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고장·충돌·좌초…지난해만 낚싯배 사고 208건

입력 2017.12.04 (21:12) 수정 2017.12.04 (2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에 낚싯배 사고가 난 영흥도는 서울에서 차로 1시간 반이면 도착할 수 있습니다.

섬 남서쪽에는 낚시 포인트가 즐비해서 바다 낚시꾼들이 즐겨찾는 곳입니다.

그런데 영흥도와 선재도 사이에 큰 배가 다닐 수 있는 200~300미터 폭의 좁은 수로가 있습니다.

일부 대형선박들이 지금길인 이 수로를 질주하는데 낚싯배들이 출항하는 시간에는 동선이 엉켜 사고위험도 커지게 됩니다.

영흥도를 포함해 서해안 일대는 주요 수로를 제외하고는 수심이 얕습니다.

최근에는 2~3인용 고무보트로 낚시에 나섰다 갯벌에 갇혀 구조요청을 하는 경우도 잦았습니다.

안전사고 위험에 그대로 노출된 바다낚시 실태를 김지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천 영흥도의 낚싯배 영업점입니다.

탁 트인 바다에서 짜릿한 손맛을 느끼고 싶은 낚시꾼들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영업을 해왔습니다.

이런 곳이 영흥도에만 15곳, 인천에만 270여 곳에 이릅니다.

<녹취> 영흥도 낚싯배 영업점주 : "주말에 여기 오는 손님으로 한 700~800명 되죠. 많을 땐 당일만 한 700명, 성수기 때는 그래요."

특히 각종 경품이 걸린 이벤트가 열리는 날에 낚싯배를 타려면 자리 추첨까지 해야 할 정도입니다.

바다낚시 인기는 수치로도 확인됩니다.

2013년 195만 명 선이었던 낚싯배 이용객은 지난해 342만 명 수준으로 3년 만에 75%이상 늘었습니다.

그만큼 사고나 구조요청도 급증했습니다.

2013년엔 77건에 불과했던 낚싯배 사고 건수는 지난해 208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사고원인별로 보면 기관고장이 552건으로 가장 많고 충돌, 좌초, 침몰, 화재 등 순입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낚싯배 안전관리에는 이미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녹취> 공길영(한국해양대학교 해양학부 교수) : "낚시어선을 좀 더, 조금 더 크게 하고 안전 규칙을 강화해 가지고 안전 부분에 대해서 좀 강화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판단을 해 봅니다."

특히 이번 사고를 계기로 영업시간이나 운항 횟수 제한 등 낚싯배 관리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고장·충돌·좌초…지난해만 낚싯배 사고 208건
    • 입력 2017-12-04 21:13:02
    • 수정2017-12-04 21:49:33
    뉴스 9
<앵커 멘트>

이번에 낚싯배 사고가 난 영흥도는 서울에서 차로 1시간 반이면 도착할 수 있습니다.

섬 남서쪽에는 낚시 포인트가 즐비해서 바다 낚시꾼들이 즐겨찾는 곳입니다.

그런데 영흥도와 선재도 사이에 큰 배가 다닐 수 있는 200~300미터 폭의 좁은 수로가 있습니다.

일부 대형선박들이 지금길인 이 수로를 질주하는데 낚싯배들이 출항하는 시간에는 동선이 엉켜 사고위험도 커지게 됩니다.

영흥도를 포함해 서해안 일대는 주요 수로를 제외하고는 수심이 얕습니다.

최근에는 2~3인용 고무보트로 낚시에 나섰다 갯벌에 갇혀 구조요청을 하는 경우도 잦았습니다.

안전사고 위험에 그대로 노출된 바다낚시 실태를 김지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천 영흥도의 낚싯배 영업점입니다.

탁 트인 바다에서 짜릿한 손맛을 느끼고 싶은 낚시꾼들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적으로 영업을 해왔습니다.

이런 곳이 영흥도에만 15곳, 인천에만 270여 곳에 이릅니다.

<녹취> 영흥도 낚싯배 영업점주 : "주말에 여기 오는 손님으로 한 700~800명 되죠. 많을 땐 당일만 한 700명, 성수기 때는 그래요."

특히 각종 경품이 걸린 이벤트가 열리는 날에 낚싯배를 타려면 자리 추첨까지 해야 할 정도입니다.

바다낚시 인기는 수치로도 확인됩니다.

2013년 195만 명 선이었던 낚싯배 이용객은 지난해 342만 명 수준으로 3년 만에 75%이상 늘었습니다.

그만큼 사고나 구조요청도 급증했습니다.

2013년엔 77건에 불과했던 낚싯배 사고 건수는 지난해 208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사고원인별로 보면 기관고장이 552건으로 가장 많고 충돌, 좌초, 침몰, 화재 등 순입니다.

이런 추세를 감안하면 낚싯배 안전관리에는 이미 빨간불이 들어왔습니다.

<녹취> 공길영(한국해양대학교 해양학부 교수) : "낚시어선을 좀 더, 조금 더 크게 하고 안전 규칙을 강화해 가지고 안전 부분에 대해서 좀 강화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판단을 해 봅니다."

특히 이번 사고를 계기로 영업시간이나 운항 횟수 제한 등 낚싯배 관리시스템을 전면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