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는 어떤 곳?

입력 2018.04.27 (05:10) 수정 2018.04.27 (05: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남북경제협력의 상징이죠,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로 가보겠습니다.

이정훈, 황경주 기자! 그곳 분위기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저는 지금 서울과 북한 신의주를 잇는 경의선 철도의 남측 끝단,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에 나와 있는데요.

주변에는 많은 방송사 세트와 취재진들로 분주한 모습입니다.

뒤로 보이시는 통관구역을 넘으면 비무장지대를 지나 북녘 땅입니다.

전광판에는 "2018 남북정상회담", "평화, 새로운 시작"이란 문구가 빛나고 있습니다.

도라산 남북출입관리소는 어떤 곳인가요?

[기자]
네, 쉽게 말해서 남북이 육로로 오갈 때 꼭 거쳐야하는 곳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외국에 갈 때도 공항에서 통관 절차를 밟죠.

남북이 서로 오갈 때는 이곳 도라산 출입관리소에서 세관과 검역을 거쳐야 합니다.

개성공단이 가동될 당시 남한 기업들, 또 지난 평창 동계올림픽 때 북한 선수들과 응원단도 모두 이 도라산 출입관리소를 거쳐 남북을 오갔습니다.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평양에 갔을 때에도 도라산 출입사무소를 통과했었죠?

[기자]
네 노 전 대통령이 직접 걸어서 노란색 군사분계선을 넘는 장면, 많이들 기억하실텐데요.

당시 회담을 계기로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선을 넘었으면 좋겠다, 이런 말도 했었죠.

노 전 대통령은 이곳 도라산 출입사무소를 거쳐서 5분 만에 군사분계선에 도착했습니다.

[기자]
5분이면 굉장히 가까운데, 출입사무소 너머는 어떤 모습인가요?

[기자]
네. 일단 도라산 출입사무소를 통과하면 남방한계선, 즉 비무장지대 시작 지점이 나옵니다.

남방한계선에서 군사분계선까지 2km밖에 되질 않죠, 그 사이는 2차선 도로로 연결이 돼있는데, 노 전 대통령은 차를 타고 군사분계선 30M 앞에서 내린 뒤 걸어서 북한 땅을 밟았습니다.

[기자]
도라산이 남북관계에서 역사적인 의미가 큰데, 특히 경제협력의 상징으로 불리잖아요?

개성공단 얘기를 빼놓을 수 없을 것 같아요.

[기자]
네, 이곳에서 개성공단까지는 차로 채 30분이 걸리지 않습니다.

개성공단을 오가는 물품과 인력은 이곳 남북출입사무소의 통관 절차를 거치게 되는데요.

공단이 정상 가동되던 시기에는 하루 평균 200여 명의 기업인들이 이곳을 방문했습니다.

[기자]
그런데 2016년에 개성공단이 폐돼되면서 이곳도 더이상 예전의 북적이던 모습은 찾아볼 수 없게 됐군요.

[기자]
네, 2년 전 개성공단이 폐쇄될 때 화물차들이 줄지어 빠져나오던 모습 기억하실 겁니다.

그동안 개성공단은 남북관계가 경색될 때마다 숱한 위기를 맞았는데요.

2000년 개성공단이 문을 연 뒤로 이렇게 오랜 기간 가동이 중단된 적은 없었습니다.

[기자]
개성공단 기업인들로서는 그래서 이번 남북정상회담에 기대하는 바가 클 것 같습니다.

[기자]
네, 이번 정상회담에서 경제 협력에 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개성공단 입주 기업인들은 하루 빨리 공장 가동이 재개돼 이곳 남북출입사무소도 활기를 되찾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는 어떤 곳?
    • 입력 2018-04-27 05:16:20
    • 수정2018-04-27 05:25:24
    뉴스광장 1부
[앵커]

이번에는 남북경제협력의 상징이죠,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로 가보겠습니다.

이정훈, 황경주 기자! 그곳 분위기 전해주시죠.

[기자]
네, 저는 지금 서울과 북한 신의주를 잇는 경의선 철도의 남측 끝단, 도라산 남북출입사무소에 나와 있는데요.

주변에는 많은 방송사 세트와 취재진들로 분주한 모습입니다.

뒤로 보이시는 통관구역을 넘으면 비무장지대를 지나 북녘 땅입니다.

전광판에는 "2018 남북정상회담", "평화, 새로운 시작"이란 문구가 빛나고 있습니다.

도라산 남북출입관리소는 어떤 곳인가요?

[기자]
네, 쉽게 말해서 남북이 육로로 오갈 때 꼭 거쳐야하는 곳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외국에 갈 때도 공항에서 통관 절차를 밟죠.

남북이 서로 오갈 때는 이곳 도라산 출입관리소에서 세관과 검역을 거쳐야 합니다.

개성공단이 가동될 당시 남한 기업들, 또 지난 평창 동계올림픽 때 북한 선수들과 응원단도 모두 이 도라산 출입관리소를 거쳐 남북을 오갔습니다.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이 평양에 갔을 때에도 도라산 출입사무소를 통과했었죠?

[기자]
네 노 전 대통령이 직접 걸어서 노란색 군사분계선을 넘는 장면, 많이들 기억하실텐데요.

당시 회담을 계기로 더 많은 사람들이 이 선을 넘었으면 좋겠다, 이런 말도 했었죠.

노 전 대통령은 이곳 도라산 출입사무소를 거쳐서 5분 만에 군사분계선에 도착했습니다.

[기자]
5분이면 굉장히 가까운데, 출입사무소 너머는 어떤 모습인가요?

[기자]
네. 일단 도라산 출입사무소를 통과하면 남방한계선, 즉 비무장지대 시작 지점이 나옵니다.

남방한계선에서 군사분계선까지 2km밖에 되질 않죠, 그 사이는 2차선 도로로 연결이 돼있는데, 노 전 대통령은 차를 타고 군사분계선 30M 앞에서 내린 뒤 걸어서 북한 땅을 밟았습니다.

[기자]
도라산이 남북관계에서 역사적인 의미가 큰데, 특히 경제협력의 상징으로 불리잖아요?

개성공단 얘기를 빼놓을 수 없을 것 같아요.

[기자]
네, 이곳에서 개성공단까지는 차로 채 30분이 걸리지 않습니다.

개성공단을 오가는 물품과 인력은 이곳 남북출입사무소의 통관 절차를 거치게 되는데요.

공단이 정상 가동되던 시기에는 하루 평균 200여 명의 기업인들이 이곳을 방문했습니다.

[기자]
그런데 2016년에 개성공단이 폐돼되면서 이곳도 더이상 예전의 북적이던 모습은 찾아볼 수 없게 됐군요.

[기자]
네, 2년 전 개성공단이 폐쇄될 때 화물차들이 줄지어 빠져나오던 모습 기억하실 겁니다.

그동안 개성공단은 남북관계가 경색될 때마다 숱한 위기를 맞았는데요.

2000년 개성공단이 문을 연 뒤로 이렇게 오랜 기간 가동이 중단된 적은 없었습니다.

[기자]
개성공단 기업인들로서는 그래서 이번 남북정상회담에 기대하는 바가 클 것 같습니다.

[기자]
네, 이번 정상회담에서 경제 협력에 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요.

개성공단 입주 기업인들은 하루 빨리 공장 가동이 재개돼 이곳 남북출입사무소도 활기를 되찾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