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회사에 차별적 임금체계…무늬만 정규직?
입력 2018.05.11 (21:27)
수정 2018.05.11 (22: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인천공항공사를 찾아가 직원들을 만나고,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없애겠다고 했던 일, 기억하시나요?
내일(12일)이면 꼭 1년이 되는데요.
목표로 했던 20만 5천명 중에 절반 정도의 정규직 전환이 확정됐지만 임금 차별은 여전해 무늬만 정규직이라는 소리가 나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보안검색 업무를 하는 이서연 씨.
언제 정규직이 될지, 어떤 처우를 받을지 걱정입니다.
[이서연/인천공항 보안 검색 요원 : "1년이 넘었는데 아무것도 없고, 아예 그걸 안 들었을 때보다 더 힘든 것 같습니다."]
인천공항공사는 보안검색 등 30%는 직접 고용, 나머지 70%는 자회사 소속으로 정규직 전환을 할 계획입니다.
그런데 임금이 논란입니다.
정부는 정규직으로 전환하면 기존 용역업체 이윤과 일반관리비 등 최고 15% 정도가 임금에 반영될 것으로 봤지만 설립하는 자회사도 관리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임금 인상이 이에 못 미치는 겁니다.
한국조폐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공항공사도 자회사 설립 방식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박대성/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장 : "회사를 만드는 비용 때문에 우리의 처우개선이 덜 된다는 부분은 좀 맞지 않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직무급 임금체계도 논란입니다.
재직 기간이 늘면 자연히 임금이 올라가는 기존 정규직의 호봉제와 달리, 업무 숙련도 등에 따라 임금이 정해지는 것으로 15년을 근무해도 최대 인상률이 20%입니다.
70%까지 오르는 호봉제보다 적습니다.
[김성희/산업노동정책연구소장 :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을 실현하는 게 아니라 현행의 차별을 합리화하는 도구로 전환되는 거죠. 더 나쁘게 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고용 안정이라는 성과는 있지만 소득 격차를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겁니다.
숫자로 포장된 성과 아래 무늬만 정규직을 만들지 않도록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인천공항공사를 찾아가 직원들을 만나고,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없애겠다고 했던 일, 기억하시나요?
내일(12일)이면 꼭 1년이 되는데요.
목표로 했던 20만 5천명 중에 절반 정도의 정규직 전환이 확정됐지만 임금 차별은 여전해 무늬만 정규직이라는 소리가 나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보안검색 업무를 하는 이서연 씨.
언제 정규직이 될지, 어떤 처우를 받을지 걱정입니다.
[이서연/인천공항 보안 검색 요원 : "1년이 넘었는데 아무것도 없고, 아예 그걸 안 들었을 때보다 더 힘든 것 같습니다."]
인천공항공사는 보안검색 등 30%는 직접 고용, 나머지 70%는 자회사 소속으로 정규직 전환을 할 계획입니다.
그런데 임금이 논란입니다.
정부는 정규직으로 전환하면 기존 용역업체 이윤과 일반관리비 등 최고 15% 정도가 임금에 반영될 것으로 봤지만 설립하는 자회사도 관리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임금 인상이 이에 못 미치는 겁니다.
한국조폐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공항공사도 자회사 설립 방식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박대성/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장 : "회사를 만드는 비용 때문에 우리의 처우개선이 덜 된다는 부분은 좀 맞지 않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직무급 임금체계도 논란입니다.
재직 기간이 늘면 자연히 임금이 올라가는 기존 정규직의 호봉제와 달리, 업무 숙련도 등에 따라 임금이 정해지는 것으로 15년을 근무해도 최대 인상률이 20%입니다.
70%까지 오르는 호봉제보다 적습니다.
[김성희/산업노동정책연구소장 :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을 실현하는 게 아니라 현행의 차별을 합리화하는 도구로 전환되는 거죠. 더 나쁘게 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고용 안정이라는 성과는 있지만 소득 격차를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겁니다.
숫자로 포장된 성과 아래 무늬만 정규직을 만들지 않도록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자회사에 차별적 임금체계…무늬만 정규직?
-
- 입력 2018-05-11 21:29:47
- 수정2018-05-11 22:07:46

[앵커]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인천공항공사를 찾아가 직원들을 만나고,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없애겠다고 했던 일, 기억하시나요?
내일(12일)이면 꼭 1년이 되는데요.
목표로 했던 20만 5천명 중에 절반 정도의 정규직 전환이 확정됐지만 임금 차별은 여전해 무늬만 정규직이라는 소리가 나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보안검색 업무를 하는 이서연 씨.
언제 정규직이 될지, 어떤 처우를 받을지 걱정입니다.
[이서연/인천공항 보안 검색 요원 : "1년이 넘었는데 아무것도 없고, 아예 그걸 안 들었을 때보다 더 힘든 것 같습니다."]
인천공항공사는 보안검색 등 30%는 직접 고용, 나머지 70%는 자회사 소속으로 정규직 전환을 할 계획입니다.
그런데 임금이 논란입니다.
정부는 정규직으로 전환하면 기존 용역업체 이윤과 일반관리비 등 최고 15% 정도가 임금에 반영될 것으로 봤지만 설립하는 자회사도 관리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임금 인상이 이에 못 미치는 겁니다.
한국조폐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공항공사도 자회사 설립 방식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박대성/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장 : "회사를 만드는 비용 때문에 우리의 처우개선이 덜 된다는 부분은 좀 맞지 않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직무급 임금체계도 논란입니다.
재직 기간이 늘면 자연히 임금이 올라가는 기존 정규직의 호봉제와 달리, 업무 숙련도 등에 따라 임금이 정해지는 것으로 15년을 근무해도 최대 인상률이 20%입니다.
70%까지 오르는 호봉제보다 적습니다.
[김성희/산업노동정책연구소장 :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을 실현하는 게 아니라 현행의 차별을 합리화하는 도구로 전환되는 거죠. 더 나쁘게 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고용 안정이라는 성과는 있지만 소득 격차를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겁니다.
숫자로 포장된 성과 아래 무늬만 정규직을 만들지 않도록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지난해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인천공항공사를 찾아가 직원들을 만나고, 공공부문 비정규직을 없애겠다고 했던 일, 기억하시나요?
내일(12일)이면 꼭 1년이 되는데요.
목표로 했던 20만 5천명 중에 절반 정도의 정규직 전환이 확정됐지만 임금 차별은 여전해 무늬만 정규직이라는 소리가 나옵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보안검색 업무를 하는 이서연 씨.
언제 정규직이 될지, 어떤 처우를 받을지 걱정입니다.
[이서연/인천공항 보안 검색 요원 : "1년이 넘었는데 아무것도 없고, 아예 그걸 안 들었을 때보다 더 힘든 것 같습니다."]
인천공항공사는 보안검색 등 30%는 직접 고용, 나머지 70%는 자회사 소속으로 정규직 전환을 할 계획입니다.
그런데 임금이 논란입니다.
정부는 정규직으로 전환하면 기존 용역업체 이윤과 일반관리비 등 최고 15% 정도가 임금에 반영될 것으로 봤지만 설립하는 자회사도 관리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임금 인상이 이에 못 미치는 겁니다.
한국조폐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공항공사도 자회사 설립 방식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박대성/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장 : "회사를 만드는 비용 때문에 우리의 처우개선이 덜 된다는 부분은 좀 맞지 않다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직무급 임금체계도 논란입니다.
재직 기간이 늘면 자연히 임금이 올라가는 기존 정규직의 호봉제와 달리, 업무 숙련도 등에 따라 임금이 정해지는 것으로 15년을 근무해도 최대 인상률이 20%입니다.
70%까지 오르는 호봉제보다 적습니다.
[김성희/산업노동정책연구소장 :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을 실현하는 게 아니라 현행의 차별을 합리화하는 도구로 전환되는 거죠. 더 나쁘게 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고용 안정이라는 성과는 있지만 소득 격차를 줄이기에는 한계가 있는 겁니다.
숫자로 포장된 성과 아래 무늬만 정규직을 만들지 않도록 정책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
이승철 기자 bullseye@kbs.co.kr
이승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