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당국자 “한-베트남 성공스토리로 아세안과 협력 추동”
입력 2018.03.16 (15:08)
수정 2018.03.16 (15: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주 베트남을 방문할 예정인 가운데 향후 한-베트남 관계가 한-아세안 협력을 추동하는 모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외교부 당국자가 전망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 등 대(對) 베트남 정책의 방향성을 묻자 "(베트남은) 양자관계 면에서 아세안 중의 가장 주요한 협력 파트너"라며 "우리가 베트남과의 협력을 하나의 모델 케이스로 만들어서, 우리의 신남방(정책)이 지향하는 것들을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 '성공 스토리'를 제시해서 아세안과의 협력을 추동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한국은 작은 나라이지만 베트남과의 교역이나 양자 관계에 있어서 지표들이 엄청나지 않나"라며 "그런 면에서 아세안과의 하나의 모범적 사례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문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방문에 대해서는 "UAE가 걸프 지역에서는 우리와 유일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나라이고, 중동 지역에서 여러 실질관계 면에서 가장 협력이 활발한 나라"라며 "그런 것을 감안해서 방문을 하시게 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 대통령이 UAE를 취임 1년 만에 가시는 것은 첫 번째 사례라고 한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한-UAE간 협력 전망에 대해 "UAE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고 중동국가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고민거리가, 석유자본에 의존해 국가를 운영했던 개발모델이 유가 하락으로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나"라며 "그런 면에서 여러 우리 수주활동도 있지만,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이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외교다변화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추정치인데 한중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관련 우리 GDP 손실 부분이 약 0.4%가 됐다고 한다"며 "중국뿐만 아니라 특정국에 경제 의존도가 심한 경우 국가 운영에 상당한 취약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 제기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변화는) 과거 정부도 했지만 분명한 비전과 이행계획을 갖고 한다는 면에서 새로운 외교적 다변화라는 국가적 외교적 목표의 틀 안에서 말씀드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 등 대(對) 베트남 정책의 방향성을 묻자 "(베트남은) 양자관계 면에서 아세안 중의 가장 주요한 협력 파트너"라며 "우리가 베트남과의 협력을 하나의 모델 케이스로 만들어서, 우리의 신남방(정책)이 지향하는 것들을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 '성공 스토리'를 제시해서 아세안과의 협력을 추동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한국은 작은 나라이지만 베트남과의 교역이나 양자 관계에 있어서 지표들이 엄청나지 않나"라며 "그런 면에서 아세안과의 하나의 모범적 사례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문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방문에 대해서는 "UAE가 걸프 지역에서는 우리와 유일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나라이고, 중동 지역에서 여러 실질관계 면에서 가장 협력이 활발한 나라"라며 "그런 것을 감안해서 방문을 하시게 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 대통령이 UAE를 취임 1년 만에 가시는 것은 첫 번째 사례라고 한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한-UAE간 협력 전망에 대해 "UAE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고 중동국가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고민거리가, 석유자본에 의존해 국가를 운영했던 개발모델이 유가 하락으로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나"라며 "그런 면에서 여러 우리 수주활동도 있지만,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이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외교다변화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추정치인데 한중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관련 우리 GDP 손실 부분이 약 0.4%가 됐다고 한다"며 "중국뿐만 아니라 특정국에 경제 의존도가 심한 경우 국가 운영에 상당한 취약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 제기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변화는) 과거 정부도 했지만 분명한 비전과 이행계획을 갖고 한다는 면에서 새로운 외교적 다변화라는 국가적 외교적 목표의 틀 안에서 말씀드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외교부 당국자 “한-베트남 성공스토리로 아세안과 협력 추동”
-
- 입력 2018-03-16 15:08:54
- 수정2018-03-16 15:11:40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주 베트남을 방문할 예정인 가운데 향후 한-베트남 관계가 한-아세안 협력을 추동하는 모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외교부 당국자가 전망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 등 대(對) 베트남 정책의 방향성을 묻자 "(베트남은) 양자관계 면에서 아세안 중의 가장 주요한 협력 파트너"라며 "우리가 베트남과의 협력을 하나의 모델 케이스로 만들어서, 우리의 신남방(정책)이 지향하는 것들을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 '성공 스토리'를 제시해서 아세안과의 협력을 추동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한국은 작은 나라이지만 베트남과의 교역이나 양자 관계에 있어서 지표들이 엄청나지 않나"라며 "그런 면에서 아세안과의 하나의 모범적 사례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문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방문에 대해서는 "UAE가 걸프 지역에서는 우리와 유일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나라이고, 중동 지역에서 여러 실질관계 면에서 가장 협력이 활발한 나라"라며 "그런 것을 감안해서 방문을 하시게 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 대통령이 UAE를 취임 1년 만에 가시는 것은 첫 번째 사례라고 한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한-UAE간 협력 전망에 대해 "UAE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고 중동국가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고민거리가, 석유자본에 의존해 국가를 운영했던 개발모델이 유가 하락으로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나"라며 "그런 면에서 여러 우리 수주활동도 있지만,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이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외교다변화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추정치인데 한중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관련 우리 GDP 손실 부분이 약 0.4%가 됐다고 한다"며 "중국뿐만 아니라 특정국에 경제 의존도가 심한 경우 국가 운영에 상당한 취약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 제기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변화는) 과거 정부도 했지만 분명한 비전과 이행계획을 갖고 한다는 면에서 새로운 외교적 다변화라는 국가적 외교적 목표의 틀 안에서 말씀드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6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의 베트남 방문 등 대(對) 베트남 정책의 방향성을 묻자 "(베트남은) 양자관계 면에서 아세안 중의 가장 주요한 협력 파트너"라며 "우리가 베트남과의 협력을 하나의 모델 케이스로 만들어서, 우리의 신남방(정책)이 지향하는 것들을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 '성공 스토리'를 제시해서 아세안과의 협력을 추동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한국은 작은 나라이지만 베트남과의 교역이나 양자 관계에 있어서 지표들이 엄청나지 않나"라며 "그런 면에서 아세안과의 하나의 모범적 사례로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문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 방문에 대해서는 "UAE가 걸프 지역에서는 우리와 유일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나라이고, 중동 지역에서 여러 실질관계 면에서 가장 협력이 활발한 나라"라며 "그런 것을 감안해서 방문을 하시게 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우리 대통령이 UAE를 취임 1년 만에 가시는 것은 첫 번째 사례라고 한다"고 덧붙였다.
이 당국자는 한-UAE간 협력 전망에 대해 "UAE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고 중동국가가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고민거리가, 석유자본에 의존해 국가를 운영했던 개발모델이 유가 하락으로 상당히 어려움을 겪고 있지 않나"라며 "그런 면에서 여러 우리 수주활동도 있지만, 신산업 분야에서의 협력이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외교다변화 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추정치인데 한중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관련 우리 GDP 손실 부분이 약 0.4%가 됐다고 한다"며 "중국뿐만 아니라 특정국에 경제 의존도가 심한 경우 국가 운영에 상당한 취약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 제기가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변화는) 과거 정부도 했지만 분명한 비전과 이행계획을 갖고 한다는 면에서 새로운 외교적 다변화라는 국가적 외교적 목표의 틀 안에서 말씀드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김기화 기자 kimkoon@kbs.co.kr
김기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