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핵잠의 수모…“소음 심해 日에 발각돼 이틀간 쫓겨”
입력 2018.01.29 (12:55)
수정 2018.01.29 (13: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핵잠수함의 소음이 너무 심해 일본 해군에게 발각돼 이틀간 쫓겨 다니는 수모를 겪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지가 29일 보도했다.
신문은 '093A형'으로 불리는 중국의 110m '상(商)급' 핵잠수함이 지난 10일 일본과 중국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열도, (중국명 댜오위다오)인근 해역에 진입했지만, 일본 해군에게 이틀간 쫓겨 다닌 끝에 지난 12일 공해에서 중국의 국기인 오성홍기를 돛대에 매단 채 수면 위로 떠올랐다고 전했다.
당시 중국 국기를 매단 채 부상한 것이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서라는 견해도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소음이 심한 중국 핵잠수함이 일본 함정과 군용기의 추격을 당하다가 공해에서 부상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수개월 간 수중 작전을 수행하는 핵잠수함은 일단 적에 발각돼 그 잠수함의 독특한 음향이 기록되면 작전 능력이 사실상 소멸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숙성은 생명과도 같다.
이번에 발각된 '093A형' 잠수함은 소음이 너무 컸던 '한(漢)급' 핵잠수함인 '091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국 해군이 만든 잠수함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인도양과 서태평양에서 작전중인 중국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은 2006년 취역한 '093형' 2척과 이를 개량해 2016년 취역한 '093A형' 2척이다.
대함 크루즈 미사일을 장착한 '093A형'은 미국의 로스앤젤레스급 핵잠수함에 필적하며, '091형'보다 훨씬 조용할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번 노출로 그 한계를 드러냈다.
중국은 오는 2020년 이전에 공격형 핵잠수함을 6척까지 늘릴 방침이며, 2020년대에는 기존 잠수함보다 훨씬 조용한 차세대 잠수함 '095형'을 취역시킬 계획으로 알려졌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신문은 '093A형'으로 불리는 중국의 110m '상(商)급' 핵잠수함이 지난 10일 일본과 중국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열도, (중국명 댜오위다오)인근 해역에 진입했지만, 일본 해군에게 이틀간 쫓겨 다닌 끝에 지난 12일 공해에서 중국의 국기인 오성홍기를 돛대에 매단 채 수면 위로 떠올랐다고 전했다.
당시 중국 국기를 매단 채 부상한 것이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서라는 견해도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소음이 심한 중국 핵잠수함이 일본 함정과 군용기의 추격을 당하다가 공해에서 부상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수개월 간 수중 작전을 수행하는 핵잠수함은 일단 적에 발각돼 그 잠수함의 독특한 음향이 기록되면 작전 능력이 사실상 소멸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숙성은 생명과도 같다.
이번에 발각된 '093A형' 잠수함은 소음이 너무 컸던 '한(漢)급' 핵잠수함인 '091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국 해군이 만든 잠수함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인도양과 서태평양에서 작전중인 중국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은 2006년 취역한 '093형' 2척과 이를 개량해 2016년 취역한 '093A형' 2척이다.
대함 크루즈 미사일을 장착한 '093A형'은 미국의 로스앤젤레스급 핵잠수함에 필적하며, '091형'보다 훨씬 조용할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번 노출로 그 한계를 드러냈다.
중국은 오는 2020년 이전에 공격형 핵잠수함을 6척까지 늘릴 방침이며, 2020년대에는 기존 잠수함보다 훨씬 조용한 차세대 잠수함 '095형'을 취역시킬 계획으로 알려졌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中 핵잠의 수모…“소음 심해 日에 발각돼 이틀간 쫓겨”
-
- 입력 2018-01-29 12:55:28
- 수정2018-01-29 13:58:02
중국 핵잠수함의 소음이 너무 심해 일본 해군에게 발각돼 이틀간 쫓겨 다니는 수모를 겪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지가 29일 보도했다.
신문은 '093A형'으로 불리는 중국의 110m '상(商)급' 핵잠수함이 지난 10일 일본과 중국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열도, (중국명 댜오위다오)인근 해역에 진입했지만, 일본 해군에게 이틀간 쫓겨 다닌 끝에 지난 12일 공해에서 중국의 국기인 오성홍기를 돛대에 매단 채 수면 위로 떠올랐다고 전했다.
당시 중국 국기를 매단 채 부상한 것이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서라는 견해도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소음이 심한 중국 핵잠수함이 일본 함정과 군용기의 추격을 당하다가 공해에서 부상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수개월 간 수중 작전을 수행하는 핵잠수함은 일단 적에 발각돼 그 잠수함의 독특한 음향이 기록되면 작전 능력이 사실상 소멸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숙성은 생명과도 같다.
이번에 발각된 '093A형' 잠수함은 소음이 너무 컸던 '한(漢)급' 핵잠수함인 '091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국 해군이 만든 잠수함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인도양과 서태평양에서 작전중인 중국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은 2006년 취역한 '093형' 2척과 이를 개량해 2016년 취역한 '093A형' 2척이다.
대함 크루즈 미사일을 장착한 '093A형'은 미국의 로스앤젤레스급 핵잠수함에 필적하며, '091형'보다 훨씬 조용할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번 노출로 그 한계를 드러냈다.
중국은 오는 2020년 이전에 공격형 핵잠수함을 6척까지 늘릴 방침이며, 2020년대에는 기존 잠수함보다 훨씬 조용한 차세대 잠수함 '095형'을 취역시킬 계획으로 알려졌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신문은 '093A형'으로 불리는 중국의 110m '상(商)급' 핵잠수함이 지난 10일 일본과 중국의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열도, (중국명 댜오위다오)인근 해역에 진입했지만, 일본 해군에게 이틀간 쫓겨 다닌 끝에 지난 12일 공해에서 중국의 국기인 오성홍기를 돛대에 매단 채 수면 위로 떠올랐다고 전했다.
당시 중국 국기를 매단 채 부상한 것이 센카쿠 열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기 위해서라는 견해도 있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소음이 심한 중국 핵잠수함이 일본 함정과 군용기의 추격을 당하다가 공해에서 부상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수개월 간 수중 작전을 수행하는 핵잠수함은 일단 적에 발각돼 그 잠수함의 독특한 음향이 기록되면 작전 능력이 사실상 소멸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숙성은 생명과도 같다.
이번에 발각된 '093A형' 잠수함은 소음이 너무 컸던 '한(漢)급' 핵잠수함인 '091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중국 해군이 만든 잠수함으로 알려져있다.
현재 인도양과 서태평양에서 작전중인 중국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은 2006년 취역한 '093형' 2척과 이를 개량해 2016년 취역한 '093A형' 2척이다.
대함 크루즈 미사일을 장착한 '093A형'은 미국의 로스앤젤레스급 핵잠수함에 필적하며, '091형'보다 훨씬 조용할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번 노출로 그 한계를 드러냈다.
중국은 오는 2020년 이전에 공격형 핵잠수함을 6척까지 늘릴 방침이며, 2020년대에는 기존 잠수함보다 훨씬 조용한 차세대 잠수함 '095형'을 취역시킬 계획으로 알려졌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김민철 기자 kmc@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