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과서에 ‘위안부’ 4년만에 다시 명시…‘유신독재’ 적시

입력 2018.03.06 (08:05) 수정 2018.03.06 (08: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일본군 위안부'라는 표현이 4년 만에 다시 명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 따르면 올해 새 학기부터 사용되는 초등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에는 '일본군 위안부'라는 제목의 사진과 함께 '식민지 한국의 여성뿐 아니라 일제가 점령한 지역의 여성들까지 강제로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모진 고통을 당했다'는 설명이 실렸다. 새 교과서에 실린 사진은 1944년 9월 미군이 중국 윈난성 '라모'지역에서 찍은 위안부 모습이다.

초등 사회 교과서에 위안부라는 명칭이 등장하는 것은 4년 만이다. 이전 정부 때 만들어진 종전 교과서는 '강제로 전쟁터에 끌려간 여성들은 일본군에게 많은 고통을 당했다'고 서술할 뿐 위안부라는 명칭을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다.

5·16 군사정변에 대한 설명도 바뀌었다. 종전 교과서는 '정부가 4·19 혁명 후 각계각층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자 박정희를 중심으로 일부 군인이 국민 생활 안정과 공산주의 반대를 주장하며 군대를 동원해 정권을 잡았다'고 서술했다.

반면 새 교과서는 '정부가 경제를 성장시키고자 세운 계획을 이유로 군대를 축소하려 하자 불만을 품은 박정희를 중심으로 일부 군인이 정부 무능과 사회혼란을 구실삼아 군대를 동원해 정권을 차지했다'고 군사정변 이유를 달리 설명했다.

'유신체제'나 '유신헌법에 따른 통치' 대신 '유신독재'나 '독재정치'라는 표현을 쓴 것도 새 교과서에서 달라진 점이다.

새 교과서는 '1948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이뤄진 날로 정리했다.

새 교과서에는 조선통신사가 일본에 조선문화를 전했을 뿐 아니라 일본에서 서적 등을 수입해 들어왔다는 점도 명시됐다. 또 신사임당이 '조선 제일의 여류화가'로 소개돼 '현모양처의 모델'처럼만 소개하던 가부장적 시각에서 다소 벗어난 것으로 평가됐다.

최근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기준 시안에서 빠져 논란이 된 '자유민주주의'라는 표현은 이번 초등학교 새 교과서에는 소단원 제목으로 남았다.

전교조는 "교육과정에 쓰인 용어가 자유민주주의라 이 표현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교육부 설명"이라며 "개념이 모호한 용어로 정치적 의도에 따라 논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앞으로 명쾌하게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초등교과서에 ‘위안부’ 4년만에 다시 명시…‘유신독재’ 적시
    • 입력 2018-03-06 08:05:10
    • 수정2018-03-06 08:20:21
    사회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일본군 위안부'라는 표현이 4년 만에 다시 명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에 따르면 올해 새 학기부터 사용되는 초등 6학년 1학기 사회 교과서에는 '일본군 위안부'라는 제목의 사진과 함께 '식민지 한국의 여성뿐 아니라 일제가 점령한 지역의 여성들까지 강제로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 모진 고통을 당했다'는 설명이 실렸다. 새 교과서에 실린 사진은 1944년 9월 미군이 중국 윈난성 '라모'지역에서 찍은 위안부 모습이다.

초등 사회 교과서에 위안부라는 명칭이 등장하는 것은 4년 만이다. 이전 정부 때 만들어진 종전 교과서는 '강제로 전쟁터에 끌려간 여성들은 일본군에게 많은 고통을 당했다'고 서술할 뿐 위안부라는 명칭을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다.

5·16 군사정변에 대한 설명도 바뀌었다. 종전 교과서는 '정부가 4·19 혁명 후 각계각층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자 박정희를 중심으로 일부 군인이 국민 생활 안정과 공산주의 반대를 주장하며 군대를 동원해 정권을 잡았다'고 서술했다.

반면 새 교과서는 '정부가 경제를 성장시키고자 세운 계획을 이유로 군대를 축소하려 하자 불만을 품은 박정희를 중심으로 일부 군인이 정부 무능과 사회혼란을 구실삼아 군대를 동원해 정권을 차지했다'고 군사정변 이유를 달리 설명했다.

'유신체제'나 '유신헌법에 따른 통치' 대신 '유신독재'나 '독재정치'라는 표현을 쓴 것도 새 교과서에서 달라진 점이다.

새 교과서는 '1948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 이뤄진 날로 정리했다.

새 교과서에는 조선통신사가 일본에 조선문화를 전했을 뿐 아니라 일본에서 서적 등을 수입해 들어왔다는 점도 명시됐다. 또 신사임당이 '조선 제일의 여류화가'로 소개돼 '현모양처의 모델'처럼만 소개하던 가부장적 시각에서 다소 벗어난 것으로 평가됐다.

최근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기준 시안에서 빠져 논란이 된 '자유민주주의'라는 표현은 이번 초등학교 새 교과서에는 소단원 제목으로 남았다.

전교조는 "교육과정에 쓰인 용어가 자유민주주의라 이 표현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교육부 설명"이라며 "개념이 모호한 용어로 정치적 의도에 따라 논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앞으로 명쾌하게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