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동지, “팥떡 나눠 먹어요”…세시풍속 재연

입력 2017.12.22 (19:15) 수정 2017.12.22 (19: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은 일년중 밤이 가장 길고 해가 가장 짧은 동지입니다.

옛 조상들이 동지가 되면 지내던 세시풍속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재연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24절기 가운데 22번째 절기인 동지를 맞아 동지고사가 재연됐습니다.

전통 장단에 맞춰 풍물굿패가 입장하고, 가신에게 음식을 올리는 동지고사가 시작됩니다.

옛 사람들은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동지'를 기점으로 태양이 부활하는 것으로 여기고, 큰 명절로 삼아왔습니다.

동지고사에서는 특히, 주부가 팥죽을 솔가지에 묻혀 집 울타리 안쪽 여기저기에 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잡귀의 침입을 막는 민간의 전통 세시 풍속입니다.

특히, 올해 동지는 음력 11월 5일로 '애동지'에 해당돼 동지팥떡을 나누어먹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인터뷰> 이혜원(국립민속박물관 주무관) : "이번 애동지를 맞아서 동시고사와 동지팥떡을 나눠주는 행사를 개최하였는데요, 애동지때 민간에서 동지팥떡을 많이 먹었다는 속설이 있어서 이번에는 팥떡을 준비했습니다."

한편, 이번 동지고사에서는 청년실업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자는 의미에서 액운을 물리치는 소지를 태워 눈길을 끌었습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은 동지, “팥떡 나눠 먹어요”…세시풍속 재연
    • 입력 2017-12-22 19:17:31
    • 수정2017-12-22 19:21:00
    뉴스 7
<앵커 멘트>

오늘은 일년중 밤이 가장 길고 해가 가장 짧은 동지입니다.

옛 조상들이 동지가 되면 지내던 세시풍속을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재연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신강문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24절기 가운데 22번째 절기인 동지를 맞아 동지고사가 재연됐습니다.

전통 장단에 맞춰 풍물굿패가 입장하고, 가신에게 음식을 올리는 동지고사가 시작됩니다.

옛 사람들은 낮의 길이가 가장 짧은 '동지'를 기점으로 태양이 부활하는 것으로 여기고, 큰 명절로 삼아왔습니다.

동지고사에서는 특히, 주부가 팥죽을 솔가지에 묻혀 집 울타리 안쪽 여기저기에 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잡귀의 침입을 막는 민간의 전통 세시 풍속입니다.

특히, 올해 동지는 음력 11월 5일로 '애동지'에 해당돼 동지팥떡을 나누어먹는 행사가 열렸습니다.

<인터뷰> 이혜원(국립민속박물관 주무관) : "이번 애동지를 맞아서 동시고사와 동지팥떡을 나눠주는 행사를 개최하였는데요, 애동지때 민간에서 동지팥떡을 많이 먹었다는 속설이 있어서 이번에는 팥떡을 준비했습니다."

한편, 이번 동지고사에서는 청년실업 등 사회문제를 해결하자는 의미에서 액운을 물리치는 소지를 태워 눈길을 끌었습니다.

KBS 뉴스 신강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