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이란·터키 정상회담…“시리아 휴전 지속 협력키로”

입력 2018.04.04 (23:57) 수정 2018.04.05 (01: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와 이란, 터키 정상이 4일(현지시간) 7년 동안 내전을 겪은 시리아의 휴전 체제를 공고화하는데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이날 터키 수도 앙카라에서 회담하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타스, AFP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러시아, 이란, 터키 3국 정상은 회담을 마친 뒤 공동성명을 통해 "시리아에서 지속적인 휴전을 유지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2254호에 따른 정치 절차를 진전시키는 데 협력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유엔 안보리가 2015년 12월 채택한 결의안 2254호는 시리아 내전과 관련해 '모든 당사자는 민간인과 의료시설을 비롯한 민간 시설을 겨냥한 모든 공격, 공습, 포격을 포함한 무차별적 무기 사용을 중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동성명은 또 "세 정상은 시리아 내전에 군사적 해결책은 없고 내전은 정치적 협상 과정을 통해서만 종식될 수 있다는 확신을 표현했다"고 전했다.

세 정상은 회담에서 시리아의 주권과 독립, 통합, 영토 보존 등을 위한 강력하고 지속적인 노력도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3국이 공동성명에서 시리아의 주권·독립·영토적 통합성 강화를 지원하기로 했다"면서 "시리아의 인종·종교 간 갈등을 격화시키려는 (서방의) 점증하는 시도 와중에 이러한 원칙적 입장은 아주 큰 의미를 갖는다"고 강조했다.

또 러시아, 이란, 터키는 시리아의 전후 복구 사업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면서 인프라 시설 재건 등 복구 사업에 3국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푸틴은 "러시아 기업들은 이미 재건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바로 얼마 전까지 반군이 장악하고 있던 지역에서도 여러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면서 "세계 각국이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이 작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길 호소한다"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 이란, 터키 외에 다른 나라들은 사실상 시리아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에 거의 참여하지 않고 있다. 유엔의 일부 지원이 있지만 이는 턱없이 부족하다"면서 "시리아의 경제와 인프라 복원을 위한 공동 작업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서방에 촉구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터키와 러시아가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동쪽 동(東)구타의 피난민들을 치료하기 위해 시리아 텔아비아드에 병원을 세우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동구타에서는 최근 6주간 계속된 러시아·시리아군의 무차별 공격으로 주민 1천600명이 숨진 것으로 추산되고 피란민도 수만명 발생했다.

세 정상이 모여 시리아 사태를 논의하기는 작년 11월 러시아 소치 회담 이후 약 5개월 만이다.

러시아, 이란, 터키 등 3개국은 그동안 유엔이 주도하는 시리아 평화회담과 별도로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협상을 진행했다.

[사진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러시아·이란·터키 정상회담…“시리아 휴전 지속 협력키로”
    • 입력 2018-04-04 23:57:35
    • 수정2018-04-05 01:23:21
    국제
러시아와 이란, 터키 정상이 4일(현지시간) 7년 동안 내전을 겪은 시리아의 휴전 체제를 공고화하는데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이날 터키 수도 앙카라에서 회담하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타스, AFP통신 등 외신이 보도했다.

러시아, 이란, 터키 3국 정상은 회담을 마친 뒤 공동성명을 통해 "시리아에서 지속적인 휴전을 유지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2254호에 따른 정치 절차를 진전시키는 데 협력한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유엔 안보리가 2015년 12월 채택한 결의안 2254호는 시리아 내전과 관련해 '모든 당사자는 민간인과 의료시설을 비롯한 민간 시설을 겨냥한 모든 공격, 공습, 포격을 포함한 무차별적 무기 사용을 중단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공동성명은 또 "세 정상은 시리아 내전에 군사적 해결책은 없고 내전은 정치적 협상 과정을 통해서만 종식될 수 있다는 확신을 표현했다"고 전했다.

세 정상은 회담에서 시리아의 주권과 독립, 통합, 영토 보존 등을 위한 강력하고 지속적인 노력도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은 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3국이 공동성명에서 시리아의 주권·독립·영토적 통합성 강화를 지원하기로 했다"면서 "시리아의 인종·종교 간 갈등을 격화시키려는 (서방의) 점증하는 시도 와중에 이러한 원칙적 입장은 아주 큰 의미를 갖는다"고 강조했다.

또 러시아, 이란, 터키는 시리아의 전후 복구 사업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면서 인프라 시설 재건 등 복구 사업에 3국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푸틴은 "러시아 기업들은 이미 재건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바로 얼마 전까지 반군이 장악하고 있던 지역에서도 여러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다"면서 "세계 각국이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이 작업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길 호소한다"고 밝혔다.

이어 "러시아, 이란, 터키 외에 다른 나라들은 사실상 시리아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에 거의 참여하지 않고 있다. 유엔의 일부 지원이 있지만 이는 턱없이 부족하다"면서 "시리아의 경제와 인프라 복원을 위한 공동 작업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서방에 촉구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터키와 러시아가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동쪽 동(東)구타의 피난민들을 치료하기 위해 시리아 텔아비아드에 병원을 세우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동구타에서는 최근 6주간 계속된 러시아·시리아군의 무차별 공격으로 주민 1천600명이 숨진 것으로 추산되고 피란민도 수만명 발생했다.

세 정상이 모여 시리아 사태를 논의하기는 작년 11월 러시아 소치 회담 이후 약 5개월 만이다.

러시아, 이란, 터키 등 3개국은 그동안 유엔이 주도하는 시리아 평화회담과 별도로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협상을 진행했다.

[사진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