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사 임용대기 내년에도 2천 명 넘어

입력 2017.11.12 (08:45) 수정 2017.11.12 (08: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립 초등교사 임용대기자가 앞으로 1년간 9%밖에 줄지 않을 것이라는 교육당국의 추산이 나왔다.

12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노웅래 의원이 교육부를 통해 각 시·도 교육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이달 1일 현재 공립 초등교사 임용대기자는 2,344명에 달한다. 이 중 41명은 재작년 시험에 붙고도 아직 임용대기자로 있다.

임용대기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로 782명이었다. 경기는 604명이 임용대기 중이고 전북(203명)·대구(143명)·인천(141명)·경남(124명) 등도 대기자가 100명이 넘었다.

각 교육청 추산을 종합하면 새 학기가 시작하는 내년 3월 1일 기준 임용대기자는 4,157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신규발령이 이뤄지며 대기자가 줄지만 2,131명은 2018년이 끝날 때까지 대기상태로 남아 있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1년여간 임용대기자가 지금보다 겨우 9%(213명) 감소하는 것이다.
특히 내년도 임용시험 합격자뿐 아니라 2017학년도 이전 시험에 붙은 600명도 내년이 다 갈 때까지 임용대기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 12월 31일 기준 임용대기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로, 818명이 대기 중일 것으로 추정됐다. 경기는 460명, 경남 192명, 전남 168명 등으로 예상됐다.

지난 9월 확정된 내년도 전국 초등교사 선발 인원은 4,088명이다. 2017학년도(6,022명)보다 1,934명(32.1%) 줄었지만, 확정 한 달여 전 시·도 교육청들이 사전예고했던 인원(3,321명)에 견줘서는 767명 증가한 숫자다.

이전 학년도와 비교해 절반 이하의 선발 인원이 사전예고되자 교대생을 중심으로 극심한 반발이 일자, 교육 당국은 긴급히 자구책을 마련해 최종 인원을 늘렸다. 하지만 자구책이 기존 정교사의 시간제 전환, 휴직·파견확대 등 임시방편에 불과해 '땜질식 처방'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노웅래 의원은 "교육부의 땜질식 교원수급정책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고 지적하며 "임용대기자와 학령인구 감소 등을 고려한 근본적인 교원수급 정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초등교사 임용대기 내년에도 2천 명 넘어
    • 입력 2017-11-12 08:45:33
    • 수정2017-11-12 08:50:29
    사회
공립 초등교사 임용대기자가 앞으로 1년간 9%밖에 줄지 않을 것이라는 교육당국의 추산이 나왔다.

12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노웅래 의원이 교육부를 통해 각 시·도 교육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이달 1일 현재 공립 초등교사 임용대기자는 2,344명에 달한다. 이 중 41명은 재작년 시험에 붙고도 아직 임용대기자로 있다.

임용대기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로 782명이었다. 경기는 604명이 임용대기 중이고 전북(203명)·대구(143명)·인천(141명)·경남(124명) 등도 대기자가 100명이 넘었다.

각 교육청 추산을 종합하면 새 학기가 시작하는 내년 3월 1일 기준 임용대기자는 4,157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신규발령이 이뤄지며 대기자가 줄지만 2,131명은 2018년이 끝날 때까지 대기상태로 남아 있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1년여간 임용대기자가 지금보다 겨우 9%(213명) 감소하는 것이다.
특히 내년도 임용시험 합격자뿐 아니라 2017학년도 이전 시험에 붙은 600명도 내년이 다 갈 때까지 임용대기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2018년 12월 31일 기준 임용대기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로, 818명이 대기 중일 것으로 추정됐다. 경기는 460명, 경남 192명, 전남 168명 등으로 예상됐다.

지난 9월 확정된 내년도 전국 초등교사 선발 인원은 4,088명이다. 2017학년도(6,022명)보다 1,934명(32.1%) 줄었지만, 확정 한 달여 전 시·도 교육청들이 사전예고했던 인원(3,321명)에 견줘서는 767명 증가한 숫자다.

이전 학년도와 비교해 절반 이하의 선발 인원이 사전예고되자 교대생을 중심으로 극심한 반발이 일자, 교육 당국은 긴급히 자구책을 마련해 최종 인원을 늘렸다. 하지만 자구책이 기존 정교사의 시간제 전환, 휴직·파견확대 등 임시방편에 불과해 '땜질식 처방'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노웅래 의원은 "교육부의 땜질식 교원수급정책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다"고 지적하며 "임용대기자와 학령인구 감소 등을 고려한 근본적인 교원수급 정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