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인권보고관 “미얀마, 남은 로힝야족 몰아내려 ‘굶기기 작전’”

입력 2018.03.13 (14:21) 수정 2018.03.13 (14: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종청소' 의혹을 받아온 미얀마가 남은 로힝야족을 몰아내려 '굶기기 작전'을 진행 중인 것 같다고 이양희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이 폭로했다.

13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 보고관은 전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UNHRC) 회의에서 "미얀마는 서부 라카인주에서 '강제적 굶주림' 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미얀마 정부에 의해 입국이 금지된 이 보고관은 또 "이슬람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을 상대로 한 잔혹 행위에는 제노사이드(집단학살)를 입증할 명백한 증거가 있다"며 "사람을 산채로 태우는 등 무차별적이고 광범위한 학살에 관한 믿을만한 보고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보수적으로 추정하더라도 지난해 8월 유혈사태 발생 후 한 달간 최소 730여 명의 5세 미만 아동을 비롯해 6천700명의 로힝야족이 학살됐다"며 "70만 명이 넘는 로힝야족이 피신해 머무는 방글라데시에 조사기구를 설치하고, 국제 소송에 대비해 증거를 수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로힝야 사태를 방관했다는 비판을 받아온 실권자 아웅산 수치를 향해서는 "미얀마 정부 지도부가 이런 잔혹 행위를 중단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은 만큼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UNHRC가 로힝야족 인종청소 의혹의 실상을 규명하기 위해 지명한 국제조사단장인 마르주키 다루스만은 "우리 조사팀이 입수한 정보는 로힝야족을 상대로 한 잔혹 행위가 극악무도하다는 것을 입증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조사단이 만난 (로힝야족) 여성들의 몸에는 (군인들로부터) 성폭행을 당할 당시에 생긴 이빨 자국과 상처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미얀마 정부를 대표하는 틴 린은 이런 구체적인 잔혹 행위 지적에 응하지 않았지만, 수치를 겨냥한 비판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그는 "우리 정부 지도부는 그런 범죄행위를 용인하지 않는다. 증거가 있다면 우리는 이에 대해 행동을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반박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엔인권보고관 “미얀마, 남은 로힝야족 몰아내려 ‘굶기기 작전’”
    • 입력 2018-03-13 14:21:30
    • 수정2018-03-13 14:22:46
    국제
'인종청소' 의혹을 받아온 미얀마가 남은 로힝야족을 몰아내려 '굶기기 작전'을 진행 중인 것 같다고 이양희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이 폭로했다.

13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 보고관은 전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UNHRC) 회의에서 "미얀마는 서부 라카인주에서 '강제적 굶주림' 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미얀마 정부에 의해 입국이 금지된 이 보고관은 또 "이슬람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을 상대로 한 잔혹 행위에는 제노사이드(집단학살)를 입증할 명백한 증거가 있다"며 "사람을 산채로 태우는 등 무차별적이고 광범위한 학살에 관한 믿을만한 보고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보수적으로 추정하더라도 지난해 8월 유혈사태 발생 후 한 달간 최소 730여 명의 5세 미만 아동을 비롯해 6천700명의 로힝야족이 학살됐다"며 "70만 명이 넘는 로힝야족이 피신해 머무는 방글라데시에 조사기구를 설치하고, 국제 소송에 대비해 증거를 수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로힝야 사태를 방관했다는 비판을 받아온 실권자 아웅산 수치를 향해서는 "미얀마 정부 지도부가 이런 잔혹 행위를 중단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은 만큼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UNHRC가 로힝야족 인종청소 의혹의 실상을 규명하기 위해 지명한 국제조사단장인 마르주키 다루스만은 "우리 조사팀이 입수한 정보는 로힝야족을 상대로 한 잔혹 행위가 극악무도하다는 것을 입증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조사단이 만난 (로힝야족) 여성들의 몸에는 (군인들로부터) 성폭행을 당할 당시에 생긴 이빨 자국과 상처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미얀마 정부를 대표하는 틴 린은 이런 구체적인 잔혹 행위 지적에 응하지 않았지만, 수치를 겨냥한 비판에는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그는 "우리 정부 지도부는 그런 범죄행위를 용인하지 않는다. 증거가 있다면 우리는 이에 대해 행동을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반박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