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바자회서 노영민 韓대사 만나…“한중관계 진전기대”

입력 2017.10.29 (15:43) 수정 2017.10.29 (15: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색된 한중 관계가 시진핑 집권 2기 들어 변화 조짐이 일고 있는 가운데 노영민 주중 한국대사와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처음으로 만났다.

노 대사와 왕 부장은 오늘 베이징 공인 운동장에서 열린 중국 외교부 주최 국제바자회에서 만남을 가졌다.

특히 왕 부장이 바자회 행사장에서 한국 부스를 직접 찾아와 노 대사를 만난 점이 눈에 띈다.

노 대사가 간단한 자기소개를 하자 왕 부장은 "사진을 통해서는 봤는데 만나서 반갑고, 환영한다"면서 "양국 우호에 대한 대사의 생각을 높이 평가한다"고 화답했다.

왕 부장은 이어 "노 대사께서 양국관계 우호에 다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대사가 오신 후로 양국관계가 진정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추후 재회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매년 10월 말 열리는 국제바자회는 중국 빈곤지역을 돕기 위한 행사로, 각국 외교단과 중국 외교부 고위 인사가 참석한다.

오늘 행사에도 왕 부장을 비롯해 주중 한국대사관의 개천절 행사에 참석했던 외교부 천샤오둥 부장조리(차관보급), 장예쑤이 외교부 상무부부장(차관급) 등이 참석했다.

왕 부장은 노 대사와 짧은 만남 뒤에도 바자회에 참석한 한국 업체 부스 3곳을 모두 둘러보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

그는 한국 마스크팩 업체 부스에 와서 직접 사진을 찍기도 하는 등 예전과 달리 친화적인 모습을 보였다.

최근 중국 새 지도부 출범 이후 허베이의 한 여행사가 7개월 만에 한국 단체여행 상품 판매를 재개하고, 중국 저가 항공사들이 중단했던 한국행 노선 운항을 재개하는 등 한중관계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가 지속해서 감지되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왕이, 바자회서 노영민 韓대사 만나…“한중관계 진전기대”
    • 입력 2017-10-29 15:43:21
    • 수정2017-10-29 15:47:48
    국제
경색된 한중 관계가 시진핑 집권 2기 들어 변화 조짐이 일고 있는 가운데 노영민 주중 한국대사와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처음으로 만났다.

노 대사와 왕 부장은 오늘 베이징 공인 운동장에서 열린 중국 외교부 주최 국제바자회에서 만남을 가졌다.

특히 왕 부장이 바자회 행사장에서 한국 부스를 직접 찾아와 노 대사를 만난 점이 눈에 띈다.

노 대사가 간단한 자기소개를 하자 왕 부장은 "사진을 통해서는 봤는데 만나서 반갑고, 환영한다"면서 "양국 우호에 대한 대사의 생각을 높이 평가한다"고 화답했다.

왕 부장은 이어 "노 대사께서 양국관계 우호에 다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대사가 오신 후로 양국관계가 진정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추후 재회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매년 10월 말 열리는 국제바자회는 중국 빈곤지역을 돕기 위한 행사로, 각국 외교단과 중국 외교부 고위 인사가 참석한다.

오늘 행사에도 왕 부장을 비롯해 주중 한국대사관의 개천절 행사에 참석했던 외교부 천샤오둥 부장조리(차관보급), 장예쑤이 외교부 상무부부장(차관급) 등이 참석했다.

왕 부장은 노 대사와 짧은 만남 뒤에도 바자회에 참석한 한국 업체 부스 3곳을 모두 둘러보고 감사 인사를 전했다.

그는 한국 마스크팩 업체 부스에 와서 직접 사진을 찍기도 하는 등 예전과 달리 친화적인 모습을 보였다.

최근 중국 새 지도부 출범 이후 허베이의 한 여행사가 7개월 만에 한국 단체여행 상품 판매를 재개하고, 중국 저가 항공사들이 중단했던 한국행 노선 운항을 재개하는 등 한중관계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가 지속해서 감지되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