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공공비축미 시중에 푼다…“쌀 수급 안정”
입력 2018.03.26 (16:24)
수정 2018.03.26 (16: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쌀 수급 안정을 위해 공공비축미 일부를 시중에 풀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일(27일)부터 지난해 수확기에 매입해 보관 중인 2017년산 공공비축 산물벼(건조되지 않은 수확상태 그대로 매입한 벼) 8만 4천 톤을 대상으로 '인수도(인수∙인도)'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물벼 인수도란 농가 편의를 위해 매년 공공비축미 매입량 가운데 일정 물량을 미곡종합처리장(RPC) 등을 통해 산물벼로 매입한 뒤, 그중 일부를 희망하는 RPC에 다시 판매하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쌀값 폭락 이후 공급량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정부가 시장격리 물량을 늘린 데다 벼 작황도 감소하면서 공급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쌀 수요가 감소세긴 하지만 공급량이 비교적 크게 줄면서 시중 유통량이 수요에 못 미친다는 의견이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RPC는 수확한 벼를 쌀로 가공해 도매업체 등에 공급하는 일종의 도정공장이므로, 공공비축미를 RPC에 판매하면 공급 부족 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해 쌀값 안정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판단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27∼30일 공공비축 산물벼를 보관 중인 전국 265개 RPC 등을 대상으로 매입 의향 조사를 한다.
인수를 희망하는 사업자는 기한 내에 해당 시·군에 의향 조사서를 통보하면 된다. 산물벼 인도 가격은 1등급 벼 40kg 기준 5만 4천962원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일(27일)부터 지난해 수확기에 매입해 보관 중인 2017년산 공공비축 산물벼(건조되지 않은 수확상태 그대로 매입한 벼) 8만 4천 톤을 대상으로 '인수도(인수∙인도)'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물벼 인수도란 농가 편의를 위해 매년 공공비축미 매입량 가운데 일정 물량을 미곡종합처리장(RPC) 등을 통해 산물벼로 매입한 뒤, 그중 일부를 희망하는 RPC에 다시 판매하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쌀값 폭락 이후 공급량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정부가 시장격리 물량을 늘린 데다 벼 작황도 감소하면서 공급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쌀 수요가 감소세긴 하지만 공급량이 비교적 크게 줄면서 시중 유통량이 수요에 못 미친다는 의견이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RPC는 수확한 벼를 쌀로 가공해 도매업체 등에 공급하는 일종의 도정공장이므로, 공공비축미를 RPC에 판매하면 공급 부족 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해 쌀값 안정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판단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27∼30일 공공비축 산물벼를 보관 중인 전국 265개 RPC 등을 대상으로 매입 의향 조사를 한다.
인수를 희망하는 사업자는 기한 내에 해당 시·군에 의향 조사서를 통보하면 된다. 산물벼 인도 가격은 1등급 벼 40kg 기준 5만 4천962원이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농식품부, 공공비축미 시중에 푼다…“쌀 수급 안정”
-
- 입력 2018-03-26 16:24:44
- 수정2018-03-26 16:25:38

정부가 쌀 수급 안정을 위해 공공비축미 일부를 시중에 풀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일(27일)부터 지난해 수확기에 매입해 보관 중인 2017년산 공공비축 산물벼(건조되지 않은 수확상태 그대로 매입한 벼) 8만 4천 톤을 대상으로 '인수도(인수∙인도)'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물벼 인수도란 농가 편의를 위해 매년 공공비축미 매입량 가운데 일정 물량을 미곡종합처리장(RPC) 등을 통해 산물벼로 매입한 뒤, 그중 일부를 희망하는 RPC에 다시 판매하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쌀값 폭락 이후 공급량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정부가 시장격리 물량을 늘린 데다 벼 작황도 감소하면서 공급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쌀 수요가 감소세긴 하지만 공급량이 비교적 크게 줄면서 시중 유통량이 수요에 못 미친다는 의견이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RPC는 수확한 벼를 쌀로 가공해 도매업체 등에 공급하는 일종의 도정공장이므로, 공공비축미를 RPC에 판매하면 공급 부족 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해 쌀값 안정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판단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27∼30일 공공비축 산물벼를 보관 중인 전국 265개 RPC 등을 대상으로 매입 의향 조사를 한다.
인수를 희망하는 사업자는 기한 내에 해당 시·군에 의향 조사서를 통보하면 된다. 산물벼 인도 가격은 1등급 벼 40kg 기준 5만 4천962원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일(27일)부터 지난해 수확기에 매입해 보관 중인 2017년산 공공비축 산물벼(건조되지 않은 수확상태 그대로 매입한 벼) 8만 4천 톤을 대상으로 '인수도(인수∙인도)'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산물벼 인수도란 농가 편의를 위해 매년 공공비축미 매입량 가운데 일정 물량을 미곡종합처리장(RPC) 등을 통해 산물벼로 매입한 뒤, 그중 일부를 희망하는 RPC에 다시 판매하는 것이다.
농식품부는 쌀값 폭락 이후 공급량을 줄이기 위해 지난해 정부가 시장격리 물량을 늘린 데다 벼 작황도 감소하면서 공급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쌀 수요가 감소세긴 하지만 공급량이 비교적 크게 줄면서 시중 유통량이 수요에 못 미친다는 의견이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RPC는 수확한 벼를 쌀로 가공해 도매업체 등에 공급하는 일종의 도정공장이므로, 공공비축미를 RPC에 판매하면 공급 부족 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해 쌀값 안정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판단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27∼30일 공공비축 산물벼를 보관 중인 전국 265개 RPC 등을 대상으로 매입 의향 조사를 한다.
인수를 희망하는 사업자는 기한 내에 해당 시·군에 의향 조사서를 통보하면 된다. 산물벼 인도 가격은 1등급 벼 40kg 기준 5만 4천962원이다.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