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위험평가 컨설팅업체 “평창에 대한 위협 찾지 못함”

입력 2018.02.02 (21:01) 수정 2018.02.02 (21: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국의 컨설팅 업체 `리스크 어드바이저리'는 "여러 고객이 평창올림픽을 둘러싼 위협과 위험도에 대해 문의해 왔다"면서 자신들의 분석·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위험도 약함"이라고 판정한 결과를 최근 내놓았다.

이 업체의 보고서는 "북한의 올림픽 참가와 한·미 군사훈련의 연기가 여러 가지 핵심 위험요소들을 줄였다"며 "2014년 동계올림픽과 2016년 하계올림픽 개최지들(소치, 리우데자네이루)보다 평창은 테러리즘, 범죄, 소요 등의 면에서 좋은 환경"이라고 평가하고 기반시설도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믿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한국 전체 차원에서도, 우리는 현재 이들 위험 유형 각각이 낮거나 무시할 만한 수준이라고 평가하며, 올림픽 개막 이전에 그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지난해 미국과 북한 간 긴장을 겪은 후 "올림픽을 둘러싼 남북대화는 긍정적인 신호"이긴 하지만, 이것이 올림픽 후까지 지속할지는 불확실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동기에 대해 한·미 간 이간 목적 외에 "남북대화에 임함으로써, 뒤로 물러서는 인상을 주지 않고도 올림픽 기간에 도발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국제사회에 김정은에 대한 합리적 지도자 이미지를 만들려는" 목적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평창올림픽에 대한 테러 위협과 관련, 보고서는 "우리가 감시하는 온라인 극단주의 미디어들에서 평창올림픽에 대한 어떤 위협도, 심지어 언급도 찾아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사이버 해킹 위협에 대해선 "북한의 올림픽 참가 등으로 북한발 위협은 올림픽 기간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사진출처 : 리스크어드바이저리]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영국 위험평가 컨설팅업체 “평창에 대한 위협 찾지 못함”
    • 입력 2018-02-02 21:01:29
    • 수정2018-02-02 21:04:55
    국제
영국의 컨설팅 업체 `리스크 어드바이저리'는 "여러 고객이 평창올림픽을 둘러싼 위협과 위험도에 대해 문의해 왔다"면서 자신들의 분석·평가 결과 "전반적으로 위험도 약함"이라고 판정한 결과를 최근 내놓았다.

이 업체의 보고서는 "북한의 올림픽 참가와 한·미 군사훈련의 연기가 여러 가지 핵심 위험요소들을 줄였다"며 "2014년 동계올림픽과 2016년 하계올림픽 개최지들(소치, 리우데자네이루)보다 평창은 테러리즘, 범죄, 소요 등의 면에서 좋은 환경"이라고 평가하고 기반시설도 "전반적으로 안전하고 믿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한국 전체 차원에서도, 우리는 현재 이들 위험 유형 각각이 낮거나 무시할 만한 수준이라고 평가하며, 올림픽 개막 이전에 그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지난해 미국과 북한 간 긴장을 겪은 후 "올림픽을 둘러싼 남북대화는 긍정적인 신호"이긴 하지만, 이것이 올림픽 후까지 지속할지는 불확실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 동기에 대해 한·미 간 이간 목적 외에 "남북대화에 임함으로써, 뒤로 물러서는 인상을 주지 않고도 올림픽 기간에 도발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국제사회에 김정은에 대한 합리적 지도자 이미지를 만들려는" 목적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평창올림픽에 대한 테러 위협과 관련, 보고서는 "우리가 감시하는 온라인 극단주의 미디어들에서 평창올림픽에 대한 어떤 위협도, 심지어 언급도 찾아보지 못했다"고 말했다. 사이버 해킹 위협에 대해선 "북한의 올림픽 참가 등으로 북한발 위협은 올림픽 기간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사진출처 : 리스크어드바이저리]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