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장 수출은 늘었지만 경쟁력은 감소”
입력 2018.04.04 (11:13)
수정 2018.04.04 (11: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미국, 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이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017년 우리 수출의 호조요인 분석-빅4 시장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지난해 우리 수출은 중국·미국·유럽연합(EU)·일본 등 4대 시장에서 모두 증가했지만, 수출 경쟁력은 대부분 감소하거나 제자리를 맴돌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수출 증가를 경쟁력, 상품구성, 수요 등 3가지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중국·미국 수출 증가는 두 나라의 수요 확대로 인한 것이며 제품 경쟁력은 오히려 수출 감소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봤다.
중국 시장에서 우리나라 수출은 11.7% 증가했지만, 제품 경쟁력은 오히려 수출이 4.0%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미국 시장에서도 수출은 1.8% 늘었지만, 경쟁력 요인만 보면 1.6% 감소했다. 그러나 미국과 독일은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 요인에 따른 수출 증가율이 각각 4.4%로 나타났고 일본도 1.7%에 달했다. 미국 시장에서도 우리나라만 경쟁력이 감소요인으로 작용했고 인도(5.0%)와 중국(3.9%)의 경쟁력은 향상됐다.
보고서는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 신흥국뿐 아니라 일본·독일 등 선진국의 경쟁력도 개선된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수출 경쟁력 감소는 글로벌 트렌드라기보다 우리 고유의 문제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품목별로는 해외생산 확대와 경쟁 심화 등으로 디스플레이와 휴대폰의 수출 경쟁력 하락이 두드러졌다. 자동차는 EU를 제외하고 중국, 미국, 일본에서 부진했다. 유기화학품과 의료용품을 중심으로 화학공업제품의 경쟁력이 크게 개선됐고, 한·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철폐 등으로 자동차의 수입시장 점유율이 소폭 상승했다.
일본 시장의 경우 농수산물·반도체 등의 경쟁력이 개선됐지만, 휴대폰·자동차 등은 하락하는 등 전체 수출 경쟁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017년 우리 수출의 호조요인 분석-빅4 시장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지난해 우리 수출은 중국·미국·유럽연합(EU)·일본 등 4대 시장에서 모두 증가했지만, 수출 경쟁력은 대부분 감소하거나 제자리를 맴돌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수출 증가를 경쟁력, 상품구성, 수요 등 3가지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중국·미국 수출 증가는 두 나라의 수요 확대로 인한 것이며 제품 경쟁력은 오히려 수출 감소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봤다.
중국 시장에서 우리나라 수출은 11.7% 증가했지만, 제품 경쟁력은 오히려 수출이 4.0%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미국 시장에서도 수출은 1.8% 늘었지만, 경쟁력 요인만 보면 1.6% 감소했다. 그러나 미국과 독일은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 요인에 따른 수출 증가율이 각각 4.4%로 나타났고 일본도 1.7%에 달했다. 미국 시장에서도 우리나라만 경쟁력이 감소요인으로 작용했고 인도(5.0%)와 중국(3.9%)의 경쟁력은 향상됐다.
보고서는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 신흥국뿐 아니라 일본·독일 등 선진국의 경쟁력도 개선된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수출 경쟁력 감소는 글로벌 트렌드라기보다 우리 고유의 문제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품목별로는 해외생산 확대와 경쟁 심화 등으로 디스플레이와 휴대폰의 수출 경쟁력 하락이 두드러졌다. 자동차는 EU를 제외하고 중국, 미국, 일본에서 부진했다. 유기화학품과 의료용품을 중심으로 화학공업제품의 경쟁력이 크게 개선됐고, 한·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철폐 등으로 자동차의 수입시장 점유율이 소폭 상승했다.
일본 시장의 경우 농수산물·반도체 등의 경쟁력이 개선됐지만, 휴대폰·자동차 등은 하락하는 등 전체 수출 경쟁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대 시장 수출은 늘었지만 경쟁력은 감소”
-
- 입력 2018-04-04 11:13:15
- 수정2018-04-04 11:14:21

중국, 미국, 일본 등 주요 시장에서 우리나라 수출 경쟁력이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017년 우리 수출의 호조요인 분석-빅4 시장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지난해 우리 수출은 중국·미국·유럽연합(EU)·일본 등 4대 시장에서 모두 증가했지만, 수출 경쟁력은 대부분 감소하거나 제자리를 맴돌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수출 증가를 경쟁력, 상품구성, 수요 등 3가지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중국·미국 수출 증가는 두 나라의 수요 확대로 인한 것이며 제품 경쟁력은 오히려 수출 감소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봤다.
중국 시장에서 우리나라 수출은 11.7% 증가했지만, 제품 경쟁력은 오히려 수출이 4.0%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미국 시장에서도 수출은 1.8% 늘었지만, 경쟁력 요인만 보면 1.6% 감소했다. 그러나 미국과 독일은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 요인에 따른 수출 증가율이 각각 4.4%로 나타났고 일본도 1.7%에 달했다. 미국 시장에서도 우리나라만 경쟁력이 감소요인으로 작용했고 인도(5.0%)와 중국(3.9%)의 경쟁력은 향상됐다.
보고서는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 신흥국뿐 아니라 일본·독일 등 선진국의 경쟁력도 개선된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수출 경쟁력 감소는 글로벌 트렌드라기보다 우리 고유의 문제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품목별로는 해외생산 확대와 경쟁 심화 등으로 디스플레이와 휴대폰의 수출 경쟁력 하락이 두드러졌다. 자동차는 EU를 제외하고 중국, 미국, 일본에서 부진했다. 유기화학품과 의료용품을 중심으로 화학공업제품의 경쟁력이 크게 개선됐고, 한·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철폐 등으로 자동차의 수입시장 점유율이 소폭 상승했다.
일본 시장의 경우 농수산물·반도체 등의 경쟁력이 개선됐지만, 휴대폰·자동차 등은 하락하는 등 전체 수출 경쟁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017년 우리 수출의 호조요인 분석-빅4 시장을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지난해 우리 수출은 중국·미국·유럽연합(EU)·일본 등 4대 시장에서 모두 증가했지만, 수출 경쟁력은 대부분 감소하거나 제자리를 맴돌았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수출 증가를 경쟁력, 상품구성, 수요 등 3가지 요인으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중국·미국 수출 증가는 두 나라의 수요 확대로 인한 것이며 제품 경쟁력은 오히려 수출 감소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봤다.
중국 시장에서 우리나라 수출은 11.7% 증가했지만, 제품 경쟁력은 오히려 수출이 4.0%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미국 시장에서도 수출은 1.8% 늘었지만, 경쟁력 요인만 보면 1.6% 감소했다. 그러나 미국과 독일은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 요인에 따른 수출 증가율이 각각 4.4%로 나타났고 일본도 1.7%에 달했다. 미국 시장에서도 우리나라만 경쟁력이 감소요인으로 작용했고 인도(5.0%)와 중국(3.9%)의 경쟁력은 향상됐다.
보고서는 "중국과 미국 시장에서 신흥국뿐 아니라 일본·독일 등 선진국의 경쟁력도 개선된 점을 고려하면 한국의 수출 경쟁력 감소는 글로벌 트렌드라기보다 우리 고유의 문제에서 비롯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품목별로는 해외생산 확대와 경쟁 심화 등으로 디스플레이와 휴대폰의 수출 경쟁력 하락이 두드러졌다. 자동차는 EU를 제외하고 중국, 미국, 일본에서 부진했다. 유기화학품과 의료용품을 중심으로 화학공업제품의 경쟁력이 크게 개선됐고, 한·EU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관세철폐 등으로 자동차의 수입시장 점유율이 소폭 상승했다.
일본 시장의 경우 농수산물·반도체 등의 경쟁력이 개선됐지만, 휴대폰·자동차 등은 하락하는 등 전체 수출 경쟁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
홍희정 기자 hjhong@kbs.co.kr
홍희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