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직원 투매로 차익”…혼선 질타
입력 2018.01.18 (22:48)
수정 2018.01.18 (23: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사회적 이슈로 등장한 가상화폐 관련 정부 대책을 듣기 위해 국회 정무위원회가 열렸는데요.
여야 의원들은 부처 간 조율 없이 성급하게 대책을 발표해 시장 혼란만 초래했다고 한목소리로 질타했습니다.
금융감독원 직원이 정부 대책 발표 직전 가상화폐를 투매해 차익을 얻은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을 듣기 위해 긴급 소집된 국회 정무위원회.
부처 간 조율 없이 쏟아낸 정부 대책과 발언으로 시장에 혼란만 초래했다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김선동/자유한국당 의원 : "갈팡질팡, 오락가락하고 있고요. 안절부절못하면서 내세우는 정치적 대증요법뿐입니다."]
[김관영/국민의당 의원 : "말씀 한 마디 한 마디를 하는 것들이 지금 시장에 굉장히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상화폐 거품이 붕괴할 것이라며 내기 운운했던 금융감독원장은 공식 사과했습니다.
[최흥식/금융감독원장 : "정제되지 않은 표현을 해서, 한 것 같아서 아주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시장과 관련해서는 조금 더 정제된 표현을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부는 대책 중 하나로 검토 중인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는 입법 절차 없이는 할 수 없다면서, 일단은 투기과열이나 불법행위를 차단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의 기술적 가치를 인정하고 양성화시키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민병두/더불어민주당 의원 : "시장에 신뢰를 줘서 정상적인 거래는 이뤄지게 하자는 것이고, 결제 수단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한다면..."]
가상화폐에 투자한 금융감독원 직원이 정부 대책 발표 직전 투매를 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해당 직원이 국무조정실에서 가상화폐 관련 대책을 준비하는 데 관여했고, 사전 매각으로 700여만 원의 차익을 얻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인정했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사회적 이슈로 등장한 가상화폐 관련 정부 대책을 듣기 위해 국회 정무위원회가 열렸는데요.
여야 의원들은 부처 간 조율 없이 성급하게 대책을 발표해 시장 혼란만 초래했다고 한목소리로 질타했습니다.
금융감독원 직원이 정부 대책 발표 직전 가상화폐를 투매해 차익을 얻은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을 듣기 위해 긴급 소집된 국회 정무위원회.
부처 간 조율 없이 쏟아낸 정부 대책과 발언으로 시장에 혼란만 초래했다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김선동/자유한국당 의원 : "갈팡질팡, 오락가락하고 있고요. 안절부절못하면서 내세우는 정치적 대증요법뿐입니다."]
[김관영/국민의당 의원 : "말씀 한 마디 한 마디를 하는 것들이 지금 시장에 굉장히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상화폐 거품이 붕괴할 것이라며 내기 운운했던 금융감독원장은 공식 사과했습니다.
[최흥식/금융감독원장 : "정제되지 않은 표현을 해서, 한 것 같아서 아주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시장과 관련해서는 조금 더 정제된 표현을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부는 대책 중 하나로 검토 중인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는 입법 절차 없이는 할 수 없다면서, 일단은 투기과열이나 불법행위를 차단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의 기술적 가치를 인정하고 양성화시키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민병두/더불어민주당 의원 : "시장에 신뢰를 줘서 정상적인 거래는 이뤄지게 하자는 것이고, 결제 수단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한다면..."]
가상화폐에 투자한 금융감독원 직원이 정부 대책 발표 직전 투매를 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해당 직원이 국무조정실에서 가상화폐 관련 대책을 준비하는 데 관여했고, 사전 매각으로 700여만 원의 차익을 얻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인정했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감원 직원 투매로 차익”…혼선 질타
-
- 입력 2018-01-18 22:52:28
- 수정2018-01-18 23:17:40

[앵커]
사회적 이슈로 등장한 가상화폐 관련 정부 대책을 듣기 위해 국회 정무위원회가 열렸는데요.
여야 의원들은 부처 간 조율 없이 성급하게 대책을 발표해 시장 혼란만 초래했다고 한목소리로 질타했습니다.
금융감독원 직원이 정부 대책 발표 직전 가상화폐를 투매해 차익을 얻은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을 듣기 위해 긴급 소집된 국회 정무위원회.
부처 간 조율 없이 쏟아낸 정부 대책과 발언으로 시장에 혼란만 초래했다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김선동/자유한국당 의원 : "갈팡질팡, 오락가락하고 있고요. 안절부절못하면서 내세우는 정치적 대증요법뿐입니다."]
[김관영/국민의당 의원 : "말씀 한 마디 한 마디를 하는 것들이 지금 시장에 굉장히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상화폐 거품이 붕괴할 것이라며 내기 운운했던 금융감독원장은 공식 사과했습니다.
[최흥식/금융감독원장 : "정제되지 않은 표현을 해서, 한 것 같아서 아주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시장과 관련해서는 조금 더 정제된 표현을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부는 대책 중 하나로 검토 중인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는 입법 절차 없이는 할 수 없다면서, 일단은 투기과열이나 불법행위를 차단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의 기술적 가치를 인정하고 양성화시키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민병두/더불어민주당 의원 : "시장에 신뢰를 줘서 정상적인 거래는 이뤄지게 하자는 것이고, 결제 수단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한다면..."]
가상화폐에 투자한 금융감독원 직원이 정부 대책 발표 직전 투매를 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해당 직원이 국무조정실에서 가상화폐 관련 대책을 준비하는 데 관여했고, 사전 매각으로 700여만 원의 차익을 얻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인정했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사회적 이슈로 등장한 가상화폐 관련 정부 대책을 듣기 위해 국회 정무위원회가 열렸는데요.
여야 의원들은 부처 간 조율 없이 성급하게 대책을 발표해 시장 혼란만 초래했다고 한목소리로 질타했습니다.
금융감독원 직원이 정부 대책 발표 직전 가상화폐를 투매해 차익을 얻은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의 가상화폐 대책을 듣기 위해 긴급 소집된 국회 정무위원회.
부처 간 조율 없이 쏟아낸 정부 대책과 발언으로 시장에 혼란만 초래했다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김선동/자유한국당 의원 : "갈팡질팡, 오락가락하고 있고요. 안절부절못하면서 내세우는 정치적 대증요법뿐입니다."]
[김관영/국민의당 의원 : "말씀 한 마디 한 마디를 하는 것들이 지금 시장에 굉장히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상화폐 거품이 붕괴할 것이라며 내기 운운했던 금융감독원장은 공식 사과했습니다.
[최흥식/금융감독원장 : "정제되지 않은 표현을 해서, 한 것 같아서 아주 송구스럽게 생각합니다. 시장과 관련해서는 조금 더 정제된 표현을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부는 대책 중 하나로 검토 중인 가상화폐 거래소 폐쇄는 입법 절차 없이는 할 수 없다면서, 일단은 투기과열이나 불법행위를 차단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가상화폐의 기술적 가치를 인정하고 양성화시키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민병두/더불어민주당 의원 : "시장에 신뢰를 줘서 정상적인 거래는 이뤄지게 하자는 것이고, 결제 수단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다고 한다면..."]
가상화폐에 투자한 금융감독원 직원이 정부 대책 발표 직전 투매를 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금융감독원은 해당 직원이 국무조정실에서 가상화폐 관련 대책을 준비하는 데 관여했고, 사전 매각으로 700여만 원의 차익을 얻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인정했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
남승우 기자 futurist@kbs.co.kr
남승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