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하려고 경쟁업체에 기술 유출…“200억 대 피해”

입력 2018.03.13 (06:45) 수정 2018.03.13 (07: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건강 검진용 진단 기기를 만들어 파는 한 중견 기업이 백억 원을 들여 개발한 제조 기술을 유출당했습니다.

경찰 수사 결과, 기술 유출 당사자는 최근 이직한 전 간부 직원이었습니다.

김영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암이나 당뇨 등의 질병을 진단하는 의료기기를 생산해 수출하는 한 중견 기업.

이 회사는 최근, 백 억 원을 들여 개발한 제조 기술이 외부로 빼돌려진 정황을 확인해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유출된 기술로 복제 제품이 나오면 피해가 2백억 원 이상일 거란 주장입니다.

[피해 기업 관계자/음성변조 : "기술 유출 사안이니까요. 지금 수사 중이라서 저희가 뭐라고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

경찰이 수사했더니, 최근 이 회사를 퇴직해 동종 업계로 이직한 前 간부 직원 문 모 씨가 기술을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경찰이 경쟁 관계에 있는 또 다른 진단기기 제조업체를 압수수색한 결과, 유출된 기술 자료가 나왔습니다.

해당 업체는 문 씨가 재취업한 회사가 투자도 하고 거래도 하고 있는 곳입니다.

[재취업 △△회사 관계자/음성변조 : "(문OO 씨는)잠깐 여기 일을 도와주셨던 건데요. 자문 정도 하신 거예요."]

문 씨는 기술을 빼돌린 것은 인정했지만, 해당 기업체에 넘기진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경찰은 문 씨가 고액 연봉을 받고 이직하기 위해 빼낸 기술을 이미 넘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찰은 문 씨를 영업 비밀 보호법 위반과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형사 입건했습니다.

경찰은 조만간 기술이 넘어간 것으로 보이는 업체 대표도 소환 조사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직 하려고 경쟁업체에 기술 유출…“200억 대 피해”
    • 입력 2018-03-13 06:49:19
    • 수정2018-03-13 07:24:51
    뉴스광장 1부
[앵커]

건강 검진용 진단 기기를 만들어 파는 한 중견 기업이 백억 원을 들여 개발한 제조 기술을 유출당했습니다.

경찰 수사 결과, 기술 유출 당사자는 최근 이직한 전 간부 직원이었습니다.

김영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암이나 당뇨 등의 질병을 진단하는 의료기기를 생산해 수출하는 한 중견 기업.

이 회사는 최근, 백 억 원을 들여 개발한 제조 기술이 외부로 빼돌려진 정황을 확인해 경찰에 신고했습니다.

유출된 기술로 복제 제품이 나오면 피해가 2백억 원 이상일 거란 주장입니다.

[피해 기업 관계자/음성변조 : "기술 유출 사안이니까요. 지금 수사 중이라서 저희가 뭐라고 말씀드릴 수가 없습니다."]

경찰이 수사했더니, 최근 이 회사를 퇴직해 동종 업계로 이직한 前 간부 직원 문 모 씨가 기술을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경찰이 경쟁 관계에 있는 또 다른 진단기기 제조업체를 압수수색한 결과, 유출된 기술 자료가 나왔습니다.

해당 업체는 문 씨가 재취업한 회사가 투자도 하고 거래도 하고 있는 곳입니다.

[재취업 △△회사 관계자/음성변조 : "(문OO 씨는)잠깐 여기 일을 도와주셨던 건데요. 자문 정도 하신 거예요."]

문 씨는 기술을 빼돌린 것은 인정했지만, 해당 기업체에 넘기진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경찰은 문 씨가 고액 연봉을 받고 이직하기 위해 빼낸 기술을 이미 넘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경찰은 문 씨를 영업 비밀 보호법 위반과 업무상 배임 등의 혐의로 형사 입건했습니다.

경찰은 조만간 기술이 넘어간 것으로 보이는 업체 대표도 소환 조사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