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후기고 신입생 13.9% 줄어…중학교는 10%↓
입력 2018.02.01 (11:38)
수정 2018.02.01 (1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일반고등학교와 자율형공립고(자공고) 올해 신입생이 작년보다 13.9% 줄었다. 서울시교육청은 2018학년도 후기고(학교장 선발 후기고 제외) 신입생 배정결과를 2일 오전 10시 발표한다고 1일 밝혔다.
일반고와 자공고 등 204개 후기고에 신학기 신입생으로 배정된 학생은 4만 9,961명으로 작년(5만 8,059명)보다 13.9%(8,098명) 감소했다. 교육청은 저출산 영향으로 후기고 배정대상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서울 후기고 배정대상은 2014년 7만 2,644명에서 2015년 6만 8,653명으로 5.4%(3,991명) 줄었다가 '천년둥이'인 2000년생들이 고교에 입학한 2016년 7만 780명으로 3.1%(2,127명) 반짝 증가한 뒤 작년 5만 8,059명으로 18.0%(1만 2,721명)나 감소했다.
서울 후기고 배정은 총 3단계로 이뤄진다. 1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서울 내 전체 후기고 가운데 2곳을 골라 지원하면 각 학교 모집정원의 20%(중부학교군 학교는 60%)만큼 배정된다. 2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거주지가 속한 일반학교군(학군) 고교 중 2곳을 지망하면 학교별 모집정원의 40%만큼 배정이 이뤄진다. 1단계와 2단계에서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들은 3단계로 거주지 일반학교군과 인접한 일반학교군을 묶은 '통합학교군' 내 고교를 배정받는다. 이런 과정을 거쳐 원하는 고교에 배정된 학생은 올해 91.7%로 집계됐다.
자신의 거주지가 속한 학군이 아닌 다른 학군에 있는 고교를 지망해 배정받은 학생은 전체의 6.3%(3,074명)로 나타났다. 이중 '8학군'으로 불리는 강남학교군(강남·서초구) 고교에 진학을 원해 배정받은 학생은 491명이었다. 교육청 관계자는 "강남학교군으로 넘어간 학생 상당수는 서초구에 인접한 동작구에 사는 학생들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폭력 가해학생 74명과 피해학생 79명을 서로 다른 고교에, 3급 이상 중증장애인의 자녀 27명을 집과 가까운 학교에 배정했다고 밝혔다.
2018학년도 서울 중학교 신입생(배정대상자)은 6만 7,134명으로 지난해(7만 4,567명)보다 약 10.0%(7,433명) 감소했다. 중학교 배정대상자는 2014년 8만 7,270명, 2015년 7만 7,285명, 2016년 7만 8,231명, 작년 7만 4,567명으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일반고와 자공고 등 204개 후기고에 신학기 신입생으로 배정된 학생은 4만 9,961명으로 작년(5만 8,059명)보다 13.9%(8,098명) 감소했다. 교육청은 저출산 영향으로 후기고 배정대상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서울 후기고 배정대상은 2014년 7만 2,644명에서 2015년 6만 8,653명으로 5.4%(3,991명) 줄었다가 '천년둥이'인 2000년생들이 고교에 입학한 2016년 7만 780명으로 3.1%(2,127명) 반짝 증가한 뒤 작년 5만 8,059명으로 18.0%(1만 2,721명)나 감소했다.
서울 후기고 배정은 총 3단계로 이뤄진다. 1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서울 내 전체 후기고 가운데 2곳을 골라 지원하면 각 학교 모집정원의 20%(중부학교군 학교는 60%)만큼 배정된다. 2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거주지가 속한 일반학교군(학군) 고교 중 2곳을 지망하면 학교별 모집정원의 40%만큼 배정이 이뤄진다. 1단계와 2단계에서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들은 3단계로 거주지 일반학교군과 인접한 일반학교군을 묶은 '통합학교군' 내 고교를 배정받는다. 이런 과정을 거쳐 원하는 고교에 배정된 학생은 올해 91.7%로 집계됐다.
자신의 거주지가 속한 학군이 아닌 다른 학군에 있는 고교를 지망해 배정받은 학생은 전체의 6.3%(3,074명)로 나타났다. 이중 '8학군'으로 불리는 강남학교군(강남·서초구) 고교에 진학을 원해 배정받은 학생은 491명이었다. 교육청 관계자는 "강남학교군으로 넘어간 학생 상당수는 서초구에 인접한 동작구에 사는 학생들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폭력 가해학생 74명과 피해학생 79명을 서로 다른 고교에, 3급 이상 중증장애인의 자녀 27명을 집과 가까운 학교에 배정했다고 밝혔다.
2018학년도 서울 중학교 신입생(배정대상자)은 6만 7,134명으로 지난해(7만 4,567명)보다 약 10.0%(7,433명) 감소했다. 중학교 배정대상자는 2014년 8만 7,270명, 2015년 7만 7,285명, 2016년 7만 8,231명, 작년 7만 4,567명으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후기고 신입생 13.9% 줄어…중학교는 10%↓
-
- 입력 2018-02-01 11:38:05
- 수정2018-02-01 11:40:10

서울 일반고등학교와 자율형공립고(자공고) 올해 신입생이 작년보다 13.9% 줄었다. 서울시교육청은 2018학년도 후기고(학교장 선발 후기고 제외) 신입생 배정결과를 2일 오전 10시 발표한다고 1일 밝혔다.
일반고와 자공고 등 204개 후기고에 신학기 신입생으로 배정된 학생은 4만 9,961명으로 작년(5만 8,059명)보다 13.9%(8,098명) 감소했다. 교육청은 저출산 영향으로 후기고 배정대상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서울 후기고 배정대상은 2014년 7만 2,644명에서 2015년 6만 8,653명으로 5.4%(3,991명) 줄었다가 '천년둥이'인 2000년생들이 고교에 입학한 2016년 7만 780명으로 3.1%(2,127명) 반짝 증가한 뒤 작년 5만 8,059명으로 18.0%(1만 2,721명)나 감소했다.
서울 후기고 배정은 총 3단계로 이뤄진다. 1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서울 내 전체 후기고 가운데 2곳을 골라 지원하면 각 학교 모집정원의 20%(중부학교군 학교는 60%)만큼 배정된다. 2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거주지가 속한 일반학교군(학군) 고교 중 2곳을 지망하면 학교별 모집정원의 40%만큼 배정이 이뤄진다. 1단계와 2단계에서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들은 3단계로 거주지 일반학교군과 인접한 일반학교군을 묶은 '통합학교군' 내 고교를 배정받는다. 이런 과정을 거쳐 원하는 고교에 배정된 학생은 올해 91.7%로 집계됐다.
자신의 거주지가 속한 학군이 아닌 다른 학군에 있는 고교를 지망해 배정받은 학생은 전체의 6.3%(3,074명)로 나타났다. 이중 '8학군'으로 불리는 강남학교군(강남·서초구) 고교에 진학을 원해 배정받은 학생은 491명이었다. 교육청 관계자는 "강남학교군으로 넘어간 학생 상당수는 서초구에 인접한 동작구에 사는 학생들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폭력 가해학생 74명과 피해학생 79명을 서로 다른 고교에, 3급 이상 중증장애인의 자녀 27명을 집과 가까운 학교에 배정했다고 밝혔다.
2018학년도 서울 중학교 신입생(배정대상자)은 6만 7,134명으로 지난해(7만 4,567명)보다 약 10.0%(7,433명) 감소했다. 중학교 배정대상자는 2014년 8만 7,270명, 2015년 7만 7,285명, 2016년 7만 8,231명, 작년 7만 4,567명으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일반고와 자공고 등 204개 후기고에 신학기 신입생으로 배정된 학생은 4만 9,961명으로 작년(5만 8,059명)보다 13.9%(8,098명) 감소했다. 교육청은 저출산 영향으로 후기고 배정대상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서울 후기고 배정대상은 2014년 7만 2,644명에서 2015년 6만 8,653명으로 5.4%(3,991명) 줄었다가 '천년둥이'인 2000년생들이 고교에 입학한 2016년 7만 780명으로 3.1%(2,127명) 반짝 증가한 뒤 작년 5만 8,059명으로 18.0%(1만 2,721명)나 감소했다.
서울 후기고 배정은 총 3단계로 이뤄진다. 1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서울 내 전체 후기고 가운데 2곳을 골라 지원하면 각 학교 모집정원의 20%(중부학교군 학교는 60%)만큼 배정된다. 2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거주지가 속한 일반학교군(학군) 고교 중 2곳을 지망하면 학교별 모집정원의 40%만큼 배정이 이뤄진다. 1단계와 2단계에서 학교를 배정받지 못한 학생들은 3단계로 거주지 일반학교군과 인접한 일반학교군을 묶은 '통합학교군' 내 고교를 배정받는다. 이런 과정을 거쳐 원하는 고교에 배정된 학생은 올해 91.7%로 집계됐다.
자신의 거주지가 속한 학군이 아닌 다른 학군에 있는 고교를 지망해 배정받은 학생은 전체의 6.3%(3,074명)로 나타났다. 이중 '8학군'으로 불리는 강남학교군(강남·서초구) 고교에 진학을 원해 배정받은 학생은 491명이었다. 교육청 관계자는 "강남학교군으로 넘어간 학생 상당수는 서초구에 인접한 동작구에 사는 학생들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교폭력 가해학생 74명과 피해학생 79명을 서로 다른 고교에, 3급 이상 중증장애인의 자녀 27명을 집과 가까운 학교에 배정했다고 밝혔다.
2018학년도 서울 중학교 신입생(배정대상자)은 6만 7,134명으로 지난해(7만 4,567명)보다 약 10.0%(7,433명) 감소했다. 중학교 배정대상자는 2014년 8만 7,270명, 2015년 7만 7,285명, 2016년 7만 8,231명, 작년 7만 4,567명으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이근우 기자 lkw@kbs.co.kr
이근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