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기탁금 20억 너무 많다'
입력 2002.09.09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선관위가 대선출마자 기탁금을 20억 원으로 대폭 올리겠다는 개정안을 내놓자 정치권이 한목소리로 반대하고 있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박성래 기자입니다.
⊙기자: 기탁금을 4배로 올린 것은 지나치다는 게 한나라당의 입장입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국회의원 후보자의 기탁금도 대폭 줄인 마당에 대선 기탁금 인상은 국민 참정권 확대라는 정치 개혁의 방향과도 맞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남경필(한나라당 대변인): 후보기탁금이 20억이라니요.
너무 많습니다.
⊙기자: 민주당 역시 기탁금 20억 원은 돈 많은 후보나 정당에만 유리해 소수자 보호원칙에 어긋난다는 입장입니다.
미디어 선거 국고 지원도 비교섭단체를 완전히 배제하기보다는 별도의 기준을 만들어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낙연(민주당 대변인): 신문광고와 방송연설에서 비교섭단체를 배제하는 것도 지나칩니다.
⊙기자: 민주노동당의 입장은 더욱 단호합니다.
선관위의 개정의견은 선거공영제가 아니라 민주노동당을 고사시키고 기성 정당만으로 선거를 치르겠다는 선거독점제라고 비난했습니다.
⊙권영길(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 통과시킨다면 대통령 선거 거부 투쟁에 나설 것임을 천명합니다.
⊙기자: 이처럼 정치권이 기탁금 인상 반대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 이 법안은 국회 입법 과정에서 수정이 불가피 할 전망입니다.
KBS뉴스 박성래입니다.
집중취재 먼저 박성래 기자입니다.
⊙기자: 기탁금을 4배로 올린 것은 지나치다는 게 한나라당의 입장입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국회의원 후보자의 기탁금도 대폭 줄인 마당에 대선 기탁금 인상은 국민 참정권 확대라는 정치 개혁의 방향과도 맞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남경필(한나라당 대변인): 후보기탁금이 20억이라니요.
너무 많습니다.
⊙기자: 민주당 역시 기탁금 20억 원은 돈 많은 후보나 정당에만 유리해 소수자 보호원칙에 어긋난다는 입장입니다.
미디어 선거 국고 지원도 비교섭단체를 완전히 배제하기보다는 별도의 기준을 만들어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낙연(민주당 대변인): 신문광고와 방송연설에서 비교섭단체를 배제하는 것도 지나칩니다.
⊙기자: 민주노동당의 입장은 더욱 단호합니다.
선관위의 개정의견은 선거공영제가 아니라 민주노동당을 고사시키고 기성 정당만으로 선거를 치르겠다는 선거독점제라고 비난했습니다.
⊙권영길(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 통과시킨다면 대통령 선거 거부 투쟁에 나설 것임을 천명합니다.
⊙기자: 이처럼 정치권이 기탁금 인상 반대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 이 법안은 국회 입법 과정에서 수정이 불가피 할 전망입니다.
KBS뉴스 박성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대선 기탁금 20억 너무 많다'
-
- 입력 2002-09-09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선관위가 대선출마자 기탁금을 20억 원으로 대폭 올리겠다는 개정안을 내놓자 정치권이 한목소리로 반대하고 있습니다.
집중취재 먼저 박성래 기자입니다.
⊙기자: 기탁금을 4배로 올린 것은 지나치다는 게 한나라당의 입장입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국회의원 후보자의 기탁금도 대폭 줄인 마당에 대선 기탁금 인상은 국민 참정권 확대라는 정치 개혁의 방향과도 맞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남경필(한나라당 대변인): 후보기탁금이 20억이라니요.
너무 많습니다.
⊙기자: 민주당 역시 기탁금 20억 원은 돈 많은 후보나 정당에만 유리해 소수자 보호원칙에 어긋난다는 입장입니다.
미디어 선거 국고 지원도 비교섭단체를 완전히 배제하기보다는 별도의 기준을 만들어 참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낙연(민주당 대변인): 신문광고와 방송연설에서 비교섭단체를 배제하는 것도 지나칩니다.
⊙기자: 민주노동당의 입장은 더욱 단호합니다.
선관위의 개정의견은 선거공영제가 아니라 민주노동당을 고사시키고 기성 정당만으로 선거를 치르겠다는 선거독점제라고 비난했습니다.
⊙권영길(민주노동당 대통령 후보): 통과시킨다면 대통령 선거 거부 투쟁에 나설 것임을 천명합니다.
⊙기자: 이처럼 정치권이 기탁금 인상 반대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 이 법안은 국회 입법 과정에서 수정이 불가피 할 전망입니다.
KBS뉴스 박성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