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납치” 보이스피싱 급증…이렇게 대응

입력 2017.12.12 (14: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 납치를 빙자한 보이스피싱 사기가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정부는 내일(13일)부터 각 통신사를 통해 피해 예방 문자를 발송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과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납치 빙자형 보이스피싱에 대한 국민들의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해 내일(13일)부터 22일까지 열흘 동안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문자메시지'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이동통신 3사를 통해 발송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알뜰통신사 가입자에게는 12월분 요금고지서(우편·이메일)를 통해 정보가 발송된다.

금융감독원 집계를 보면 지난 9월 37건(피해액 1억 8천3백만 원)이던 납치 빙자형 보이스피싱은 10월 36건(2억 1천6백만 원), 11월 92건(피해액 5억 2백만 원)으로 최근 들어 크게 늘었다.

특히 건당 피해액은 594만 원(1∼11월 평균)으로 전체 보이스피싱 건당 피해액(483만 원)의 1.23배여서 피해액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기범들은 ▶ 학교에 간 자녀 납치 ▶ 학원에 간 자녀 납치 ▶ 부모 납치 등을 빙자해 전화한 다음 욕설 등 험한 말로 피해자들을 협박해 돈을 송금받는 수법을 쓰고 있다. 최근 자녀 수가 적은 점, 맞벌이가 많아져 낮에 자녀들이 부모와 떨어져 있는 점, 그리고 홀몸 노인들이 늘어난 점을 사기범들이 이용하고 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납치 빙자형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해 자녀나 부모의 상황을 확인해줄 수 있는 지인의 연락처를 미리 확보해 놓고 사기범들의 전화를 받게 되면 주변 사람들에게 부탁해 자녀나 부모와 직접 통화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사기범들이 주위 사람이나 경찰에 알리지 말라고 협박하더라도 반드시 알려 도움을 청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최근 개인정보 도용 등을 통해 자녀의 이름을 사전에 알고 전화하는 경우도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설사 사기범들이 불러주는 계좌로 돈을 보냈더라고 경찰(112)이나 해당 금융기관에 지급정지를 신청하면 구제를 받을 수 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족 납치” 보이스피싱 급증…이렇게 대응
    • 입력 2017-12-12 14:02:22
    경제
가족 납치를 빙자한 보이스피싱 사기가 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정부는 내일(13일)부터 각 통신사를 통해 피해 예방 문자를 발송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과 방송통신위원회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납치 빙자형 보이스피싱에 대한 국민들의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해 내일(13일)부터 22일까지 열흘 동안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문자메시지'를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와 이동통신 3사를 통해 발송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알뜰통신사 가입자에게는 12월분 요금고지서(우편·이메일)를 통해 정보가 발송된다.

금융감독원 집계를 보면 지난 9월 37건(피해액 1억 8천3백만 원)이던 납치 빙자형 보이스피싱은 10월 36건(2억 1천6백만 원), 11월 92건(피해액 5억 2백만 원)으로 최근 들어 크게 늘었다.

특히 건당 피해액은 594만 원(1∼11월 평균)으로 전체 보이스피싱 건당 피해액(483만 원)의 1.23배여서 피해액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기범들은 ▶ 학교에 간 자녀 납치 ▶ 학원에 간 자녀 납치 ▶ 부모 납치 등을 빙자해 전화한 다음 욕설 등 험한 말로 피해자들을 협박해 돈을 송금받는 수법을 쓰고 있다. 최근 자녀 수가 적은 점, 맞벌이가 많아져 낮에 자녀들이 부모와 떨어져 있는 점, 그리고 홀몸 노인들이 늘어난 점을 사기범들이 이용하고 있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납치 빙자형 보이스피싱을 막기 위해 자녀나 부모의 상황을 확인해줄 수 있는 지인의 연락처를 미리 확보해 놓고 사기범들의 전화를 받게 되면 주변 사람들에게 부탁해 자녀나 부모와 직접 통화하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사기범들이 주위 사람이나 경찰에 알리지 말라고 협박하더라도 반드시 알려 도움을 청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최근 개인정보 도용 등을 통해 자녀의 이름을 사전에 알고 전화하는 경우도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설사 사기범들이 불러주는 계좌로 돈을 보냈더라고 경찰(112)이나 해당 금융기관에 지급정지를 신청하면 구제를 받을 수 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