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누신 “무역협상 위해 중국방문 검토…조심스레 낙관”

입력 2018.04.22 (08:54) 수정 2018.04.22 (09: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무역협상을 위해 직접 중국을 찾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AP·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므누신 장관은 이날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춘계회의에 참석해 기자들에게 "무역협상을 하기 위해 중국방문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시기에 대해서는 코멘트하지 않을 것이며 확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덧붙였다. 협상 타결 가능성에 대해선 "조심스럽게 낙관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 이강(易綱) 중국 인민은행장 등 중국 경제관료를 잇달아 만난 므누신 장관은 무역분쟁 해결과 관련해 어느 정도 진전이 있었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대중 무역이슈와 관련해 '협상파'로 분류되는 므누신 장관은 미·중 대화를 통해 무역전쟁을 피해야 한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

현재 미국과 중국은 심각한 무역갈등을 빚고 있다. 앞서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 500억 달러어치에 대한 관세 폭탄을 예고하자 중국도 곧장 미국산 수입품 108개에 대한 맞불 관세를 발표했다. 곧이어 미국은 중국 IT 산업을 겨냥해 1천억 달러의 추가 관세 가능성을 경고했고 중국도 보복 관세로 즉각 응수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블룸버그는 므누신 장관의 중국방문이 성사된다면 갈수록 수위가 높아지는 미·중 간 '관세 갈등' 구도에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AFP통신도 므누신 장관의 이번 발언이 미묘한 시점에 나왔다고 설명했다. 핵실험 중단과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선언 등 미국과 중국이 바라던 북한의 외교적 양보가 나온 직후 이 같은 '무역 관련 수사'가 언급됐다는 점에서다.

므누신 장관은 북한에 대한 제재는 지속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북한이 검증 가능한 방법에 따라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할 때까지 최대한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므누신 “무역협상 위해 중국방문 검토…조심스레 낙관”
    • 입력 2018-04-22 08:54:12
    • 수정2018-04-22 09:21:00
    국제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이 무역협상을 위해 직접 중국을 찾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AP·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므누신 장관은 이날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춘계회의에 참석해 기자들에게 "무역협상을 하기 위해 중국방문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시기에 대해서는 코멘트하지 않을 것이며 확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덧붙였다. 협상 타결 가능성에 대해선 "조심스럽게 낙관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 이강(易綱) 중국 인민은행장 등 중국 경제관료를 잇달아 만난 므누신 장관은 무역분쟁 해결과 관련해 어느 정도 진전이 있었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대중 무역이슈와 관련해 '협상파'로 분류되는 므누신 장관은 미·중 대화를 통해 무역전쟁을 피해야 한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

현재 미국과 중국은 심각한 무역갈등을 빚고 있다. 앞서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 500억 달러어치에 대한 관세 폭탄을 예고하자 중국도 곧장 미국산 수입품 108개에 대한 맞불 관세를 발표했다. 곧이어 미국은 중국 IT 산업을 겨냥해 1천억 달러의 추가 관세 가능성을 경고했고 중국도 보복 관세로 즉각 응수하겠다고 맞서고 있다.

블룸버그는 므누신 장관의 중국방문이 성사된다면 갈수록 수위가 높아지는 미·중 간 '관세 갈등' 구도에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AFP통신도 므누신 장관의 이번 발언이 미묘한 시점에 나왔다고 설명했다. 핵실험 중단과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선언 등 미국과 중국이 바라던 북한의 외교적 양보가 나온 직후 이 같은 '무역 관련 수사'가 언급됐다는 점에서다.

므누신 장관은 북한에 대한 제재는 지속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북한이 검증 가능한 방법에 따라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할 때까지 최대한 압박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