.
신용대출 등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20, 중소기업은 -7이다. 대기업만 0으로 전 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대기업은 2013년 3분기 이래 줄곧 마이너스였다.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17로 전 분기보다 1p 올라갔지만 1분기(24)보다 낮다. 신용위험지수가 높을수록 위험이 크다는 뜻이다.
차주별로는 중소기업 신용위험 전망은 17로 사드 갈등 여파 등으로 4p 올라갔다. 가계는 20, 대기업은 7이다. 가계는 소득개선 부진과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 부담 증가 등이, 대기업은 보호무역기조 강화 등이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전 분기보다는 각각 3p 낮아졌다.
대출수요지수 전망치는 4로, 대기업, 중소기업, 가계 일반대출은 전 분기보다 늘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가계주택은 -20으로, 2007년 3분기(-22) 이래 가장 큰 폭 마이너스였다. 주택거래가 둔화되며 대출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 것이다.
비은행금융기관 중 신용카드사만 대출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4분기 카드사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9로 전 분기보다 6p 올라갔다. 8월 수수료 우대 가맹점 범위 확대 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카드론으로 만회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금융기관 대출행태 조사는 지난 8월 25일부터 9월 12일까지 국내 은행 15개, 상호저축은행 16개, 신용카드사 8개, 생명보험회사 10개, 상호금융조합 150개 등 전국 199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했다. 금융기관들의 대출 태도가 곧바로 실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 전망치가 마이너스여도 대출은 계속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오늘(12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를 보면 4분기 국내 은행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5로 전 분기(-18)에 이어 마이너스가 이어졌다.
대출태도지수는 2015년 4분기부터 9분기째 마이너스다. 전망치가 마이너스(-)면 대출심사를 강화하겠다고 응답한 금융회사가 대출심사를 완화하겠다고 밝힌 회사보다 많다는 뜻이다.
한은은 "8.2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과 가계부채 종합대책 등 영향으로 가계대출 심사가 강화되고, 중소기업 대출은 중국인 관광객 감소에 따른 도소매·숙박·음식업 기업 신용위험 증가 우려로 깐깐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차주별 은행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를 보면 가계주택은 -30으로 3분기(-40)에 이어 큰 폭의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대출태도지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전인 2007년 1분기에 -41을 기록한 바 있다.
신용대출 등 가계일반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20, 중소기업은 -7이다. 대기업만 0으로 전 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대기업은 2013년 3분기 이래 줄곧 마이너스였다.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17로 전 분기보다 1p 올라갔지만 1분기(24)보다 낮다. 신용위험지수가 높을수록 위험이 크다는 뜻이다.
차주별로는 중소기업 신용위험 전망은 17로 사드 갈등 여파 등으로 4p 올라갔다. 가계는 20, 대기업은 7이다. 가계는 소득개선 부진과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 부담 증가 등이, 대기업은 보호무역기조 강화 등이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전 분기보다는 각각 3p 낮아졌다.
대출수요지수 전망치는 4로, 대기업, 중소기업, 가계 일반대출은 전 분기보다 늘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가계주택은 -20으로, 2007년 3분기(-22) 이래 가장 큰 폭 마이너스였다. 주택거래가 둔화되며 대출 수요가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 것이다.
비은행금융기관 중 신용카드사만 대출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 4분기 카드사 대출태도지수 전망치는 19로 전 분기보다 6p 올라갔다. 8월 수수료 우대 가맹점 범위 확대 등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카드론으로 만회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금융기관 대출행태 조사는 지난 8월 25일부터 9월 12일까지 국내 은행 15개, 상호저축은행 16개, 신용카드사 8개, 생명보험회사 10개, 상호금융조합 150개 등 전국 199개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했다. 금융기관들의 대출 태도가 곧바로 실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동안 전망치가 마이너스여도 대출은 계속 증가했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