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동결 ‘연 1.5%’…“대내외 불확실성 반영”
입력 2018.04.12 (12:11)
수정 2018.04.12 (12: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습니다.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낮은 데다, 미·중 무역전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오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 회의를 열고 연 1.5%인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해 11월, 6년여 만에 0.25%P 올린 이후 5개월째 현상유지를 선택한 겁니다.
이번 금통위 회의는 이주열 총재가 연임된 뒤 처음이자,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정책금리를 연 최고 1.75%로 올리며 한미 금리가 역전된 이후에도 처음입니다.
금융시장의 예상대로 한은이 금리 동결을 결정한 이유는 금리 인상 동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먼저 물가상승률이 전망을 밑돌고 있습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초 1% 초반대를 기록하며 전망치 1.5%에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대외 경제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미·중 간 무역전쟁 우려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어 우리 경제에 불똥이 튀면 수출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원화절상 압박 분위기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또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인 1,450조 원에 이르는 점도 금리 인상에 부담을 주는 요소입니다.
한은은 추가 금리 인상 여부를 신중히 판단하기로 하고, 경제성장률과 물가 흐름을 점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습니다.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낮은 데다, 미·중 무역전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오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 회의를 열고 연 1.5%인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해 11월, 6년여 만에 0.25%P 올린 이후 5개월째 현상유지를 선택한 겁니다.
이번 금통위 회의는 이주열 총재가 연임된 뒤 처음이자,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정책금리를 연 최고 1.75%로 올리며 한미 금리가 역전된 이후에도 처음입니다.
금융시장의 예상대로 한은이 금리 동결을 결정한 이유는 금리 인상 동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먼저 물가상승률이 전망을 밑돌고 있습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초 1% 초반대를 기록하며 전망치 1.5%에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대외 경제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미·중 간 무역전쟁 우려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어 우리 경제에 불똥이 튀면 수출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원화절상 압박 분위기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또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인 1,450조 원에 이르는 점도 금리 인상에 부담을 주는 요소입니다.
한은은 추가 금리 인상 여부를 신중히 판단하기로 하고, 경제성장률과 물가 흐름을 점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은, 기준금리 동결 ‘연 1.5%’…“대내외 불확실성 반영”
-
- 입력 2018-04-12 12:13:52
- 수정2018-04-12 12:25:06

[앵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습니다.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낮은 데다, 미·중 무역전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오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 회의를 열고 연 1.5%인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해 11월, 6년여 만에 0.25%P 올린 이후 5개월째 현상유지를 선택한 겁니다.
이번 금통위 회의는 이주열 총재가 연임된 뒤 처음이자,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정책금리를 연 최고 1.75%로 올리며 한미 금리가 역전된 이후에도 처음입니다.
금융시장의 예상대로 한은이 금리 동결을 결정한 이유는 금리 인상 동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먼저 물가상승률이 전망을 밑돌고 있습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초 1% 초반대를 기록하며 전망치 1.5%에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대외 경제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미·중 간 무역전쟁 우려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어 우리 경제에 불똥이 튀면 수출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원화절상 압박 분위기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또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인 1,450조 원에 이르는 점도 금리 인상에 부담을 주는 요소입니다.
한은은 추가 금리 인상 여부를 신중히 판단하기로 하고, 경제성장률과 물가 흐름을 점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습니다.
물가상승률이 예상보다 낮은 데다, 미·중 무역전쟁 등 대내외 불확실성을 반영한 결과입니다.
오대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오늘 회의를 열고 연 1.5%인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지난해 11월, 6년여 만에 0.25%P 올린 이후 5개월째 현상유지를 선택한 겁니다.
이번 금통위 회의는 이주열 총재가 연임된 뒤 처음이자,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정책금리를 연 최고 1.75%로 올리며 한미 금리가 역전된 이후에도 처음입니다.
금융시장의 예상대로 한은이 금리 동결을 결정한 이유는 금리 인상 동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먼저 물가상승률이 전망을 밑돌고 있습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연초 1% 초반대를 기록하며 전망치 1.5%에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대외 경제환경의 불확실성 증가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미·중 간 무역전쟁 우려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어 우리 경제에 불똥이 튀면 수출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원화절상 압박 분위기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
또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인 1,450조 원에 이르는 점도 금리 인상에 부담을 주는 요소입니다.
한은은 추가 금리 인상 여부를 신중히 판단하기로 하고, 경제성장률과 물가 흐름을 점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오대성입니다.
-
-
오대성 기자 ohwhy@kbs.co.kr
오대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