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야생조류 분변서 AI 바이러스…내일쯤 고병원성 여부 확인
입력 2017.11.12 (20:56)
수정 2017.11.12 (21: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6일 제주도 제주시 하도리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을 대상으로 중간 검사한 결과 H5N2형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나왔다고 오늘(12일) 밝혔다.
이에 따라 당국은 검출지점 중심 반경 10㎞ 지역을 야생조수류 예찰 지역으로 설정하고 21일 동안 해당 지역의 가금·사육조류를 상대로 이동 통제와 소독을 하도록 했다.
이번에 나온 바이러스가 고병원성 인지 여부는 내일쯤 나온다.
지난달 30일 원주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나온 AI 바이러스는 저병원성으로 확진돼 해당 지역에 설정된 방역대가 해제됐다.
이번 달 2일 충남 당진 삽교호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나온 AI 바이러스도 음성으로 판정됐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에 따라 당국은 검출지점 중심 반경 10㎞ 지역을 야생조수류 예찰 지역으로 설정하고 21일 동안 해당 지역의 가금·사육조류를 상대로 이동 통제와 소독을 하도록 했다.
이번에 나온 바이러스가 고병원성 인지 여부는 내일쯤 나온다.
지난달 30일 원주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나온 AI 바이러스는 저병원성으로 확진돼 해당 지역에 설정된 방역대가 해제됐다.
이번 달 2일 충남 당진 삽교호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나온 AI 바이러스도 음성으로 판정됐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주 야생조류 분변서 AI 바이러스…내일쯤 고병원성 여부 확인
-
- 입력 2017-11-12 20:56:47
- 수정2017-11-12 21:27:27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6일 제주도 제주시 하도리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을 대상으로 중간 검사한 결과 H5N2형 조류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나왔다고 오늘(12일) 밝혔다.
이에 따라 당국은 검출지점 중심 반경 10㎞ 지역을 야생조수류 예찰 지역으로 설정하고 21일 동안 해당 지역의 가금·사육조류를 상대로 이동 통제와 소독을 하도록 했다.
이번에 나온 바이러스가 고병원성 인지 여부는 내일쯤 나온다.
지난달 30일 원주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나온 AI 바이러스는 저병원성으로 확진돼 해당 지역에 설정된 방역대가 해제됐다.
이번 달 2일 충남 당진 삽교호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나온 AI 바이러스도 음성으로 판정됐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에 따라 당국은 검출지점 중심 반경 10㎞ 지역을 야생조수류 예찰 지역으로 설정하고 21일 동안 해당 지역의 가금·사육조류를 상대로 이동 통제와 소독을 하도록 했다.
이번에 나온 바이러스가 고병원성 인지 여부는 내일쯤 나온다.
지난달 30일 원주천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나온 AI 바이러스는 저병원성으로 확진돼 해당 지역에 설정된 방역대가 해제됐다.
이번 달 2일 충남 당진 삽교호에서 채취한 야생조류 분변에서 나온 AI 바이러스도 음성으로 판정됐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