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북 후 39년 만에 日 정착한 전 주한미군 젠킨스 사망
입력 2017.12.12 (19:32)
수정 2017.12.12 (20: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한미군으로 복무 중 월북했다가 2004년 일본에 정착한 찰스 로버트 젠킨스가 지난 11일 향년 77세로 사망했다고 NHK와 교도통신이 12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젠킨스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으로 1965년 비무장지대(DMZ) 근무 중 탈영·월북해 39년간 북한에서 생활했다. 반미 선전영화에 출연하기도 했지만, 감시를 받는 등 고초를 겪은 것으로 언론에 보도됐다.
젠킨스는 1980년 일본인 납치 피해자인 소가 히토미와 결혼해 두 딸을 뒀다. 아내가 2002년 일본으로 먼저 귀국한 뒤 2004년에는 두 딸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경유해 일본에 입국했다.
과거의 탈영 사실 때문에 같은 해 미 군법회의에서 금고 30일의 판결을 받았지만, 형기 단축으로 석방됐다. 이후 아내의 고향인 니가타 현 사도 시에 정착했고, 영주권을 취득해 가족과 함께 생활해 왔다. 시의 관광시설에서 선물 판매원으로 일하면서 관광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장을 받기도 했다.
2012년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생활이 행복하다면서, 일본인 납치 문제는 북한 정권이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NHK는 젠킨스가 북한에 있을 때 자신과 같은 아파트에 납치 피해자로 추정되는 태국인과 루마니아 여성이 미국 탈영병의 아내로 거주했다고 밝히는 등 납치 사건이 국제 문제화되는 하나의 계기를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젠킨스는 2007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북한 인권 문제 관련 국제회의에 참석해, 태국인 납치피해 여성에 대해 증언하기도 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젠킨스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으로 1965년 비무장지대(DMZ) 근무 중 탈영·월북해 39년간 북한에서 생활했다. 반미 선전영화에 출연하기도 했지만, 감시를 받는 등 고초를 겪은 것으로 언론에 보도됐다.
젠킨스는 1980년 일본인 납치 피해자인 소가 히토미와 결혼해 두 딸을 뒀다. 아내가 2002년 일본으로 먼저 귀국한 뒤 2004년에는 두 딸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경유해 일본에 입국했다.
과거의 탈영 사실 때문에 같은 해 미 군법회의에서 금고 30일의 판결을 받았지만, 형기 단축으로 석방됐다. 이후 아내의 고향인 니가타 현 사도 시에 정착했고, 영주권을 취득해 가족과 함께 생활해 왔다. 시의 관광시설에서 선물 판매원으로 일하면서 관광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장을 받기도 했다.
2012년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생활이 행복하다면서, 일본인 납치 문제는 북한 정권이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NHK는 젠킨스가 북한에 있을 때 자신과 같은 아파트에 납치 피해자로 추정되는 태국인과 루마니아 여성이 미국 탈영병의 아내로 거주했다고 밝히는 등 납치 사건이 국제 문제화되는 하나의 계기를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젠킨스는 2007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북한 인권 문제 관련 국제회의에 참석해, 태국인 납치피해 여성에 대해 증언하기도 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북 후 39년 만에 日 정착한 전 주한미군 젠킨스 사망
-
- 입력 2017-12-12 19:32:25
- 수정2017-12-12 20:16:40

주한미군으로 복무 중 월북했다가 2004년 일본에 정착한 찰스 로버트 젠킨스가 지난 11일 향년 77세로 사망했다고 NHK와 교도통신이 12일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젠킨스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으로 1965년 비무장지대(DMZ) 근무 중 탈영·월북해 39년간 북한에서 생활했다. 반미 선전영화에 출연하기도 했지만, 감시를 받는 등 고초를 겪은 것으로 언론에 보도됐다.
젠킨스는 1980년 일본인 납치 피해자인 소가 히토미와 결혼해 두 딸을 뒀다. 아내가 2002년 일본으로 먼저 귀국한 뒤 2004년에는 두 딸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경유해 일본에 입국했다.
과거의 탈영 사실 때문에 같은 해 미 군법회의에서 금고 30일의 판결을 받았지만, 형기 단축으로 석방됐다. 이후 아내의 고향인 니가타 현 사도 시에 정착했고, 영주권을 취득해 가족과 함께 생활해 왔다. 시의 관광시설에서 선물 판매원으로 일하면서 관광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장을 받기도 했다.
2012년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생활이 행복하다면서, 일본인 납치 문제는 북한 정권이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NHK는 젠킨스가 북한에 있을 때 자신과 같은 아파트에 납치 피해자로 추정되는 태국인과 루마니아 여성이 미국 탈영병의 아내로 거주했다고 밝히는 등 납치 사건이 국제 문제화되는 하나의 계기를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젠킨스는 2007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북한 인권 문제 관련 국제회의에 참석해, 태국인 납치피해 여성에 대해 증언하기도 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젠킨스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으로 1965년 비무장지대(DMZ) 근무 중 탈영·월북해 39년간 북한에서 생활했다. 반미 선전영화에 출연하기도 했지만, 감시를 받는 등 고초를 겪은 것으로 언론에 보도됐다.
젠킨스는 1980년 일본인 납치 피해자인 소가 히토미와 결혼해 두 딸을 뒀다. 아내가 2002년 일본으로 먼저 귀국한 뒤 2004년에는 두 딸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를 경유해 일본에 입국했다.
과거의 탈영 사실 때문에 같은 해 미 군법회의에서 금고 30일의 판결을 받았지만, 형기 단축으로 석방됐다. 이후 아내의 고향인 니가타 현 사도 시에 정착했고, 영주권을 취득해 가족과 함께 생활해 왔다. 시의 관광시설에서 선물 판매원으로 일하면서 관광진흥에 기여한 공로로 감사장을 받기도 했다.
2012년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 생활이 행복하다면서, 일본인 납치 문제는 북한 정권이 근본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NHK는 젠킨스가 북한에 있을 때 자신과 같은 아파트에 납치 피해자로 추정되는 태국인과 루마니아 여성이 미국 탈영병의 아내로 거주했다고 밝히는 등 납치 사건이 국제 문제화되는 하나의 계기를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젠킨스는 2007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북한 인권 문제 관련 국제회의에 참석해, 태국인 납치피해 여성에 대해 증언하기도 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나신하 기자 daniel@kbs.co.kr
나신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