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한중관계 회복 이제 시작…기다려달라”

입력 2017.11.01 (16:07) 수정 2017.11.01 (16: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일(오늘) 한·중 양국이 사드 갈등을 매듭짓고 관계 회복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관련, "이제 시작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새해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기에 앞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각 당 대표와 환담을 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고 "외교는 그때그때 다 보여드릴 수 없는 속성이 있다. 언제든지 물밑 노력을 다 하고 있으니 시간을 좀 주시고 기다려달라"고 당부했다고 배석한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이제 6개월이 지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이 지나면 큰 흐름이 일단락이 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의 경제상황에 대해 "우리 경제 지표가 좋아지고 있지만 고용상황은 여전히 좋지 않다"며 "고용상황만 좋아지면 경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니 오늘 제출된 예산안에 대해 여야가 지혜를 모아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잘 살려나가면 2%대 성장으로 저성장의 늪에 빠진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며 "각 당 대표들께서 도와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거듭 협조를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또 최저임금 인상을 거론하며 "찬반을 넘어 이제 결정된 것"이라며 "상당히 큰 폭의 인상인데 우리 사회가 감당할 수 있을지, 또 고용감소 등의 부작용을 걱정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어 "고용을 유지하고 임금노동자의 삶을 개선하는 결과를 얻어야 내년에도 최저임금을 인상할 수 있을 것"이라며 "노동시간 단축이라는 과제해결의 바탕도 될 것이다. 최저임금 인상은 이미 이뤄진 것이니 우리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달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추경 시정연설 후 4개월 만에 국회에 왔는데 그동안 너무 많은 일들이 있어서 오랜 시간이 지난 것 같은 느낌"이라고 말하고,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환담 자리에 참석한 데 대해 감사를 표시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文대통령 “한중관계 회복 이제 시작…기다려달라”
    • 입력 2017-11-01 16:07:20
    • 수정2017-11-01 16:10:09
    정치
문재인 대통령은 1일(오늘) 한·중 양국이 사드 갈등을 매듭짓고 관계 회복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관련, "이제 시작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새해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기에 앞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각 당 대표와 환담을 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고 "외교는 그때그때 다 보여드릴 수 없는 속성이 있다. 언제든지 물밑 노력을 다 하고 있으니 시간을 좀 주시고 기다려달라"고 당부했다고 배석한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이제 6개월이 지나고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이 지나면 큰 흐름이 일단락이 될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의 경제상황에 대해 "우리 경제 지표가 좋아지고 있지만 고용상황은 여전히 좋지 않다"며 "고용상황만 좋아지면 경제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니 오늘 제출된 예산안에 대해 여야가 지혜를 모아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잘 살려나가면 2%대 성장으로 저성장의 늪에 빠진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에서 벗어날 것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며 "각 당 대표들께서 도와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거듭 협조를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또 최저임금 인상을 거론하며 "찬반을 넘어 이제 결정된 것"이라며 "상당히 큰 폭의 인상인데 우리 사회가 감당할 수 있을지, 또 고용감소 등의 부작용을 걱정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어 "고용을 유지하고 임금노동자의 삶을 개선하는 결과를 얻어야 내년에도 최저임금을 인상할 수 있을 것"이라며 "노동시간 단축이라는 과제해결의 바탕도 될 것이다. 최저임금 인상은 이미 이뤄진 것이니 우리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달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6월 추경 시정연설 후 4개월 만에 국회에 왔는데 그동안 너무 많은 일들이 있어서 오랜 시간이 지난 것 같은 느낌"이라고 말하고,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환담 자리에 참석한 데 대해 감사를 표시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