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맥박 빠르다면…‘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
입력 2018.03.26 (12:22)
수정 2018.03.26 (12: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평소 자신의 맥박이 1분에 몇 번이나 뛰는지 알고 계십니까?
보통 60에서 100회 사이인데요, 맥박이 빠를수록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스크를 끼고 경사로를 뛰면서 몸에서 산소를 얼마나 소모하는지, 심폐기능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최대 산소 소비량이 많을수록 심폐 기능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으로 다져진 이 남성의 최대 산소 소비량은 15.1, 같은 나이보다 50% 높습니다.
[김광수/서울 강남구 : "보통 한번 뛰면 5~10km 정도 뛰고 주 3회 뛰면 30km 정도..."]
이번에는 평상시 맥박수를 측정해봤습니다.
분당 65회로 성인 평균 72회에 비해 느린 편입니다.
성인 남성 만 천 명을 조사한 결과 맥박이 빠를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맥박수가 60회 미만인 사람에 비해 60~69회는 대사증후군 위험이 1.5배, 90회 이상은 2.6배나 증가했습니다.
대사증후군의 주 원인인 체지방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나와 맥박을 빠르게 하는 겁니다.
그만큼 맥박이 빠르다는 건 심폐기능이 떨어지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박원하/삼성서울병원 스포츠의학실 교수 : "맥박이 빠른 분들은 심장의 수축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또한 근육량도 적습니다. 근육량이 적기 때문에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습니다."]
꾸준히 운동을 하면 맥박수를 15%가량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심폐기능 강화엔 숨이 찰 정도의 유산소 운동이 가장 좋습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평소 자신의 맥박이 1분에 몇 번이나 뛰는지 알고 계십니까?
보통 60에서 100회 사이인데요, 맥박이 빠를수록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스크를 끼고 경사로를 뛰면서 몸에서 산소를 얼마나 소모하는지, 심폐기능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최대 산소 소비량이 많을수록 심폐 기능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으로 다져진 이 남성의 최대 산소 소비량은 15.1, 같은 나이보다 50% 높습니다.
[김광수/서울 강남구 : "보통 한번 뛰면 5~10km 정도 뛰고 주 3회 뛰면 30km 정도..."]
이번에는 평상시 맥박수를 측정해봤습니다.
분당 65회로 성인 평균 72회에 비해 느린 편입니다.
성인 남성 만 천 명을 조사한 결과 맥박이 빠를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맥박수가 60회 미만인 사람에 비해 60~69회는 대사증후군 위험이 1.5배, 90회 이상은 2.6배나 증가했습니다.
대사증후군의 주 원인인 체지방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나와 맥박을 빠르게 하는 겁니다.
그만큼 맥박이 빠르다는 건 심폐기능이 떨어지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박원하/삼성서울병원 스포츠의학실 교수 : "맥박이 빠른 분들은 심장의 수축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또한 근육량도 적습니다. 근육량이 적기 때문에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습니다."]
꾸준히 운동을 하면 맥박수를 15%가량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심폐기능 강화엔 숨이 찰 정도의 유산소 운동이 가장 좋습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평소 맥박 빠르다면…‘대사증후군’ 발생 위험 ↑
-
- 입력 2018-03-26 12:24:16
- 수정2018-03-26 12:27:27

[앵커]
평소 자신의 맥박이 1분에 몇 번이나 뛰는지 알고 계십니까?
보통 60에서 100회 사이인데요, 맥박이 빠를수록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스크를 끼고 경사로를 뛰면서 몸에서 산소를 얼마나 소모하는지, 심폐기능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최대 산소 소비량이 많을수록 심폐 기능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으로 다져진 이 남성의 최대 산소 소비량은 15.1, 같은 나이보다 50% 높습니다.
[김광수/서울 강남구 : "보통 한번 뛰면 5~10km 정도 뛰고 주 3회 뛰면 30km 정도..."]
이번에는 평상시 맥박수를 측정해봤습니다.
분당 65회로 성인 평균 72회에 비해 느린 편입니다.
성인 남성 만 천 명을 조사한 결과 맥박이 빠를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맥박수가 60회 미만인 사람에 비해 60~69회는 대사증후군 위험이 1.5배, 90회 이상은 2.6배나 증가했습니다.
대사증후군의 주 원인인 체지방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나와 맥박을 빠르게 하는 겁니다.
그만큼 맥박이 빠르다는 건 심폐기능이 떨어지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박원하/삼성서울병원 스포츠의학실 교수 : "맥박이 빠른 분들은 심장의 수축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또한 근육량도 적습니다. 근육량이 적기 때문에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습니다."]
꾸준히 운동을 하면 맥박수를 15%가량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심폐기능 강화엔 숨이 찰 정도의 유산소 운동이 가장 좋습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평소 자신의 맥박이 1분에 몇 번이나 뛰는지 알고 계십니까?
보통 60에서 100회 사이인데요, 맥박이 빠를수록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마스크를 끼고 경사로를 뛰면서 몸에서 산소를 얼마나 소모하는지, 심폐기능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최대 산소 소비량이 많을수록 심폐 기능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운동으로 다져진 이 남성의 최대 산소 소비량은 15.1, 같은 나이보다 50% 높습니다.
[김광수/서울 강남구 : "보통 한번 뛰면 5~10km 정도 뛰고 주 3회 뛰면 30km 정도..."]
이번에는 평상시 맥박수를 측정해봤습니다.
분당 65회로 성인 평균 72회에 비해 느린 편입니다.
성인 남성 만 천 명을 조사한 결과 맥박이 빠를수록 대사증후군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맥박수가 60회 미만인 사람에 비해 60~69회는 대사증후군 위험이 1.5배, 90회 이상은 2.6배나 증가했습니다.
대사증후군의 주 원인인 체지방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나와 맥박을 빠르게 하는 겁니다.
그만큼 맥박이 빠르다는 건 심폐기능이 떨어지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박원하/삼성서울병원 스포츠의학실 교수 : "맥박이 빠른 분들은 심장의 수축력이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또한 근육량도 적습니다. 근육량이 적기 때문에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습니다."]
꾸준히 운동을 하면 맥박수를 15%가량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심폐기능 강화엔 숨이 찰 정도의 유산소 운동이 가장 좋습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
이충헌 기자 chleemd@kbs.co.kr
이충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