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산업 성장세…승마 인구 95만 명 육박
입력 2018.03.06 (11:49)
수정 2018.03.06 (12: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산업 육성 정책 등으로 승마 인구와 승마 시설이 계속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17 말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정기 승마 인구수는 4만9천312명으로 2016년보다 3.9%(1천841명) 증가했다.
체험 승마 인구를 포함한 전체 승마 인구수는 94만8천714명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말산업 육성 정책을 통해 농어촌형 승마 시설 설치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농어촌형 승마 시설 수는 전년보다 18.9%(27개소) 증가했다. 전체 승마 시설 수는 6.9%(33개소) 늘어난 512개소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추진한 제1차 말산업육성 종합계획에 따른 목표 500개소를 달성했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말산업 사업체 수는 8.4%(192개소) 증가한 2천470개소이며, 이중 말 보유 사업체 수는 9.5%(186개소) 늘어난 2천146개소로 조사됐다. 말 사육두수는 전년보다 94두 증가한 2만7천210두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산업연관분석을 한 결과, 말산업 경제적 효과는 2016년 말 기준으로 3조4천221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2015년 말보다 101억원(0.3%) 증가한 수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말산업 성장의 주요 지표인 승마 시설 수, 말 사업체 수, 말 두수, 승마 인구 등이 2013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말 관련 분야의 산업화가 진전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7년부터 '제2차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6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17 말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정기 승마 인구수는 4만9천312명으로 2016년보다 3.9%(1천841명) 증가했다.
체험 승마 인구를 포함한 전체 승마 인구수는 94만8천714명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말산업 육성 정책을 통해 농어촌형 승마 시설 설치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농어촌형 승마 시설 수는 전년보다 18.9%(27개소) 증가했다. 전체 승마 시설 수는 6.9%(33개소) 늘어난 512개소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추진한 제1차 말산업육성 종합계획에 따른 목표 500개소를 달성했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말산업 사업체 수는 8.4%(192개소) 증가한 2천470개소이며, 이중 말 보유 사업체 수는 9.5%(186개소) 늘어난 2천146개소로 조사됐다. 말 사육두수는 전년보다 94두 증가한 2만7천210두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산업연관분석을 한 결과, 말산업 경제적 효과는 2016년 말 기준으로 3조4천221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2015년 말보다 101억원(0.3%) 증가한 수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말산업 성장의 주요 지표인 승마 시설 수, 말 사업체 수, 말 두수, 승마 인구 등이 2013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말 관련 분야의 산업화가 진전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7년부터 '제2차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말산업 성장세…승마 인구 95만 명 육박
-
- 입력 2018-03-06 11:49:42
- 수정2018-03-06 12:46:17

말산업 육성 정책 등으로 승마 인구와 승마 시설이 계속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17 말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정기 승마 인구수는 4만9천312명으로 2016년보다 3.9%(1천841명) 증가했다.
체험 승마 인구를 포함한 전체 승마 인구수는 94만8천714명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말산업 육성 정책을 통해 농어촌형 승마 시설 설치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농어촌형 승마 시설 수는 전년보다 18.9%(27개소) 증가했다. 전체 승마 시설 수는 6.9%(33개소) 늘어난 512개소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추진한 제1차 말산업육성 종합계획에 따른 목표 500개소를 달성했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말산업 사업체 수는 8.4%(192개소) 증가한 2천470개소이며, 이중 말 보유 사업체 수는 9.5%(186개소) 늘어난 2천146개소로 조사됐다. 말 사육두수는 전년보다 94두 증가한 2만7천210두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산업연관분석을 한 결과, 말산업 경제적 효과는 2016년 말 기준으로 3조4천221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2015년 말보다 101억원(0.3%) 증가한 수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말산업 성장의 주요 지표인 승마 시설 수, 말 사업체 수, 말 두수, 승마 인구 등이 2013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말 관련 분야의 산업화가 진전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7년부터 '제2차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6일 농림축산식품부의 '2017 말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정기 승마 인구수는 4만9천312명으로 2016년보다 3.9%(1천841명) 증가했다.
체험 승마 인구를 포함한 전체 승마 인구수는 94만8천714명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말산업 육성 정책을 통해 농어촌형 승마 시설 설치 등을 지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농어촌형 승마 시설 수는 전년보다 18.9%(27개소) 증가했다. 전체 승마 시설 수는 6.9%(33개소) 늘어난 512개소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추진한 제1차 말산업육성 종합계획에 따른 목표 500개소를 달성했다고 농식품부는 전했다.
말산업 사업체 수는 8.4%(192개소) 증가한 2천470개소이며, 이중 말 보유 사업체 수는 9.5%(186개소) 늘어난 2천146개소로 조사됐다. 말 사육두수는 전년보다 94두 증가한 2만7천210두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산업연관분석을 한 결과, 말산업 경제적 효과는 2016년 말 기준으로 3조4천221억원으로 추산된다고 농식품부는 밝혔다. 2015년 말보다 101억원(0.3%) 증가한 수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말산업 성장의 주요 지표인 승마 시설 수, 말 사업체 수, 말 두수, 승마 인구 등이 2013년 이후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말 관련 분야의 산업화가 진전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7년부터 '제2차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변기성 기자 byun@kbs.co.kr
변기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