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인은 본사…부담은 가맹점
입력 2018.04.04 (23:09)
수정 2018.04.05 (07: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요즘 배달 음식 주문할 때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이나 이동 통신사를 통해 각종 할인 혜택을 받는 분들 많은데요.
이 할인된 금액은 누가 부담하고 있을까요?
각종 할인 이벤트가 안 그래도 어려운 가맹점주들을 두 번 울리고 있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젊은 층이 많이 이용하는 배달 애플리케이션!
치킨이나 피자 주문 시 적게는 2천 원에서 많게는 만 3천 원까지 깎아준단 할인 이벤트가 경쟁적으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수의 업체에서 할인된 금액의 상당 부분은 가맹점주의 몫입니다.
대기업을 퇴직한 뒤 치킨 가맹점을 낸 김 모 씨 3천 원이 할인될 때마다 천 원을 부담하고 있습니다.
김 씨가 닭 한 마리를 팔 때 드는 비용은 만 3천9백 원.
2천 원 정도가 겨우 남는데 할인까지 해주면 천원 정도!
임대료 인건비 등을 감안하면 남는 게 없는 셈입니다.
[김OO/치킨 가맹점주/음성변조 : "천 원도 안 남게 되는거죠. '할인을 그만하자'라고 그렇게 가맹점 사장들이 요구해도 본사는 꿈쩍도 안 합니다."]
피자의 통신사 제휴 할인은 정도가 더 심해 할인금액의 100%를 가맹점이 부담하는 구좁니다.
가맹본사는 각종 이벤트 전 가맹점주의 의견을 묻고 있다지만 반대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피자 가맹점주/음성변조 : "본사가 운영하는 (투표) 시스템이니까 여기서 내가 어떤 투표를 하면 그게 드러날까 봐...가맹점 재계약 사항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느냐 안 하느냐 비율을 따진다고 해요."]
이에 대해 가맹 본사들은 찬반투표와 동의를 받아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고 계약상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가맹본사와 가맹점 간의 입장 차이가 큰 상황인데요, 보다 수평적인 관계에서 할인 행사 분담률을 협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연화/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위원장 : "(할인 부담은) 결국 소비자에게 다 전가되는 꼴이 돼서 투명성 있는 기구를 가져서 서로가 조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가맹본사와 가맹점주의 할인 분담 비율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요즘 배달 음식 주문할 때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이나 이동 통신사를 통해 각종 할인 혜택을 받는 분들 많은데요.
이 할인된 금액은 누가 부담하고 있을까요?
각종 할인 이벤트가 안 그래도 어려운 가맹점주들을 두 번 울리고 있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젊은 층이 많이 이용하는 배달 애플리케이션!
치킨이나 피자 주문 시 적게는 2천 원에서 많게는 만 3천 원까지 깎아준단 할인 이벤트가 경쟁적으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수의 업체에서 할인된 금액의 상당 부분은 가맹점주의 몫입니다.
대기업을 퇴직한 뒤 치킨 가맹점을 낸 김 모 씨 3천 원이 할인될 때마다 천 원을 부담하고 있습니다.
김 씨가 닭 한 마리를 팔 때 드는 비용은 만 3천9백 원.
2천 원 정도가 겨우 남는데 할인까지 해주면 천원 정도!
임대료 인건비 등을 감안하면 남는 게 없는 셈입니다.
[김OO/치킨 가맹점주/음성변조 : "천 원도 안 남게 되는거죠. '할인을 그만하자'라고 그렇게 가맹점 사장들이 요구해도 본사는 꿈쩍도 안 합니다."]
피자의 통신사 제휴 할인은 정도가 더 심해 할인금액의 100%를 가맹점이 부담하는 구좁니다.
가맹본사는 각종 이벤트 전 가맹점주의 의견을 묻고 있다지만 반대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피자 가맹점주/음성변조 : "본사가 운영하는 (투표) 시스템이니까 여기서 내가 어떤 투표를 하면 그게 드러날까 봐...가맹점 재계약 사항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느냐 안 하느냐 비율을 따진다고 해요."]
이에 대해 가맹 본사들은 찬반투표와 동의를 받아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고 계약상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가맹본사와 가맹점 간의 입장 차이가 큰 상황인데요, 보다 수평적인 관계에서 할인 행사 분담률을 협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연화/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위원장 : "(할인 부담은) 결국 소비자에게 다 전가되는 꼴이 돼서 투명성 있는 기구를 가져서 서로가 조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가맹본사와 가맹점주의 할인 분담 비율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할인은 본사…부담은 가맹점
-
- 입력 2018-04-04 23:11:43
- 수정2018-04-05 07:10:57

[앵커]
요즘 배달 음식 주문할 때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이나 이동 통신사를 통해 각종 할인 혜택을 받는 분들 많은데요.
이 할인된 금액은 누가 부담하고 있을까요?
각종 할인 이벤트가 안 그래도 어려운 가맹점주들을 두 번 울리고 있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젊은 층이 많이 이용하는 배달 애플리케이션!
치킨이나 피자 주문 시 적게는 2천 원에서 많게는 만 3천 원까지 깎아준단 할인 이벤트가 경쟁적으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수의 업체에서 할인된 금액의 상당 부분은 가맹점주의 몫입니다.
대기업을 퇴직한 뒤 치킨 가맹점을 낸 김 모 씨 3천 원이 할인될 때마다 천 원을 부담하고 있습니다.
김 씨가 닭 한 마리를 팔 때 드는 비용은 만 3천9백 원.
2천 원 정도가 겨우 남는데 할인까지 해주면 천원 정도!
임대료 인건비 등을 감안하면 남는 게 없는 셈입니다.
[김OO/치킨 가맹점주/음성변조 : "천 원도 안 남게 되는거죠. '할인을 그만하자'라고 그렇게 가맹점 사장들이 요구해도 본사는 꿈쩍도 안 합니다."]
피자의 통신사 제휴 할인은 정도가 더 심해 할인금액의 100%를 가맹점이 부담하는 구좁니다.
가맹본사는 각종 이벤트 전 가맹점주의 의견을 묻고 있다지만 반대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피자 가맹점주/음성변조 : "본사가 운영하는 (투표) 시스템이니까 여기서 내가 어떤 투표를 하면 그게 드러날까 봐...가맹점 재계약 사항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느냐 안 하느냐 비율을 따진다고 해요."]
이에 대해 가맹 본사들은 찬반투표와 동의를 받아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고 계약상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가맹본사와 가맹점 간의 입장 차이가 큰 상황인데요, 보다 수평적인 관계에서 할인 행사 분담률을 협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연화/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위원장 : "(할인 부담은) 결국 소비자에게 다 전가되는 꼴이 돼서 투명성 있는 기구를 가져서 서로가 조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가맹본사와 가맹점주의 할인 분담 비율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요즘 배달 음식 주문할 때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이나 이동 통신사를 통해 각종 할인 혜택을 받는 분들 많은데요.
이 할인된 금액은 누가 부담하고 있을까요?
각종 할인 이벤트가 안 그래도 어려운 가맹점주들을 두 번 울리고 있습니다.
오대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젊은 층이 많이 이용하는 배달 애플리케이션!
치킨이나 피자 주문 시 적게는 2천 원에서 많게는 만 3천 원까지 깎아준단 할인 이벤트가 경쟁적으로 벌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수의 업체에서 할인된 금액의 상당 부분은 가맹점주의 몫입니다.
대기업을 퇴직한 뒤 치킨 가맹점을 낸 김 모 씨 3천 원이 할인될 때마다 천 원을 부담하고 있습니다.
김 씨가 닭 한 마리를 팔 때 드는 비용은 만 3천9백 원.
2천 원 정도가 겨우 남는데 할인까지 해주면 천원 정도!
임대료 인건비 등을 감안하면 남는 게 없는 셈입니다.
[김OO/치킨 가맹점주/음성변조 : "천 원도 안 남게 되는거죠. '할인을 그만하자'라고 그렇게 가맹점 사장들이 요구해도 본사는 꿈쩍도 안 합니다."]
피자의 통신사 제휴 할인은 정도가 더 심해 할인금액의 100%를 가맹점이 부담하는 구좁니다.
가맹본사는 각종 이벤트 전 가맹점주의 의견을 묻고 있다지만 반대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피자 가맹점주/음성변조 : "본사가 운영하는 (투표) 시스템이니까 여기서 내가 어떤 투표를 하면 그게 드러날까 봐...가맹점 재계약 사항에 적극적으로 협조하느냐 안 하느냐 비율을 따진다고 해요."]
이에 대해 가맹 본사들은 찬반투표와 동의를 받아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고 계약상 문제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가맹본사와 가맹점 간의 입장 차이가 큰 상황인데요, 보다 수평적인 관계에서 할인 행사 분담률을 협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연화/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위원장 : "(할인 부담은) 결국 소비자에게 다 전가되는 꼴이 돼서 투명성 있는 기구를 가져서 서로가 조율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가맹본사와 가맹점주의 할인 분담 비율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
오대성 기자 ohwhy@kbs.co.kr
오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