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에서 우방으로…‘베트남 모델’이란?

입력 2018.05.14 (23:05) 수정 2018.05.14 (23: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미 정상회담 관련 궁금증을 알기 쉽게 풀어보는 길라잡이 순섭니다.

대북 제재가 풀리면 북한이 추진하게 될 경제 개발 모델로 '베트남 모델'이 거론되는데요.

고은희 기자가 베트남 모델의 핵심 내용을 설명해 드립니다.

[리포트]

북한의 롤모델로 베트남이 떠오른 건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이 계기가 됐습니다.

[폼페이오/美 국무장관/지난 12일 : "미국은 과거에는 적이었지만 지금은 우방이 된 사례가 많습니다. 우리는 북한도 그렇게 되길 희망합니다."]

전쟁까지 했다가 우방이 된 대표적 사례가 베트남이기 때문입니다.

베트남전 승리 이후 미국의 경제 제재로 빈곤에 빠진 베트남은 1986년 '도이머이' 정책으로 경제난 타개에 나섭니다.

베트남어로 '도이'는 '변경하다', '머이'는 '새롭게' 라는 뜻인데요.

정치적으로는 공산당 지배 체제를 유지하면서, 경제적으로는 시장을 개방하고, 해외 자본을 유치하는 정책을 가리킵니다.

이후 1994년 미국의 경제 제재가 풀리고, 2007년 WTO에도 가입하면서 최근 30년 동안 GDP가 열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베트남은 숙련된 인력과 낮은 인건비를 내세워 세계적인 제조업 기지가 됐는데요.

북한도 개성공단을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인정받은 적이 있어 더욱 베트남 모델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적에서 우방으로…‘베트남 모델’이란?
    • 입력 2018-05-14 23:07:08
    • 수정2018-05-14 23:47:56
    뉴스라인 W
[앵커]

북미 정상회담 관련 궁금증을 알기 쉽게 풀어보는 길라잡이 순섭니다.

대북 제재가 풀리면 북한이 추진하게 될 경제 개발 모델로 '베트남 모델'이 거론되는데요.

고은희 기자가 베트남 모델의 핵심 내용을 설명해 드립니다.

[리포트]

북한의 롤모델로 베트남이 떠오른 건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이 계기가 됐습니다.

[폼페이오/美 국무장관/지난 12일 : "미국은 과거에는 적이었지만 지금은 우방이 된 사례가 많습니다. 우리는 북한도 그렇게 되길 희망합니다."]

전쟁까지 했다가 우방이 된 대표적 사례가 베트남이기 때문입니다.

베트남전 승리 이후 미국의 경제 제재로 빈곤에 빠진 베트남은 1986년 '도이머이' 정책으로 경제난 타개에 나섭니다.

베트남어로 '도이'는 '변경하다', '머이'는 '새롭게' 라는 뜻인데요.

정치적으로는 공산당 지배 체제를 유지하면서, 경제적으로는 시장을 개방하고, 해외 자본을 유치하는 정책을 가리킵니다.

이후 1994년 미국의 경제 제재가 풀리고, 2007년 WTO에도 가입하면서 최근 30년 동안 GDP가 열배 가까이 올랐습니다.

베트남은 숙련된 인력과 낮은 인건비를 내세워 세계적인 제조업 기지가 됐는데요.

북한도 개성공단을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인정받은 적이 있어 더욱 베트남 모델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은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