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베트남을 방문 중인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11일 오후 다낭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에서 "내년 중일 평화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앞두고 개선을 힘차게 추진하고 싶다"고 말했으며, 시 주석은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전향적인 자세를 보였다고 통신은 전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이 끝난 후 기자들에게 시 주석이 "이번 회담은 중일 관계의 새로운 시작이 되는 회담"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한, 시 주석과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가능한 조기에 개최하는 것에 의견을 함께했다고 밝혔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2015년 11월 서울에서 개최된 이후 아직 열리지 못했다. 3국 정상회의 차기 의장국인 일본 정부는 그동안 연내 개최를 추진해 왔다.
아베 총리는 대북 대응과 관련, 회담에서 "(중국과) 연대를 더욱 심화하고 싶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이행에 대해 "중국에 의한 지속적인 대응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에서 자신이 적절한 시기에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 또한 조기에 일본을 방문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이에 시 주석은 "총리의 중국 방문과 왕래를 중시하겠다"고 말했다고 통신은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날 아베 총리에게 "안정된 중일 관계가 쌍방의 이익에 부합한다"면서 "양국은 평화, 우호, 협력이라는 큰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중일 관계의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위해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중일 관계의 개선은 서로의 믿음에 달려 있다"면서 "일본은 실제적인 행동과 구체적인 정책을 통해 중일이 서로 위협하지 않는 파트너임을 확신하는 관계를 만들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상호 협력이 중일 관계를 앞으로 추진해 나갈 동력"이라면서 "실무적 협력 수준을 향상하고 문화, 언론, 청소년 등의 교류를 강화하며 연이어 개최할 올림픽을 계기로 양국관계 발전에 대한 국민 지지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중일 평화 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계기로 양국의 전략적인 상호 협력 관계를 추진하길 바라며 정부 고위급 교류, 경제무역협력, 일대일로 협력, 여행, 문화, 청소년 및 올림픽 등에서 협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인민일보는 보도했다.
중일 정상회담은 지난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이후 4개월 만에 개최됐다. 그동안 중국에서는 2기 시진핑 지도부가 발족했고 일본에서는 4차 내각이 출범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에서 "내년 중일 평화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앞두고 개선을 힘차게 추진하고 싶다"고 말했으며, 시 주석은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전향적인 자세를 보였다고 통신은 전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이 끝난 후 기자들에게 시 주석이 "이번 회담은 중일 관계의 새로운 시작이 되는 회담"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한, 시 주석과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가능한 조기에 개최하는 것에 의견을 함께했다고 밝혔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2015년 11월 서울에서 개최된 이후 아직 열리지 못했다. 3국 정상회의 차기 의장국인 일본 정부는 그동안 연내 개최를 추진해 왔다.
아베 총리는 대북 대응과 관련, 회담에서 "(중국과) 연대를 더욱 심화하고 싶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이행에 대해 "중국에 의한 지속적인 대응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에서 자신이 적절한 시기에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 또한 조기에 일본을 방문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이에 시 주석은 "총리의 중국 방문과 왕래를 중시하겠다"고 말했다고 통신은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날 아베 총리에게 "안정된 중일 관계가 쌍방의 이익에 부합한다"면서 "양국은 평화, 우호, 협력이라는 큰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중일 관계의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위해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중일 관계의 개선은 서로의 믿음에 달려 있다"면서 "일본은 실제적인 행동과 구체적인 정책을 통해 중일이 서로 위협하지 않는 파트너임을 확신하는 관계를 만들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상호 협력이 중일 관계를 앞으로 추진해 나갈 동력"이라면서 "실무적 협력 수준을 향상하고 문화, 언론, 청소년 등의 교류를 강화하며 연이어 개최할 올림픽을 계기로 양국관계 발전에 대한 국민 지지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중일 평화 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계기로 양국의 전략적인 상호 협력 관계를 추진하길 바라며 정부 고위급 교류, 경제무역협력, 일대일로 협력, 여행, 문화, 청소년 및 올림픽 등에서 협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인민일보는 보도했다.
중일 정상회담은 지난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이후 4개월 만에 개최됐다. 그동안 중국에서는 2기 시진핑 지도부가 발족했고 일본에서는 4차 내각이 출범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아베·시진핑, 베트남서 회담…“양국 관계 개선 추진”
-
- 입력 2017-11-12 09:47:54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베트남을 방문 중인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11일 오후 다낭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에서 "내년 중일 평화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앞두고 개선을 힘차게 추진하고 싶다"고 말했으며, 시 주석은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전향적인 자세를 보였다고 통신은 전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이 끝난 후 기자들에게 시 주석이 "이번 회담은 중일 관계의 새로운 시작이 되는 회담"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한, 시 주석과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가능한 조기에 개최하는 것에 의견을 함께했다고 밝혔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2015년 11월 서울에서 개최된 이후 아직 열리지 못했다. 3국 정상회의 차기 의장국인 일본 정부는 그동안 연내 개최를 추진해 왔다.
아베 총리는 대북 대응과 관련, 회담에서 "(중국과) 연대를 더욱 심화하고 싶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이행에 대해 "중국에 의한 지속적인 대응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에서 자신이 적절한 시기에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 또한 조기에 일본을 방문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이에 시 주석은 "총리의 중국 방문과 왕래를 중시하겠다"고 말했다고 통신은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날 아베 총리에게 "안정된 중일 관계가 쌍방의 이익에 부합한다"면서 "양국은 평화, 우호, 협력이라는 큰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중일 관계의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위해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중일 관계의 개선은 서로의 믿음에 달려 있다"면서 "일본은 실제적인 행동과 구체적인 정책을 통해 중일이 서로 위협하지 않는 파트너임을 확신하는 관계를 만들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상호 협력이 중일 관계를 앞으로 추진해 나갈 동력"이라면서 "실무적 협력 수준을 향상하고 문화, 언론, 청소년 등의 교류를 강화하며 연이어 개최할 올림픽을 계기로 양국관계 발전에 대한 국민 지지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중일 평화 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계기로 양국의 전략적인 상호 협력 관계를 추진하길 바라며 정부 고위급 교류, 경제무역협력, 일대일로 협력, 여행, 문화, 청소년 및 올림픽 등에서 협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인민일보는 보도했다.
중일 정상회담은 지난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이후 4개월 만에 개최됐다. 그동안 중국에서는 2기 시진핑 지도부가 발족했고 일본에서는 4차 내각이 출범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에서 "내년 중일 평화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앞두고 개선을 힘차게 추진하고 싶다"고 말했으며, 시 주석은 일본과의 관계 개선에 전향적인 자세를 보였다고 통신은 전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이 끝난 후 기자들에게 시 주석이 "이번 회담은 중일 관계의 새로운 시작이 되는 회담"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한, 시 주석과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가능한 조기에 개최하는 것에 의견을 함께했다고 밝혔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2015년 11월 서울에서 개최된 이후 아직 열리지 못했다. 3국 정상회의 차기 의장국인 일본 정부는 그동안 연내 개최를 추진해 왔다.
아베 총리는 대북 대응과 관련, 회담에서 "(중국과) 연대를 더욱 심화하고 싶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 이행에 대해 "중국에 의한 지속적인 대응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회담에서 자신이 적절한 시기에 중국을 방문하고 시 주석 또한 조기에 일본을 방문하는 방안을 제안했으며, 이에 시 주석은 "총리의 중국 방문과 왕래를 중시하겠다"고 말했다고 통신은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이날 아베 총리에게 "안정된 중일 관계가 쌍방의 이익에 부합한다"면서 "양국은 평화, 우호, 협력이라는 큰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중일 관계의 지속적인 개선과 발전을 위해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중일 관계의 개선은 서로의 믿음에 달려 있다"면서 "일본은 실제적인 행동과 구체적인 정책을 통해 중일이 서로 위협하지 않는 파트너임을 확신하는 관계를 만들기 바란다"고 말했다.
그는 "상호 협력이 중일 관계를 앞으로 추진해 나갈 동력"이라면서 "실무적 협력 수준을 향상하고 문화, 언론, 청소년 등의 교류를 강화하며 연이어 개최할 올림픽을 계기로 양국관계 발전에 대한 국민 지지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중일 평화 우호조약 체결 40주년을 계기로 양국의 전략적인 상호 협력 관계를 추진하길 바라며 정부 고위급 교류, 경제무역협력, 일대일로 협력, 여행, 문화, 청소년 및 올림픽 등에서 협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고 인민일보는 보도했다.
중일 정상회담은 지난 7월 독일 함부르크에서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이후 4개월 만에 개최됐다. 그동안 중국에서는 2기 시진핑 지도부가 발족했고 일본에서는 4차 내각이 출범했다.
-
-
나신하 기자 daniel@kbs.co.kr
나신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