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떨어지고 유가 보합인데 3월 수입물가 ↑

입력 2018.04.13 (08:07) 수정 2018.04.13 (08: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달러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이 떨어지고 국제유가가 전월 수준을 유지했는데도 지난달 수입물가가 상승했다. 전기로 원재료 수입물가가 5배 상승한 특이요인 탓이다.

한국은행이 오늘(13일) 발표한 '3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수입물가지수는 83.94(2010=100·원화 기준)로 한 달 전보다 0.5% 상승했다. 수입물가는 올해 1월부터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수입물가를 크게 좌우하는 원/달러 환율이나 국제유가 움직임과 이례적으로 다른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달 평균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071.89원으로 한 달 전보다 0.7%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 하락은 수입물가를 끌어내리는 요인이다. 국제유가가 상승한 것도 아니었다.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달 1배럴에 62.74달러로 한 달 전(62.72달러)과 유사했다.

한은 관계자는 "탄소전극및흑연전극 수입물가가 한 달 전보다 495.7% 오른 특이요인 때문에 수입물가가 올랐다"고 설명했다. 탄소전극및흑연전극은 전기로 원재료로 활용되는 품목이다. 최근 환경 기준을 강화하는 중국에서 오염 물질을 덜 배출하는 전기로를 만들기 위해 탄소전극및흑연전극 수요가 늘어나며 가격이 뛴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탄소전극및흑연전극을 제외한 수입물가는 전월보다 0.4∼0.5% 떨어지는 것으로 나온다"고 덧붙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원재료 수입물가는 유연탄 등 광산품 하락으로 0.2% 내렸다. 다만 옥수수 수입물가(6.0%)는 주요 원산지인 남미 지역 가뭄 때문에 상승세를 나타냈다. 중간재에선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이 오르며 전월 대비 1.3% 상승했다. 탄소전극및흑연전극이 전기 및 전자기기, 중간재에 포함된다. 자본재나 소비재 수입물가는 각각 0.3%, 0.6%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는 84.27로 한 달 전보다 0.9%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는 작년 11월∼올해 1월 내리 하락하다가 2월 1.0%로 반등했으나 다시 하락 전환했다. 원/달러 환율 하락 탓이다. 농림수산품 수출물가가 전월 대비 1.6% 올랐다. 그중에서도 냉동수산물(1.8%)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공산품은 0.9% 하락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환율 떨어지고 유가 보합인데 3월 수입물가 ↑
    • 입력 2018-04-13 08:07:05
    • 수정2018-04-13 08:08:57
    경제
달러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이 떨어지고 국제유가가 전월 수준을 유지했는데도 지난달 수입물가가 상승했다. 전기로 원재료 수입물가가 5배 상승한 특이요인 탓이다.

한국은행이 오늘(13일) 발표한 '3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수입물가지수는 83.94(2010=100·원화 기준)로 한 달 전보다 0.5% 상승했다. 수입물가는 올해 1월부터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수입물가를 크게 좌우하는 원/달러 환율이나 국제유가 움직임과 이례적으로 다른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달 평균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071.89원으로 한 달 전보다 0.7%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 하락은 수입물가를 끌어내리는 요인이다. 국제유가가 상승한 것도 아니었다.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달 1배럴에 62.74달러로 한 달 전(62.72달러)과 유사했다.

한은 관계자는 "탄소전극및흑연전극 수입물가가 한 달 전보다 495.7% 오른 특이요인 때문에 수입물가가 올랐다"고 설명했다. 탄소전극및흑연전극은 전기로 원재료로 활용되는 품목이다. 최근 환경 기준을 강화하는 중국에서 오염 물질을 덜 배출하는 전기로를 만들기 위해 탄소전극및흑연전극 수요가 늘어나며 가격이 뛴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탄소전극및흑연전극을 제외한 수입물가는 전월보다 0.4∼0.5% 떨어지는 것으로 나온다"고 덧붙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원재료 수입물가는 유연탄 등 광산품 하락으로 0.2% 내렸다. 다만 옥수수 수입물가(6.0%)는 주요 원산지인 남미 지역 가뭄 때문에 상승세를 나타냈다. 중간재에선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이 오르며 전월 대비 1.3% 상승했다. 탄소전극및흑연전극이 전기 및 전자기기, 중간재에 포함된다. 자본재나 소비재 수입물가는 각각 0.3%, 0.6%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는 84.27로 한 달 전보다 0.9% 하락했다. 수출물가지수는 작년 11월∼올해 1월 내리 하락하다가 2월 1.0%로 반등했으나 다시 하락 전환했다. 원/달러 환율 하락 탓이다. 농림수산품 수출물가가 전월 대비 1.6% 올랐다. 그중에서도 냉동수산물(1.8%)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공산품은 0.9% 하락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

  • 각 플랫폼에서 최근 1시간 동안 많이 본 KBS 기사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