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무법자 ‘쏙’의 습격…남해안까지 바지락 초토화
입력 2018.03.26 (21:32)
수정 2018.03.27 (09: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봄 수확철을 맞은 전국의 바지락 양식장 곳곳이 가재류의 일종인 쏙의 습격으로 신음하고 있습니다.
쏙은 엄청난 개체수로 바지락 서식지를 파괴해 어민들 생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현장을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해의 대표적인 바지락 양식장입니다.
바지락을 열자 하나같이 속이 비었습니다.
갯벌엔 빈 껍데기만 가득합니다.
["다 폐사했습니다. 지금 다 껍데기입니다."]
갯벌에 뚫린 수상한 구멍들.
가재의 일종인 쏙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깊이 2미터의 구멍을 파는 습성으로 바지락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임석균/충남 보령시 주교면 어촌계장 : "모랫바닥을 연탄구멍처럼 파 놓아서 바지락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다 부수는 역할을 하는 거예요."]
엄청난 번식력으로 양식장은 그야말로 쏙밭이 됐습니다.
어민들은 망연자실입니다.
[임순연/바지락 양식 어민 : "조개 많이 잡았지. 쏙 때문에 못 잡게 돼서 지금 다 이렇게 놀아요. 노인네들 다."]
인근 수산시장에서 조차 국내산 바지락을 찾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수산시장 상인/음성변조 : "아무래도 중국산을 써야 하고 문제가 있죠. 단가도 올라가니까요."]
바지락 피해는 이 곳 충남 뿐 아니라 서해안과 남해안 갯벌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어촌 체험장도 바지락 폐사율이 30%를 넘어 비상입니다.
[장한성/어촌 체험장 사무장 : "(체험객들이) 돈을 줬으면 좀 캐 가지고 가야 하는데 적게 캐면 욕 얻어먹을 거 아니에요. 욕도 하고 손님들이."]
쏙의 습격은 대규모 간척사업의 영향이 큽니다.
[송재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해류 흐름이 약화되고 제방 앞으로 갯벌이 쌓이고 그러다 보니 쏙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변했습니다."]
정부가 실태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어민들은 3년간 피해액이 70억 원에 달한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봄 수확철을 맞은 전국의 바지락 양식장 곳곳이 가재류의 일종인 쏙의 습격으로 신음하고 있습니다.
쏙은 엄청난 개체수로 바지락 서식지를 파괴해 어민들 생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현장을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해의 대표적인 바지락 양식장입니다.
바지락을 열자 하나같이 속이 비었습니다.
갯벌엔 빈 껍데기만 가득합니다.
["다 폐사했습니다. 지금 다 껍데기입니다."]
갯벌에 뚫린 수상한 구멍들.
가재의 일종인 쏙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깊이 2미터의 구멍을 파는 습성으로 바지락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임석균/충남 보령시 주교면 어촌계장 : "모랫바닥을 연탄구멍처럼 파 놓아서 바지락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다 부수는 역할을 하는 거예요."]
엄청난 번식력으로 양식장은 그야말로 쏙밭이 됐습니다.
어민들은 망연자실입니다.
[임순연/바지락 양식 어민 : "조개 많이 잡았지. 쏙 때문에 못 잡게 돼서 지금 다 이렇게 놀아요. 노인네들 다."]
인근 수산시장에서 조차 국내산 바지락을 찾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수산시장 상인/음성변조 : "아무래도 중국산을 써야 하고 문제가 있죠. 단가도 올라가니까요."]
바지락 피해는 이 곳 충남 뿐 아니라 서해안과 남해안 갯벌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어촌 체험장도 바지락 폐사율이 30%를 넘어 비상입니다.
[장한성/어촌 체험장 사무장 : "(체험객들이) 돈을 줬으면 좀 캐 가지고 가야 하는데 적게 캐면 욕 얻어먹을 거 아니에요. 욕도 하고 손님들이."]
쏙의 습격은 대규모 간척사업의 영향이 큽니다.
[송재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해류 흐름이 약화되고 제방 앞으로 갯벌이 쌓이고 그러다 보니 쏙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변했습니다."]
정부가 실태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어민들은 3년간 피해액이 70억 원에 달한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갯벌 무법자 ‘쏙’의 습격…남해안까지 바지락 초토화
-
- 입력 2018-03-26 21:34:16
- 수정2018-03-27 09:39:44

[앵커]
봄 수확철을 맞은 전국의 바지락 양식장 곳곳이 가재류의 일종인 쏙의 습격으로 신음하고 있습니다.
쏙은 엄청난 개체수로 바지락 서식지를 파괴해 어민들 생계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현장을 이윤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서해의 대표적인 바지락 양식장입니다.
바지락을 열자 하나같이 속이 비었습니다.
갯벌엔 빈 껍데기만 가득합니다.
["다 폐사했습니다. 지금 다 껍데기입니다."]
갯벌에 뚫린 수상한 구멍들.
가재의 일종인 쏙이 모습을 드러냅니다.
깊이 2미터의 구멍을 파는 습성으로 바지락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습니다.
[임석균/충남 보령시 주교면 어촌계장 : "모랫바닥을 연탄구멍처럼 파 놓아서 바지락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다 부수는 역할을 하는 거예요."]
엄청난 번식력으로 양식장은 그야말로 쏙밭이 됐습니다.
어민들은 망연자실입니다.
[임순연/바지락 양식 어민 : "조개 많이 잡았지. 쏙 때문에 못 잡게 돼서 지금 다 이렇게 놀아요. 노인네들 다."]
인근 수산시장에서 조차 국내산 바지락을 찾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수산시장 상인/음성변조 : "아무래도 중국산을 써야 하고 문제가 있죠. 단가도 올라가니까요."]
바지락 피해는 이 곳 충남 뿐 아니라 서해안과 남해안 갯벌 곳곳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 어촌 체험장도 바지락 폐사율이 30%를 넘어 비상입니다.
[장한성/어촌 체험장 사무장 : "(체험객들이) 돈을 줬으면 좀 캐 가지고 가야 하는데 적게 캐면 욕 얻어먹을 거 아니에요. 욕도 하고 손님들이."]
쏙의 습격은 대규모 간척사업의 영향이 큽니다.
[송재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해류 흐름이 약화되고 제방 앞으로 갯벌이 쌓이고 그러다 보니 쏙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변했습니다."]
정부가 실태조사에 착수한 가운데 어민들은 3년간 피해액이 70억 원에 달한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윤희입니다.
-
-
이윤희 기자 heeya@kbs.co.kr
이윤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