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전쟁 韓 직격탄…“대중수출 20%, 총수출 4.9% 타격”

입력 2018.03.26 (08:42) 수정 2018.03.26 (08: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1, 2위 경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발발하면서 한국의 대중 수출은 수출액 기준으로 20% 정도, 전체 수출액도 5% 정도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 현대경제연구원 조사결과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대로 중국 수입품의 약 10%에 달하는 500억 달러 규모의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해 미국의 대중국 수입이 10% 감소할 경우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은 282억6천만 달러(약 30조4천925억원)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 감소폭은 우리나라의 지난해 기준 대중국 수출액 1천421억2천만 달러의 19.9%, 지난해 기준 총수출액 5천736억9천만 달러의 4.9%에 달하는 규모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품목 중에는 전기장비·IT·유화산업이 상대적으로 피해를 크게 입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중국 수출품목별 수출액 감소액수를 보면 전기장비 수출액이 109억2천만달러 줄어들어 가장 크게 감소했고, IT(-56억 달러), 유화(-35억2천만 달러), 기계(-27억2천만 달러), 경공업(-23억6천만 달러) 순으로 수출액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국 수출품목별 수출감소율을 보면, 기계와 전기장비가 21.8% 줄어 가장 감소폭이 컸고, IT(-21.5%), 기타운송(-21.1%), 금속(-20.3%) 등의 감소폭이 20%를 웃돌았다. 이어 유화(-13.5%)나 경공업(-18.7%), 자동차(-19.7%) 등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세계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미국의 대중국 관세부과 조치와 중국의 대미국 관세 부과조치가 한국의 대중수출과 대미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다.

반면에, 중국의 미국에 대한 관세부과는 우리나라의 대미수출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추산됐다. 중국의 대미국 수입이 30억 달러 상당인 2.3% 줄어든다면 한국의 대미국 수출피해액은 1억 달러 미만으로 추정된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중 무역전쟁 韓 직격탄…“대중수출 20%, 총수출 4.9% 타격”
    • 입력 2018-03-26 08:42:33
    • 수정2018-03-26 08:56:51
    경제
세계 1, 2위 경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발발하면서 한국의 대중 수출은 수출액 기준으로 20% 정도, 전체 수출액도 5% 정도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6일 현대경제연구원 조사결과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대로 중국 수입품의 약 10%에 달하는 500억 달러 규모의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해 미국의 대중국 수입이 10% 감소할 경우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은 282억6천만 달러(약 30조4천925억원)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 감소폭은 우리나라의 지난해 기준 대중국 수출액 1천421억2천만 달러의 19.9%, 지난해 기준 총수출액 5천736억9천만 달러의 4.9%에 달하는 규모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품목 중에는 전기장비·IT·유화산업이 상대적으로 피해를 크게 입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중국 수출품목별 수출액 감소액수를 보면 전기장비 수출액이 109억2천만달러 줄어들어 가장 크게 감소했고, IT(-56억 달러), 유화(-35억2천만 달러), 기계(-27억2천만 달러), 경공업(-23억6천만 달러) 순으로 수출액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국 수출품목별 수출감소율을 보면, 기계와 전기장비가 21.8% 줄어 가장 감소폭이 컸고, IT(-21.5%), 기타운송(-21.1%), 금속(-20.3%) 등의 감소폭이 20%를 웃돌았다. 이어 유화(-13.5%)나 경공업(-18.7%), 자동차(-19.7%) 등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세계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미국의 대중국 관세부과 조치와 중국의 대미국 관세 부과조치가 한국의 대중수출과 대미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다.

반면에, 중국의 미국에 대한 관세부과는 우리나라의 대미수출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추산됐다. 중국의 대미국 수입이 30억 달러 상당인 2.3% 줄어든다면 한국의 대미국 수출피해액은 1억 달러 미만으로 추정된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