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비방 ‘포털 댓글’ 조작 일당 구속…더불어민주당 당원으로 확인
입력 2018.04.13 (11:21)
수정 2018.04.13 (11: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특정 기사에 반복적으로 '공감'을 클릭하는 수법으로 여론 조작을 시도한 네티즌들이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네이버 등 포털에 실린 정부 비판 기사 댓글의 추천 수를 인위적으로 늘려 사이트 운영을 방해한 혐의(업무방해)로 김 모 씨 등 3명을 구속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에 당비를 내는 당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올해 1월 특정 자동화 프로그램을 활용해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결정과 관련한 정부 비판성 댓글에 반복적으로 공감을 클릭해 네티즌 추천 순위 등을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들이 진보 성향의 한 포털 카페에서 활동하다 만난 사이로 "보수 세력이 한 것처럼 꾸미기 위해 댓글을 조작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들의 진술만으로는 신빙성이 부족하다고 보고 구체적인 범행 동기와 배후 등을 규명하기 위해 추가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지난 1월 더불어민주당은 네이버 기사 댓글 조작을 위해 매크로를 사용한 의심 정황을 수집했다며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했고 이후 네티즌들도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네이버에 대한 수사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이에 애초 "시스템 구조상 매크로 조작 가능성은 없다"던 네이버 측도 업무방해를 당했다며 경찰에 이 사건을 고소했고, 사건을 배당받은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 2월 7일부터 수사를 진행해 왔다.
[사진출처 : 게티이미지]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네이버 등 포털에 실린 정부 비판 기사 댓글의 추천 수를 인위적으로 늘려 사이트 운영을 방해한 혐의(업무방해)로 김 모 씨 등 3명을 구속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에 당비를 내는 당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올해 1월 특정 자동화 프로그램을 활용해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결정과 관련한 정부 비판성 댓글에 반복적으로 공감을 클릭해 네티즌 추천 순위 등을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들이 진보 성향의 한 포털 카페에서 활동하다 만난 사이로 "보수 세력이 한 것처럼 꾸미기 위해 댓글을 조작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들의 진술만으로는 신빙성이 부족하다고 보고 구체적인 범행 동기와 배후 등을 규명하기 위해 추가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지난 1월 더불어민주당은 네이버 기사 댓글 조작을 위해 매크로를 사용한 의심 정황을 수집했다며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했고 이후 네티즌들도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네이버에 대한 수사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이에 애초 "시스템 구조상 매크로 조작 가능성은 없다"던 네이버 측도 업무방해를 당했다며 경찰에 이 사건을 고소했고, 사건을 배당받은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 2월 7일부터 수사를 진행해 왔다.
[사진출처 : 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부 비방 ‘포털 댓글’ 조작 일당 구속…더불어민주당 당원으로 확인
-
- 입력 2018-04-13 11:21:51
- 수정2018-04-13 11:22:45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특정 기사에 반복적으로 '공감'을 클릭하는 수법으로 여론 조작을 시도한 네티즌들이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네이버 등 포털에 실린 정부 비판 기사 댓글의 추천 수를 인위적으로 늘려 사이트 운영을 방해한 혐의(업무방해)로 김 모 씨 등 3명을 구속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에 당비를 내는 당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올해 1월 특정 자동화 프로그램을 활용해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결정과 관련한 정부 비판성 댓글에 반복적으로 공감을 클릭해 네티즌 추천 순위 등을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들이 진보 성향의 한 포털 카페에서 활동하다 만난 사이로 "보수 세력이 한 것처럼 꾸미기 위해 댓글을 조작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들의 진술만으로는 신빙성이 부족하다고 보고 구체적인 범행 동기와 배후 등을 규명하기 위해 추가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지난 1월 더불어민주당은 네이버 기사 댓글 조작을 위해 매크로를 사용한 의심 정황을 수집했다며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했고 이후 네티즌들도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네이버에 대한 수사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이에 애초 "시스템 구조상 매크로 조작 가능성은 없다"던 네이버 측도 업무방해를 당했다며 경찰에 이 사건을 고소했고, 사건을 배당받은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 2월 7일부터 수사를 진행해 왔다.
[사진출처 : 게티이미지]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네이버 등 포털에 실린 정부 비판 기사 댓글의 추천 수를 인위적으로 늘려 사이트 운영을 방해한 혐의(업무방해)로 김 모 씨 등 3명을 구속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더불어민주당에 당비를 내는 당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올해 1월 특정 자동화 프로그램을 활용해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 결정과 관련한 정부 비판성 댓글에 반복적으로 공감을 클릭해 네티즌 추천 순위 등을 조작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들이 진보 성향의 한 포털 카페에서 활동하다 만난 사이로 "보수 세력이 한 것처럼 꾸미기 위해 댓글을 조작했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이들의 진술만으로는 신빙성이 부족하다고 보고 구체적인 범행 동기와 배후 등을 규명하기 위해 추가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지난 1월 더불어민주당은 네이버 기사 댓글 조작을 위해 매크로를 사용한 의심 정황을 수집했다며 서울지방경찰청에 고발했고 이후 네티즌들도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네이버에 대한 수사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이에 애초 "시스템 구조상 매크로 조작 가능성은 없다"던 네이버 측도 업무방해를 당했다며 경찰에 이 사건을 고소했고, 사건을 배당받은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지난 2월 7일부터 수사를 진행해 왔다.
[사진출처 : 게티이미지]
-
-
손서영 기자 bellesy@kbs.co.kr
손서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