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경비함 여경 침실에 이중잠금…‘성폭력 예방’
입력 2018.03.06 (15:04)
수정 2018.03.06 (15: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경찰청은 여경이 근무하는 경비함정에 이중잠금장치를 설치하는 등 직장 내 성폭력 예방을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해경은 경비함정 내 여경 생활공간인 침실 출입문에 이중잠금장치와 도어 렌즈를 달고, 출입문 밖 주변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여경을 비롯한 여성 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조만간 실태 조사를 벌여 숨겨진 성폭력 피해 사례를 확인하고, 온라인으로도 피해 신고나 고충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사이버 상담창구도 운영할 계획이다.
해경 내에서 여경 비율은 최근 10년 사이 크게 늘었다. 2000년대에는 해경에서 여경 비율이 전체의 2%에 불과했지만, 올해 현재 전체 해양경찰관 8천426명 중 7.7%(653명)가 여경이다.
경무·기획 분야에 국한됐던 여경 업무도 함정·해상안전·파출소 등 전 분야로 확대됐다. 최근에는 여성 최초의 경비함 함장과 항공정비사도 탄생했다.
해경은 또 성폭력 피해 신고 후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피해자 보호 조치도 강화한다. 피해 신고가 접수되면 근무지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를 즉시 분리하고 비밀 보장을 위해 대리인이 사건 조사에 피해자 대신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부서 상급자 등이 성폭력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하거나 피해자에게 부당한 인사발령을 내린 경우 해당 기관장까지 엄중히 문책할 방침이다.
해경은 경비함정 내 여경 생활공간인 침실 출입문에 이중잠금장치와 도어 렌즈를 달고, 출입문 밖 주변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여경을 비롯한 여성 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조만간 실태 조사를 벌여 숨겨진 성폭력 피해 사례를 확인하고, 온라인으로도 피해 신고나 고충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사이버 상담창구도 운영할 계획이다.
해경 내에서 여경 비율은 최근 10년 사이 크게 늘었다. 2000년대에는 해경에서 여경 비율이 전체의 2%에 불과했지만, 올해 현재 전체 해양경찰관 8천426명 중 7.7%(653명)가 여경이다.
경무·기획 분야에 국한됐던 여경 업무도 함정·해상안전·파출소 등 전 분야로 확대됐다. 최근에는 여성 최초의 경비함 함장과 항공정비사도 탄생했다.
해경은 또 성폭력 피해 신고 후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피해자 보호 조치도 강화한다. 피해 신고가 접수되면 근무지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를 즉시 분리하고 비밀 보장을 위해 대리인이 사건 조사에 피해자 대신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부서 상급자 등이 성폭력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하거나 피해자에게 부당한 인사발령을 내린 경우 해당 기관장까지 엄중히 문책할 방침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해경, 경비함 여경 침실에 이중잠금…‘성폭력 예방’
-
- 입력 2018-03-06 15:04:32
- 수정2018-03-06 15:17:30

해양경찰청은 여경이 근무하는 경비함정에 이중잠금장치를 설치하는 등 직장 내 성폭력 예방을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6일 밝혔다.
해경은 경비함정 내 여경 생활공간인 침실 출입문에 이중잠금장치와 도어 렌즈를 달고, 출입문 밖 주변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여경을 비롯한 여성 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조만간 실태 조사를 벌여 숨겨진 성폭력 피해 사례를 확인하고, 온라인으로도 피해 신고나 고충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사이버 상담창구도 운영할 계획이다.
해경 내에서 여경 비율은 최근 10년 사이 크게 늘었다. 2000년대에는 해경에서 여경 비율이 전체의 2%에 불과했지만, 올해 현재 전체 해양경찰관 8천426명 중 7.7%(653명)가 여경이다.
경무·기획 분야에 국한됐던 여경 업무도 함정·해상안전·파출소 등 전 분야로 확대됐다. 최근에는 여성 최초의 경비함 함장과 항공정비사도 탄생했다.
해경은 또 성폭력 피해 신고 후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피해자 보호 조치도 강화한다. 피해 신고가 접수되면 근무지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를 즉시 분리하고 비밀 보장을 위해 대리인이 사건 조사에 피해자 대신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부서 상급자 등이 성폭력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하거나 피해자에게 부당한 인사발령을 내린 경우 해당 기관장까지 엄중히 문책할 방침이다.
해경은 경비함정 내 여경 생활공간인 침실 출입문에 이중잠금장치와 도어 렌즈를 달고, 출입문 밖 주변에 폐쇄회로(CC)TV를 설치할 예정이다. 또 여경을 비롯한 여성 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조만간 실태 조사를 벌여 숨겨진 성폭력 피해 사례를 확인하고, 온라인으로도 피해 신고나 고충 상담을 할 수 있도록 사이버 상담창구도 운영할 계획이다.
해경 내에서 여경 비율은 최근 10년 사이 크게 늘었다. 2000년대에는 해경에서 여경 비율이 전체의 2%에 불과했지만, 올해 현재 전체 해양경찰관 8천426명 중 7.7%(653명)가 여경이다.
경무·기획 분야에 국한됐던 여경 업무도 함정·해상안전·파출소 등 전 분야로 확대됐다. 최근에는 여성 최초의 경비함 함장과 항공정비사도 탄생했다.
해경은 또 성폭력 피해 신고 후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피해자 보호 조치도 강화한다. 피해 신고가 접수되면 근무지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를 즉시 분리하고 비밀 보장을 위해 대리인이 사건 조사에 피해자 대신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부서 상급자 등이 성폭력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하거나 피해자에게 부당한 인사발령을 내린 경우 해당 기관장까지 엄중히 문책할 방침이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나도 당했다”…‘미투’ 파문 확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